• 제목/요약/키워드: Phytolacca esculenta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장록에서 유도한 Betalain 합성 세포주의 액체 배양과 모상근의 특성 (Stspension Culture of Betalain Producing Cell-Line and Characteristics of Hairy Root of Phytolacca esculenta V. Houtte)

  • 양덕조;이성종윤길영강영희
    • KSBB Journal
    • /
    • 제8권1호
    • /
    • pp.89-94
    • /
    • 1993
  • Thc effect of light and phylohormonc on the belalaln synthesis was tested using the suspension culture of a rod(bclalaln produulng) cell line from Phytolacca esculenta V. Houtte. Betalain synthesis of rod-cell 1ine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irradiation of blue light, but induced by hormone, IAA and/or kinetin, in dark conditions. In a light condition, however, 2 mg/l of IAA increased the betalain content about 30% (per gram fresh weight), whereas more than 0.5mg/l of kinetin remarkably decreased. The hairy root derived from the same plant was also observed for the blue light-dependent pigmentation in the root-tips. When the hairy root grown in dark was transferred to the light condition, the accumulation of betalain was initiated after 12hours. Such pigmentation was completely inhabited by addition of a protein synthesis inhibitor.

  • PDF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모상근배양에서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광의 영향 (Effects of Light on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 Hairy Root Cultures of phytolacca esculenta Houtte)

  • 양덕조;김용해;권진이;최철희;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1-76
    • /
    • 1995
  • 자리공 모상근에서 광처리에 따른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Catalasa superoxide dismutasae, ascorbate oxidase (AO)의 활성은 광도가 2,000 lx까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특히 AO활성은 2,000 lx에서 암상태보다 92% 감소하였다. Glutathione reductase, glutathione peroxidase (GPO), ascorbate peroxidase 그리고 peroxidase의 활성도는 500 lx까지는 광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높은 광도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GPO의 활성은 AO처럼 2,000 lx에서 암상태보다 85%감소하였다. 광파장에 따른 항산화효소의 활성은 청색광의 파장에서 가장 많이 억제되었으며, AO의 활성은 25%까지 감소하였다. 청색광 파장의 광도에 따른 항산화효소의 활성도는 30 lx까지는 증가하다가 200 lx에서는 암상태보다 21-71%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O의 활성은 청색 파장의 광도(300-200 lx)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하여 200 lx에서는 70%까지 억제되었다. 자리공 모상근의 항산화효소 활성은 청색광 파장의 높은 광도에서 주로 생성된 유해산소 의하여 억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광상태하에서 모상근의 생장과 betalain 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모상근에서 생성되는 산화제의 효율적인 제거가 요구됨이 시사되었다.

  • PDF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모상근의 생장과 Betalain 생산에 미치는 항산화제의 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Growth and Betalain Production in Hairy Root Cultures of 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 양덕조;김용해;최혜연;최철희;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5-70
    • /
    • 1995
  • 자리공 모상근에서 betalain의 합성에는 광이 필수이지만 생장률은 암상태 보다 광상태(1500 1X)에서 5배 정도 억제된다. 따라서 광상태에서 모상근의 생장이 억제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항산화제 처리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다. 항산화제(ascorbic acid, glutathione, $\alpha$-tocopherol, sodium pyrosulfate, propylgallic acid) 처리에 따른 모상근의 생장은 암상태에서 무처리보다 1.2-1.4배, 광상태에서 약 1.3-1.9배 생장이 증가되었으며, betalain 합성은 무처리보다 1.2-2.1배 향상되었다. 자리공 모상근의 성장 및 betalain 합성에서 항산화제 복합 처리에 따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Betalain 합성 과정에서 항산화제의 효과는 청색 파장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광상태에서 자리공 모상근의 생장과 betalain 합성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청색 파장에서 적절한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상륙성분(商陸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II) -자리공, 양자리공, 섬자리공의 성분비교(成分比較)- (Constituents of Phytolacca Species (II) -Comparative Examination on Constituents of the Roots of Phytolacca americana, P. esculenta and P. insularis-)

  • 우원식;지형준;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54
    • /
    • 1976
  • Steroid and terpenoid constituents of 3 species of genus Phytolacca have been examined by TLC. All contained ${\alpha}$-spinasterol, its glucoside and acylated glucoside, jaligonic acid and its methylester, esculentic acid and its methylester, and 10 phytolaccosides. Jaligonic acid was the major free triterpenoid and phytolaccoside E was the major saponin in all plants. Bayogenin, oleanolic acid, spergulagenic acid, acinosolic acid, hederogenin, and their derivatives contained in other Phytolacca spp. were not found in these plants.

