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ic Acid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6초

Phytic Acid와 Phytase에 관한 동물산업적 고찰 (An Animal-Industrial Review on Phytic Acid and Phytase)

  • 양시용;김창원;강창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3-102
    • /
    • 2001
  • Phytic acid (myo-inositol hexaphosphate or IP6) is the major storage form of phosphorus in cereals and legumes, representing 18 to 88% of the total phosphorus. Phytate form of phosphorus is not readily utilized by monogastric animals and this result causes pollution problem by phosporus released in areas of intensive livestock production. The interaction between phytic acid and essential dietary minerals, protein, or vitamins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primary factors limiting the nutritional values of cereals and legunes in monogastric animals. Attempts have been made to hydrolyze dietary phytic acid by phytases to improve the feed quality and to decrease the amount of phosphorus excreted by animals. Phytase(myo-inositol hexakisphosphate phosphohydrolase) hydrolyzes phytic acid to myo-inositol and phosphoric acid. Two types of phytases are known: 3-phytase (EC 3.1.3.8) and 6-phytase (EC 3.1.3.26), indicating the intial attack to the susceptable phosphoester bond. Because of its great industrial importance, there is ongoing interest in isolating new bacterial strains producing novel and efficient phytases.

  • PDF

이노시톨과 피틴산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ositol and Phytic Acid on Skin)

  • 조춘구;한창규;송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15-524
    • /
    • 2004
  • 쌀눈에서 추출한 inositol과 phytic acid를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20{\~}40$대의 아시안 여성 45명을 대상으로 7주간 inositol $0{\~}3.0\;wt\%$와 phytic acid $0{\~}1.50\;wt%$가 함유된 스킨로션을 제조, 사용 후 피부의 수분, 유분, 탄력, 주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Inositol $1.0\;wt\%가$ 함유된 스킨로션을 사용한 경우 피부의 수분 함유량은 $19\%$ 증가하였으며, 주름은 $12.4\%$ 개선되었고, 피부탄력은 $12.4\%$ 증가되었다. 또한 phytic acid $0.50\;wt\%$를 함유한 스킨 로션을 사용한 경우 피부의 수분은 $71.6\%$ 증가하였으며, 주름은 $16.9\%$ 감소하였고, 탄력은 $21.9\%$가 증가하였다. Inositol과 phytic acid를 지성과 건성피부에 적용한 결과 $2{\~}4$주 후면 정상피부의 유분량으로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Inositol과 phytic acid는 모두 피부개선에 효과적이나, phytic acid는 민감한 피부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1.0\;wt\%의$ inositol에 $0{\~}0.5\;wt\%$의 phytic acid를 첨가한 스킨로션을 제조하여 그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경우 $1.0\;wt\%$의 phytic acid에 $1.0\;wt\%$의 inositol을 사용한 경우 수분은 $63.8\%$, 탄력은$17.2\%$ 증가하였으며, 주름은 $17.4\%$ 개선되었고, 피부 유분량은 약 2주 후에 정상적인 상태로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inositol $1.0\;wt\%$$0.10\;wt\%$의 phytic acid를 첨가하여도 피부 개선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내에서 $1.0\;wt\%$의 phytic acid와 $1.0\;wt\%$의 inositol을 사용한 경우 적은 양으로도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Natural Material Extracted from Rice Bran on Skin in vivo

  • Zhoh, Choon-Koo;Han, Chang-Giu;Hong, Se-Heum;Takuo Tsuno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253-267
    • /
    • 2003
  • Inositol and phytic acic extracted from rice bran were investigated for applying cosmetics. Skin lotions containing 0∼3.0wt% inositol and 0∼1.5wt% phytic acid were applied respectively, to the arm skins of 45 Asian women 20'-40's for 7 weeks. Improvement on moisture was evaluated. In addition, improvements on sebum, elasticity, and wrinkle were examined after applying placebo, Inositol and phytic acid-containing skin lotions for face, respectively. For 1.0 wt% inositol resulted in 19% increase of moisture. The wrinkle reduction and elasticity improved 12.4% and 17.0% on average, respectively. Applying 0.5wt% phytic acid resulted in 71.6% increase the moisture. Improvements on wrinkle and elasticity were 15.9% and 21.9% respectively. Applying inositol or phytic acid regardless of dry or oily, resulted in sebum value recovery to that of the normal skin after 2- 4 weeks. Inositol is inferior to phytic acid in improvenients of the skin, and phytic acid is not suitable to sensitive skin. So 0-0.5wt% of phytic acid were added to 1.0wt% inositol and simila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case of added 0.1wt% phytic acid, moisture increased 63.8% approximately. Improvements on elasticity and reduction on wrinkle were 17.2% and 17.4%, respectively. Both skin types were turned to normal skin type after 2 weeks. It could improve the skin condition when used inositol added phytic acid. The optimized concentration of phytic acid was 0.10wt% with 1.0wt% of inositol for synergic effect.

