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Traits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열대, 아열대 지역 수집 렌즈콩, 병아리콩, 송이콩 유전자원의 농업형질과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Agricultural Trai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ntil (Lens culinaris Med.), Chickpea (Cicer aretinum L.), and Guar (Cyamopsis tetragonoloba L.) Germplasms Collected from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 최유미;이수경;이명철;오세종;허온숙;조규택;윤문섭;현도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53-462
    • /
    • 2018
  • 본 연구는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수집된 다양한 두류 작물의 국내적응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농업형질을 조사하고, 유용성분을 평가하여 정보를 제공하므로써 자원의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에는 렌즈콩 68, 병아리콩 72, 송이콩 61자원, 총 3작물 201자원을 공시하였다. 작물별 개화일수 평균은 56.7일에서 60.8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작물별 성숙일수 평균은 26.1일(렌즈콩)에서 107.3일(송이콩)로 변이가 매우 컸다. 작물별 생육일수의 평균은 렌즈콩이 86.8일로 가장 짧고, 병아리콩 108.4일, 송이콩이 163.9일로 가장 길었다. 열대, 아열대 수집 두류 중 병아리콩과 송이콩은 정상적인 개화, 결실로 국내재배가 가능하였으나, 송이콩의 생육일수를 줄일 수 있는 작형개발이 필요하며, 렌즈콩은 5월 이후 기온 상승으로 인해 정상적인 개화, 결실에 어려움이 있어 늦여름 작형을 고려해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작물별 100립중의 평균과 범위는 렌즈콩 2.2 g, 1.8-5.3 g, 병아리콩 22.9 g, 7.4-74.6 g, 송이콩 3.8 g, 3.2-5.0 g이었다. 두과 작물은 단백질과 섬유질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본 결과의 작물별 조단백 함량 평균은 17.3-26.4%, 조섬유 함량 평균은 4.3-9.5%로 조단백, 조섬유 모두 송이콩의 평균 함량이 가장 높았다. 작물별 식이섬유 함량 평균은 15.7-50.7%로 렌즈콩, 병아리콩은 대조품종인 신선두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송이콩은 월등히 높아(평균 50.7%, 최고 56.3%, IT208112) 식이섬유 고함유 작물로서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렌즈콩, 병아리콩, 송이콩 모두 100립중과 조섬유, 식이섬유 함량간에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병아리콩의 100립중 변이가 큼에 따라 상관관계가 있는 모든 성분 함량의 변이도 컸다. 전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작물인 강낭콩의 성분 함량과 비교한 결과 평균 조단백 함량은 송이콩과 렌즈콩에서, 조지방, 조섬유 함량은 송이콩과 병아리콩에서 식이섬유 함량은 송이콩에서 우수하였다. 송이콩은 조단백, 조섬유, 식이섬유 함량이 다른 두류 작물보다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가공용, 기능성용, 산업용 등 용도를 발굴하여 활용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두 가지 삼원교잡종 (랜드레이스 × 요크셔 × 두록 및 랜드레이스 × 요크셔 × 우리흑돈)의 육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Two Different Three-way Crossbred Pigs (Landrace × Yorkshire × Duroc and Landrace × Yorkshire × Woori black pig))

  • 김정아;조은석;이미진;정용대;최요한;조규호;정학재;백선영;김영신;사수진;홍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95-202
    • /
    • 2019
  • 본 연구는 외화 낭비를 줄이기 위해 우리흑돈이 종료종모돈으로써 두록을 대체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랜드레이스 ${\times}$ 요크셔 ${\times}$ 두록(LYD)과 랜드레이스 ${\times}$ 요크셔 ${\times}$ 우리흑돈(LYW)의 두 삼원교잡종에서 등심의 육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이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은 180일령의 LYD 59두와 LYW 60두, 총 119두를 이용하였으며, 도축 후 24시간 동안 냉각시키고, 돈육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 육색, 지방산 조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 성분 결과 수분 및 보수력은 두 품종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지방 함량 및 가열감량은 LYW에서 LYD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전단력 및 pH는 LYW가 LYD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육색지수를 확인한 결과 적색도($a^*$) 및 황색도($b^*$)가 LYW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두 품종의 지방산 함량을 비교한 결과 Stearic acid(C18:0)가 LYD에 비해 LYW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검사 결과 LYW가 LYD에 비해 육색과 풍미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는 LYD와 비교하여 LYW에서 특정 화학적 특징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우리흑돈이 수입 종돈인 두록의 대체 종돈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Grain Quality Traits between Japonica Rice Cultivars from Korea and Yunnan Province of China