  • PDF

상륙성분(商陸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III) -지상부(地上部) 및 Callus 조직(組織)의 성분(成分)- (Constituents of Phytolacca species(III) -Components of over-ground parts and callus tissues-)

  • 우원식;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5-97
    • /
    • 1976
  • Saponin was distributed in all tissues of Phytolacca americana and P. esculenta. Phytolaccoside E was a major saponin, but the callus tissues induced from stems of P. americana contained phytolaccoside B as a major component. Saponin contents in leaves and stems were almost similar to those in roots. Two unknown compounds, $C_{32}H_{50}O_{4}$ (triterpenoid) and $C_{18}H_{22}O_{5}{\cdot}H_2O$ (polyphenol) were isolated from seeds of both plant.

  • PDF

상륙(商陸)의 신(新) 성분(成分) Phytolaccagenic Acid에 관한 연구 (A New Triterpene, Phytolaccagenic Acid from Phytolacca americana)

  • 우원식;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5-127
    • /
    • 1974
  • 상륙(商陸) (Phytolacca americana L.)의 근(根)에서 얻은 조(粗)saponin을 산(酸) 가수분해(加水分解)하면 5(종)種의 genin을 얻을 수 있다. 그 중(中) 2종(種)의 성분(成分)에 대하여는 아직 그 구조(構造)가 밝혀지지 않았다. 그 중(中) 한 성분(成分), $C_{31}H_{48}O_{6},\;(mp\;309-311^{\circ})$에 대하여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을 검토(檢討)한 바 I과 같은 구조식(構造式)을 추정(推定)할 수 있었으며 본성분(本成分)은 신화합물(新化合物)이므로 phytolaccagenic acid라고 명명(命名)하였다 Phytolaccagenic acid의 가수분해산물(加水分解産物)은 제(第)2의 미지성분(未知成分)과 같고 이것은 P. esculenta에서 얻은 esculentic acid와 동일(同一)하다.

  • PDF

제주산 식물을 이용한 Tyrosinase 억제 활성, Hyaluronidase 억제 활성,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ion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Plants in Cheju)

  • 이선주;정덕상;부희정;양홍철;류기중;이남호
    • 생약학회지
    • /
    • 제32권3호통권126호
    • /
    • pp.175-180
    • /
    • 2001
  • Solvent extracts of 17 plants collected in Cheju Island were investigated for their biological properties related to cosmeceuticals such as tyrosinase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nd also radical scavenging effects. The chloroform fraction of Phytolacca esculenta root exhibited strong inhibition against tyrosinase activity. No fraction showed significant hyaluronidase inhibition. Some solvent extracts of plants such as Achyranthes japonica and Artemisia princeps showed considerabl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 PDF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I) (Herb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II))

  • 김미성;이유선;;김희연;최해진;임상현;허수정;권순배;박동식;한상섭;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20-230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내의 자생식물 중 살포활성이 있는 식물 종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55과 98종 시료로터 MeOH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plate에서 유채(Brassica napus L.)에 대한 살초검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98종 중 놀은 살포활성($GR_{50}$ 값 < 1,000 ${\mu}g\;g^{-1}$)을 나타낸 식물은 가중나무(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고비(Osmunda japonica THUNB.),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 KITAMURA), 두릅(Aralia elata SEEM.),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 미국산사나무(Crataegus scabrida SARG.), 사군자(Quisqualis indica L.), 센달나무(Machilus japonica S. et Z.), 소귀나무(Myrica rubra S. et Z.), 실육카(Yucca smalliana FERN.),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 L.), 영춘화(Jasminum nudiflorum LINDL.), 유채(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 음나무(Kalopanax pictus (THUNB.) NAKAI),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 Houtte), 장딸기(Rubus hirsutus THUNB.), 젓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족도리풀(Asarum sieboldii MIQ.), 참으아리(Clematis terniflora DC.), 캐모마일(Anthemis nobilis L.) 등 20종으로 나타났다. 자생식물 98종 중 50종 식물은 중정도의 살초활성을 나타내었으나(1,000 ${\mu}g\;g^{-1}$ < $GR_{50}$ 값 < 2,000 ${\mu}g\;g^{-1}$), 28종 식물은 살초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토양병원균(土壤病原菌) Pythium ultimum 방제(防除)를 위한 항균성(抗菌性) 약용식물(藥用植物)의 탐색 (Screening for Antifungal Medicinal Plants Controlling the Soil Borne Pathogen, Pythium ultimum)

  • 백수봉;오연선
    • 한국균학회지
    • /
    • 18권2호
    • /
    • pp.102-108
    • /
    • 1990
  • 16과(科) 28종(種)의 작물추출액(植物抽出液)을 공시(供試)하여 Pythium ultimum에 대한 항균성(抗菌性)을 검정(檢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목단, 자리공, 대황 등 9개의 작물추출액(植物抽出液)에서 유주자낭(遊走子囊)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가 큰 것으로 나타난다. 목단, 대황, 자리공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컸으며 그 중 목단이 가장 효과가 컸다. 참깨에서 목단 추출액(油出液)이 가장 강한 발병억제효과(發炳抑制效果)를 나타냈고, 오이에서는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없었다. 자리공추출액(抽出液)에서 종자발아(種子發芽)에 약간의 약해가 나타났고 목단과 대황의 추출액(抽出液)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