  • PDF

탈지미강으로부터 Phytic Acid의 추출과 정제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Phytic Acid from Defatted Rice Bran)

  • 최문실;한복경;최혁준;박영서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3호
    • /
    • pp.276-281
    • /
    • 2011
  • 탈지미강으로부터 피틴산을 추출 및 정제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설정하였다. 탈지미강을 10배수의 0.5% HCl 용액으로 1시간 처리하였을 때 피틴산의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중화제로는 0.5% NaOH 용액이 적합하였다. 피틴산의 정제를 위하여 Diaion HP20 흡착 컬럼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여러 가지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피틴산을 정제하였을 때 Amberlite IRA-416 이온교환수지의 회수율이 가장 높았다. Amberlite IRA-416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피틴산을 수지에 흡착시킨 다음 0.5% NaOH 용액으로 용출시켰을 경우 89%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피틴산의 총단백질 함량은 0.14%(w/w)로 대부분의 단백질이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전립분 첨가빵의 품질과 제빵 과정 중 Phytic Acid 변화 (Qualities of Bread and Changes in Phytic Acid during Breadmaking with Whole Wheat Flour)

  • 김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79-785
    • /
    • 1996
  • 전립분 입도를 달리하여 거친전립분, 고운전립분을 각각 첨가했을 경우 첨가량에 따른 제빵과정 중 phytic acid 함량 변화와 전립분 첨가빵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회분 함량은 밀가루가 0.413%, 전립분이 1.569%로 전립분이 밀가루 보다 무기성분이 현저히 많았으며, 섬유소도 같은 경향이었다. Amino acid 중에서 glutamic acid 의 함량이 밀가루 및 전립분에서 32~36g/100g protein으로 다른 amino acid 함량 보다 많았다. Lysine, glycine, arginine, aspartic acid는 전립 분에 많았으며, proline, glutamic acid, phenylalanine은 밀가루에 많았다. Phytic acid 함량은 밀가루에서 0.312%, 전립분에서 0.734% 로 나타났다. 제빵 과정 중 phytic acid 함량은 yeast 첨가량 3%첨가구 보다 5% 첨가구에서 더 크게 감소하였다. Phytic acid 함량은 yeast food 무첨가, 0.1, 0.3 및 0.5% 첨가 중 0.1% 첨가구에서 감소되는 효과가 가장 컸다. 전립분 첨가빵 품질에 있어서 거친전립분 30%, 고운전립분 50% 첨가까지는 빵의 부피에 현저한 감소는 없었다. 전립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빵의 부피는 감소하고 색택이 검어졌으며, 관능검사는 거친 전립분 20% 첨가, 고운전립분 30% 첨가한 것이 선호도가 높았다.

  • PDF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한 메주제조 중 피트산과 무기질의 상호작용 (Interaction of Phytic Acid with Minerals during Meju Preparation)

  • 강현주;박은순;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3-407
    • /
    • 1984
  • 본 연구는 대두 식품의 개발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는 phytic acid에 의한 무기질의 체내 이용도의 감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전통적 대두 발효 식품인 메주를 제조하여 발효에 의한 phytic acid 함량과 phytase 활성 변화 및 그에 따른 phytic acid와 무기질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였다. 날콩, 열처리콩, 메주내에서의 총인의 함량은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phytic acid 함량은 메주에서가 날콩이나 열처리콩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시료 1g당 phytase 활성은 날콩이 7.18units, 열처리콩이 0.11 units, 메주가 16.37 units로 나타나 발효동안에 phytase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Zn, Fe, Ca의 함량은 날콩, 열처리콩, 메주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ultrafiltration 한 후 retentate에 보유된 Zn, Fe, Ca 함량은 날콩에서 보다 메주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 PDF

청국장 제조과정에서 Bacterial Phytase에 의한 Phytic Acid의 분해 (Degradation of Phytic acid in Chungkookjang Fermented with Phytase-producing Bacteria)