  • Yu, Teng-Qiong;Jiang, Wenzhu;Ham, Tae-Ho;Chu, Sang-Ho;Lestari, Puji;Lee, Jeong-Heui;Kim, Myeong-Ki;Xu, Fu-Rong;Han, Longzhi;Dai, Lu-Yuan;Koh, Hee-Jong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135-140
    • /
    • 2008
  • Improving eating qua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in japonica rice breeding programs in Yunnan Province of China. Eating quality and its relevant traits of nine Korean and 11 Yunnan rice cultivar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this study. The grain shape of most Yunnan japonica rice cultivars have a relatively slender shape and are slightly larger than Korean rice cultivars. Palatability value of cooked rice of Yunnan rice cultivars was significantly lower, while the protein content of Yunnan rice cultiv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Korean cultivars. Peak viscosity and breakdown viscosity of the Yunnan rice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lower, while setback viscosity of the Yunnan rice cultiv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Korean rice cultivars. Palatability value of cooked ri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tein content and setback viscosity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ak viscosity, breakdown viscosity, and cool paste viscosity.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 equation for estimating palatability value(PV) of cooked rice based on quality traits was generated as dependent only upon protein content(PC), PV=139.024-(10.865$\times$PC) with an $R^2$ value of 0.822. The results suggest that reducing protein contents should be the major target in improving eating quality of Yunnan japonica rice cultivars through integrated approaches of both cultivar development and appropriate cultural practices. Genetic similarities among cultivars based on DNA markers which had been identified as associated with grain quality seemed not to be directly related to PV.

  • PDF

Optimizing the Combination of Smoking and Boiling on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Boiled Loin (M. longissimus dorsi)

  • Choi, Yun-Sang;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Kim, Yong-Jae;Jung, Tae-Jun;Kim, Young-Boo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9-155
    • /
    • 2015
  • The combined effects of smoking and boiling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technological quality traits, shear forc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boiled loin were studied. Cooking loss, processing loss, and shear force were lower in the smoked/ boiled samples than those in the control (without smoking treatment) (p<0.0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oiled loin samples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protein, fat, or ash contents, or pH values (p>0.05). The treated samples had higher score for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e control (p<0.05). Thu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traditional boiled loin treated with smoking for 60 min before boiling had improv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Effect of Cacao Bean Husk Powder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Pork Sausages

  • Choi, Jinhee;Kim, Nami;Choi, Hae Yeon;Han, Young S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42-755
    • /
    • 2019
  • Cacao bean husk (Theobroma cacao L.) contains a high level of dietary fiber and therefore can be used as raw material in food processing.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measu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traits of emulsion-type pork sausages with various levels of cacao bean husk powder (0.25%, 0.5%, 0.75%, 1%, and 2%). The moisture content in cooked sausages increased as the level of cacao bean husk power increased, whereas the protein content decreased (p<0.05). With respect to color, as the level of cacao bean husk power increased, there was a decrease in lightness and yellowness, but there was a considerable increase in redness (p<0.05). Cacao bean husk powder exhibited a positive effect on emulsion stability and apparent viscosity. In the sensory evaluation, increased level of cacao bean husk increased flavor acceptability; the 0.75% and 1% treatment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 overall acceptability (p<0.05).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pecies content of cooked sausages indicated that with the addition of cacao bean husk powder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oxidation in the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p<0.05). Overall,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adding 0.75% and 1% cacao bean husk powder as a natural ingredient in sausages can help develop meat products with excellent qualities.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 Culture: Impact on Fermented Malt Beverage Volatile Profile, Sensory Analysis, and Physicochemical Traits

