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hytochemicals

Search Result 39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식물생리활성물질과 과일류 추출물이 MCF-7 유방암 세포에서 H2O2로 유도된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cted phytochemicals and fruit extracts on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activity induced by H2O2 in MCF-7 breast cancer cells)

  • 윤현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99-502
    • /
    • 2019
  • 사과 추출물(AE), 크랜베리 추출물(CE), 포도 추출물(CE), EGCG는 hydrogen peroxide에 의하여 유발된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의 PARP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GE는 본 연구에서 다른 과일류 추출물보다 우수한 PARP 활성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식품 성분으로서 안전성을 갖춘 우수한 PARP 활성 억제 소재를 발굴하여 PARP 활성 억제 기전을 구명하고 PARP 활성 억제제 효능 향상을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Phyt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Vitex negundo Leaves: a Potent Antiandrogenic and Antioxidant Agent

  • Sharath, Jayapal;Taj, Rafi Ahmed Shahin;Bhagya, Mahadevaiah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8권3호
    • /
    • pp.130-137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se phytochemicals and to explor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Vitex negundo leaves. The washed, course powder of V. negundo leaves were extracted with different solvents of increasing polarity. All the extracts were characterized and biological activities were compa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thanolic and cold water extracts showed the presence of all phytochemicals studied except protein compared to other extracts. Further, the quantitative estimation of phytochemicals showed that the ethanolic extract had highest yield and maximum amount of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alkaloids with the least amount of tannins compared to other extracts studied. Furthermore,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corresponds with the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Indeed,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steroidogenic activities were highest in the ethanolic extract than others. To conclude,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to report the characterization and antiandrogenic property of V. negundo leaf extracts. The ethanolic extract of V. negundo leaves can be used as an antioxidant and antiandrogenic agent. Hence, it can be considered for the treatment of hyperandrogenic conditions like polycystic ovary syndrome, etc.

HPLC와 GC/MS를 활용한 약용식물 유래 phytochemicals 분석 (Analysis of Phytochemicals in Popular Medicinal Herbs by HPLC and GC-MS)

  • 조현정;유동찬;조현남;판루안;김희준;강공원;정호순;양선아;이인선;지광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77-282
    • /
    • 2008
  • 본 연구는 홍삼, 인진쑥, 형개, 회향으로부터 기능성 성분을 분리 및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홍삼의 열수 추출물에 함유된 maltol과 adenosine을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었다. 그 중 maltol은 그 분획을 얻어 UV-visible 흡광도의 측정과 MS를 이용한 분자량 측정을 통하여 maltol 임을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인진쑥, 형개, 회향을 여러 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그 추출물을 GC-MS로 분석한 결과, 인진쑥에는 limonene, menthone, anethole 등의 성분이 미량 검출되었고 회향에는 limonene 외의 성분은 거의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실험 중 형개 추출물의 추출 효율이 가장 우수했는데 목적 성분 중 limonene, menthone, pulegone을 고농도로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서 천연 약용 식물에서 기능 성분의 분리, 정제 시 각 성분에 대한 화학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한방 약초로부터의 기능성 화학성분의 정량분석을 HPLC, GC-MS 등의 분석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향후 목적하는 phytochemicals을 함유한 복합체 기능성 연구에 사용하고자 한다. 약용식물 유래의 유용화합물과 안정성이 확보된 고분자 형성물질에 의해 만들어진 복합체는 새로운 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에 다양한 이용가능성이 예상된다.

인간 대장암 세포주에서 파이토케미칼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 변화 (Global Gene Expression Changes by Several Phytochemicals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 박민희;곽은희;손호용;;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19-1225
    • /
    • 2011
  • 파이토케미칼은 식물유래의 비 영양 성분으로서 항염증, 항산화, 및 화학적 암 예방 등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다섯 가지의 다른 파이토케미칼(resveratrol, genistein, epicatechin gallate, diallyl disulfid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이 대장암 세포주의 성장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세포 생존율 연구결과, 처리한 ECG를 제외한 모든 파이토케미칼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oligo DNA microarray 실험을 통해 다섯 종류의 파이토케미칼에 의해 공통적으로 증가 되는 유전자 6개와 공통적으로 발현이 감소되는 유전자 7개를 선별하였다. 공통적으로 발현이 증가되는 유전자를 선택하여 RT-PCR 방법을 통해 발현을 증명하였다. 또한, 파이토케미칼에 의한 NAG-1 단백질의 발현 증가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파이토케미칼에 의해 중재되어 지는 화학적 암 예방법의 일반적인 분자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