  • 정지흔;강성국;김용순;정희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3-428
    • /
    • 1990
  • 재래식 발효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8균주 중 phytase 생산성이 높은 3균주는 Bacillus subtilis, Bacillus licheniformis, Staphylococcus epidermidis로 동정되었다. 이들 phytase 생산균주를 단독 또는 혼합균주로 하여 35-$40^{\circ}C$와 pH 7.0의 최적조건에서 5일 동안 청국장을 발효시켰을 때 최대의 phytase 생산성을 보였으며 glutamic acid와 leucine 등의 일부 아미노산과 riboflavin의 함량이 증가되고 phytic acid 의 분해율도 재래식 청국장에서 보다 훨씬 높았다. 특히 B.subtilis와 B.licheniformis의 혼합균주로 발효시켰을 때 phytic acid 함량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 PDF

Enhancement of Anti-tumorigenic Polysaccharide Production, Adhesion, and Branch Formation of Bifidobacterium bifidum BGN4 by Phytic Acid

  • Ku, Seock-Mo;You, Hyun-Ju;Ji, Geun-Eo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749-754
    • /
    • 2009
  • The polysaccharide (BB-pol) extracted from Bifidobacterium bifidum BGN4 showed growth inhibitory effects on several colon cancer cell lines such as HT-29 and HCT-116. To increase the yield of polysaccharide, B. bifidum BGN4 was cultured in various culture media with different compositions. When B. bifidum BGN4 was cultured in modified MRS broth containing phytic acid, the cells showed increased branch formation and enlarged morphology. The content of total carbohydrate and the ability of adhesion to intestinal epithelial cells were also increased by phytic acid. The polysaccharide obtained from the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phytic acid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cancer cell lines such as HT-29 and MCF-7 cells but not normal colon cell line, FHC. Taken together, Bifidobacterium grown in the presence of phytic acid may confer enhanced beneficial function for the host.

처리방법에 따른 종자중 Phytic acid 의 함량변화 (Effects of Soaking , Germination , Incubation and Autoclaving on Phytic Acid in Seeds)

  • 안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16-521
    • /
    • 1985
  • 녹두, 대두, 참깨 및 들깨를 상온에서의 침지 및 발아 그리고 $60^{\circ}C$에서 incubation 및 $120^{\circ}C$에서 autoclaving시켰을 때 이들의 처리가 phosphorus와 phytic acid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otal P는 24시간의 침지와 incubation에서 약간 감소하였고, $5{\sim}6$일간의 발아에서는 녹두와 대두에서 약간의 증가를 보이었으나 전체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Inorganic P는 24시간의 침지후에 전시료에서 그함량이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발아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급속히 증가하였다. 10시간의 incubation에서 참깨와 들깨 inorganic P는 증가되었으나 두류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고, 4시간의 autoclaving으로는 두류에서 $244{\sim}285%$정도 증가되었으나 깨종실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Phytic acid는 침지시 녹두에서 25%로 가장 많이 감소되었고 둘째는 7%로 가장 적게 감소되었다. 이들 종실의 발아시는 $5{\sim}6$일 후에 녹두의 phytic acid는 92%, 대두는 76% 그리고 참깨는 78%나 크게 감소되었고, incubation시는 녹두와 대두에서 각각 83%와 61% 감소되었고, autoclaving시에도 대두에서 68%, 깨에서 17%까지 감소되었다.

  • PDF

Citric acid와 phytic acid가 첨가된 된장의 색도와 품질특성 (Color and Quality Properties of Doenjang Added with Citric Acid and Phytic Acid)

  • 곽은정;박완수;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55-460
    • /
    • 2003
  • 된장의 생산성 증대 및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된장의 갈변을 억제하기 위해 0.25%와 0.5% citric acid와 phytic acid를 첨가하여 된장을 제조하고 이들 유기산이 색도와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30^{\circ}C$에서 80일간 저장하면서 pH, 산도, 아미노태 질소, 효소활성, 색, 갈변억제율, 미생물수를 측정하였고 관능검사도 실시하였다. Citric acid와 phytic acid 첨가농도와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산도와 갈변억제율은 더욱 증가하였고, pH, 아미노태 질소 및 효소활성은 더욱 저하되었다. 총균, 효모 및 젖산균수는 pH 저하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관능검사결과, panel들은 갈색 정도의 차이만을 유의적으로 인식하였고 향, 구수한 맛, 신맛, 기호도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못하였다. 한편 0.25% 첨가시는 갈변은 억제되면서 품질특성뿐 아니라 관능적 특성도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citric acid와 phytic acid는 새로운 된장의 갈변억제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