  • Moeun Lee;Daun Kim;Ki Won Lee;Ji Yoon C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8호
    • /
    • pp.1653-1659
    • /
    • 2024
  • Starter cultures used during the fermentation of malt wort can increas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ing beverag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roma composition and flavor recognition of malt wort beverages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evilactobacillus brevis WiKim0194) isolated from kimchi, using metabolomic profiling and electronic tongue and nose technologies. Four sugars and five organic acids were detect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maltose and lactic acid present in the highest amounts. Additionally, e-tongue measuremen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ourness (AHS), sweetness (ANS), and umami (NMS) sensors, whereas bitterness (SCS) significantly decreased. Furthermore, 20 key aroma compounds were identifi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15 key aroma flavors were detected using an electronic nose. Vanillin, citronellol, and β-damascenone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lavor profile of the beverage fermented by WiKim0194, which correlated with floral, fruity, and sweet notes. Therefore, we suggest that an appropriate starter culture can improv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predict flavor development in malt wort beverages.

비육돈에서 사료의 에너지 수준과 도살체중이 성장성적과 도체의 등급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 and Slaughter Weight on Growth Performance and Grades and Quality Traits of the Carcass in Finishing Pigs)

  • 박만종;정진연;하덕민;한정철;심태건;박병철;박구부;주선태;이철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143-154
    • /
    • 2009
  • 생체중 $80.2\pm0.2$ kg의(Y $\times$ L) $\times$ D 교잡종 암퇘지와 거세돼지에게 "중에너지" 혹은 "저에너지" (3.2 vs 3.0 Mcal DE/kg) 사료를 급여하고 110, 125, 혹은 138 kg에 도축한 다음 이들 도체의 주요 부분육에 대한 이화학적 및 관능 품질 특성을 2(성) $\times$ 2 (사료) $\times$ 3 (도살체중) 요인분석 실험 설계 하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당증체량과 일당사료 섭취량은 암퇘지에서보다 거세돼지에서 컸고(P<0.01), 110 kg 도살체중 구보다 125 및 138 kg 구가 컸다(P<0.01). 또한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은 중에너지 구가 저에너지 구보다 컸던(P<0.01) 반면 일당사료섭취량은 저에너지 구가 중에너지 구보다 컸다(P<0.01). 등지방두께는 도살체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P<0.01) 성 혹은 사료의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도체의 지방침착도는 암퇘지와 저에너지 구가 각각 거세돼지와 중에너지 구보다 높았다(P<0.01). 육질등급은 저에너지 구가 중에너지 구보다 우수하였으나 도살체중의 영향은 받지 않은 반면 육량등급은 일차적으로 A와 B 등급에 요구되는 도체중 상한선 때문에 도살체중 125 kg과 138 kg 사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삼겹살, 뒷다리 및 등심의 pH, 육즙참출율 및 색깔관련 변수 등을 포함한 이화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비록 몇몇 경우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발견되기는 하였으나 품질적인 척도에 있어서는 어느 처리요인의 영향도 받지 않았다. 관능평가에서 삼겹살 신선육의 기호도는 어느 처리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 받지 않았다. 뒷다리 신선육의 상강도는 중에너지 대비 저에너지 구에서 높았고(P<0.01) 도살체중 110 kg과 125 kg 사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10), 등심에서는 이들 두 도살체중 사이 본 변수의 증가는 유의성이 있었다(P<0.01). 가열육에서는 삼겹살과 뒷다리의 기호도에서 저에너지 구가 중에너지 구보다 우수하였으나 도살체중은 세 부위 모두에서 본 연구에서 평가된 모든 관능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결과는 도체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도살체중을 138 kg 까지 높일 수 있고, 저에너지 사료는 도체 및 주요 부분육 품질에 다소간의 유익한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요크셔, 두록, 피어트레인 및 교잡동(두록 × 피어트레인)의 육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rkshire, Duroc, Pietrain and Crossbred Pigs (Duroc × Pietrain))

  • 이미진;조은석;최태정;김용민;김영신;정용대;김남형;조규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16-125
    • /
    • 2018
  • 본 연구는 Yorkshire, Duroc, Pietrain, Duroc ${\times}$ Pietrain (DP)의 품종들에서 등심의 육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화학적 분석 및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은 총 79두(Yorkshire 22두, Duroc 22두, Pietrain 17두, DP 18두) 암퇘지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돈육의 이화학적 성상, 육색, 지방산 조성 및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도축 후 24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좌도체로부터 돈육 등심 부위를 발골 및 정형하여 진공포장 후 일반성분 분석, 이화학적 분석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pH는 Yorkshire, Duroc, DP가 Pietrain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 수분함량은 Pietrain이 다른 품종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p<0.01). 지방함량은 Duroc($3.69{\pm}1018$)과 DP($3.71{\pm}1.32$)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Pietrain이 $1.48{\pm}0.48$로 가장 낮았다(p<0.01). Pietrain은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드립 감량에서 $68.61{\pm}3.58$로 가장 낮았지만(p<0.01) 보수력에서는 $74.67{\pm}0.39$로 가장 높았다(p<0.01). 가열감량과 전단력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육색지수의 경우 명도(L*)와 적색도(a*), 황색도(b*)에서 품종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1). 관능검사의 경우 Pietrain이 다른 품종들에 비해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품종의 차이에 따라 육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삼계용 신품종 토종닭의 육질특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eat Quality Traits of New Strains of Native Chickens for Samgyetang)

  • 이성윤;박지영;현정민;정사무엘;조철훈;남기창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75-182
    • /
    • 2018
  • 기존의 삼계용 토종닭 품종과 GSP 육종을 통해 개발 중인 신품종 토종닭 후보라인의 도체 및 육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 조건에서 사육한 5주령의 한협3호(H), 백세미(W), 토종닭 후보라인 3계통(A, C, D)으로 구성된 250수를 도축하여 도체형질을 측정하고, 가슴육을 이용하여 육질성분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체중은 W가 875.10 g으로 가장 높았고, 후보라인A 가 537.54 g으로 가장 낮았다(P<0.05). W는 브로일러의 특성인 가슴살의 비율이 높고, 가슴살의 지방함량도 높았다. 후보라인 3계통은 H와W 보다 linoleic acid(C18:2)의 함량이 높았다. 특히 후보라인 중 A와 D는 토종닭에서 특징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arachidonic acid(C20:4) 함량이 C에 비해 높았다. 전반적인 지방산 조성에서 후보라인 A와 D는 대조구 H 와 유사하였으며, 후보라인 C는 W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 흥미로웠다. 백세미(W)보다는 시중 토종닭(H)과 유사한 지방산 조성을 보인 후보라인 A와 D의 관능평가 점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삼계용 토종닭과 백세미를 대체하는 새로운 품질특성을 지닌 삼계용 토종닭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Effects of Feeding Purple Rice (Oryza sativa L. Var. Glutinosa) on the Quality of Pork and Pork Products

  • Jaturasitha, Sanchai;Ratanapradit, Punnares;Piawong, Witapong;Kreuzer, Michae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4호
    • /
    • pp.555-563
    • /
    • 2016
  • Purple rice is a strain of glutaneous rice rich in anthocyanins and ${\gamma}$-oryzanol. Both types of compounds are involved in antioxidant and lipid metabolism of mammals. Three experimental diet types were used which consisted approximately by half either of purple rice, white rice or corn. Diets were fed to $3{\times}10$ pigs growing from about 30 to 100 kg. Meat samples were investigated either as raw or cured loin chops or as smoked bacon produced from the belly. Various physicochemical traits were assessed and data were evaluated by analysis of variance. Traits describing water-holding capacity (drip, thaw, and cooking losses) and tenderness (sensory grading, shear force) of the meat were mostly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et type. However, purple rice feeding of pigs resulted in lower fat and cholesterol contents of loin and smoked bacon compared to white rice, but not compared to corn feeding except of the fat content of the loin. The shelf life of the raw loin chops was improved by purple rice as well. In detail, the occurrence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fter 9 days of chilled storage was three to four times higher in the white rice and corn diets than with purple rice. The n-6:n-3 ratio in the raw loin chops was 9:1 with purple rice and clearly higher with 12:1 with the other diets, meat lipids. Level and kind of effect of purple rice found in raw meat was not always recovered in the cured loin chops and the smoked bacon. Still the impression of flavor and color, as well as overall acceptability were best in the smoked bacon from the purple-rice fed pigs, whereas this effect did not occur in the cured loin cho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rple rice has a certain, useful, bioactivity in pigs concerning meat quality, but some of these effects are of low practical relevance. Further studies have to show ways how transiency and low recovery in meat products of some of the effects can be countera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