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41초

죽초액을 급여한 한우육의 냉장 저장기간 중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 특성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Microbi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n Hanwoo Beef Fed With Supplemental Bamboo Vinegar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국길;김광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3-408
    • /
    • 2005
  • 본 연구는 비육중인 한우 암소 15두를 대조구와 죽초액 $3\%$$6\%$ 처리구로 나누어 4개월 동안 죽초액을 급여한 후 생산된 등심육을 저장기간 중 물리화학적, 미생물적 및 관능평가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명도는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 3 및 9일에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적색도는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 3 및 9일에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은 반면에, 황색도는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일과 3일에 유의적으로 (p<0.05) 증가하였다. TBA와 총균수는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일과 3일에 낮았으며(p<0.05), 가열 감량은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9일과 15일에 낮게(p<0.05) 나타났다. 전단력은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 3 및 9일에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다. 맛은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일과 3일에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김치원료로서 연근과 더덕의 절임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Lotus and Lance Asia bell as Ingredients of Kimchi)

  • 조정은;유가영;이미애;정영배;양지희;한응수;서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144-1150
    • /
    • 2012
  • 본 연구는 김치원료의 다양화를 위해 기존의 김치 주원료인 배추를 대체할 수 있는 근채류를 발굴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연근과 더덕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절임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근과 더덕의 김치원료로서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도, pH, 산도, 환원당, 경도, 색도, 수분, 일반세균, 젖산균을 측정하였다. 절임시간에 따라 더덕의 수분함량 감소가 연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경도의 변화 역시 더덕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연근과 더덕의 초기 pH는 각각 5.7과 6.3이었으며, 절임기간이 늘어날수록 pH는 내려가는 경향을 보였다. 김치는 발효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발효성 당류가 유기산 등 다른 물질로 전환되므로 발효를 위해서는 환원당이 필수요소로 더덕의 경우는 환원당이 25~39 mg/g의 범위로 나타났으나, 연근의 경우는 환원당이 1.1~2.5 mg/g의 범위로 나타나 환원당이 거의 없어 김치의 주원료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학적 특성도 연근의 경우 김치의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젖산균의 증식이 거의 관찰되지 않아 김치의 주원료로는 적합하지 않았으나, 더덕의 경우는 절임 48시간 후 젖산균수가 $2.1{\times}10^4CFU/mL$로 나타나 김치 원료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간석지 생태계 복원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toration Creation of Tidal Flats)

  • 이정규;이남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1호
    • /
    • pp.77-82
    • /
    • 2000
  • 3개소의 자연갯벌과7개소의 인공갯벌을 대상으로 토양중의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및 미생물호흡량등과 같은 갯벌의 구조와 기능을 비교 평가하므로서 갯벌의 복원 및 창출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자연갯벌의 실트함유량, 질소 및 탄소함유량은 인공갯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화환원전위에 있어서도 자연갯벌의 경우는 토양 깊이 2cm이하부터 환원층이 발달되었지만, 인공갯벌의 경우는 토양 표면에서 20cm이상까지 산화층을 나타내었다. 자연갯벌의 미생물현존량은 인공갯벌들과 비교하여 10~100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토양중의 미생물현존량과 실트함유량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저서생물과 미생물호흡량은 자연갯벌과 인공갯벌 간에 현저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갯벌의 정화기능을 정량적으로 산정한 결과, 인공갯벌이 자연갯벌보다 해수의 정화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자연갯벌보다 인공갯벌이 정화에 관여하는 토양의 투수층이 깊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인공갯벌 중에도 자연갯벌과 유사한 해수유동의 분포를 가진 지역에서는 자연갯벌과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해수의 정화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인공갯벌의 창출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자연갯벌과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인공갯벌을 복원 또는 창출하기 위해서는 토양 중의 실트과 같은 미소입자의 함유량을 높게 유지하여 미생물현존량을 높게 유지시키고, 실트함유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해수의 유동을 약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이나 입지조건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 PDF

국내 시판 육제품의 이화학적, 조직적 특성 및 미생물의 성상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and Microbial Counts of Meat Products Sold at Korean Markets)

  • 진구복;김경훈;이홍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8-105
    • /
    • 2006
  •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육가공품들을 구입하여 이화학적 및 조직적 특성 및 미생물 검사를 통해서 소비자들의 기호성과 적합한 육가공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측정한 19가지 육제품은 소시지와 햄으로 pH는 $5.46{\sim}6.69$, 수분은 $47.6{\sim}65.3%$, 지방은 $14.2{\sim}34.7%$, 그리고 단백질은 $9{\sim}20%$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고 햄의 단백질 함량이 소시지에 비하여 높았다. 진공감량은 $2.40{\sim}7.44%$ 범위로 나타났고 원심분리에 의한 유리수분의 함량은 $6.10{\sim}28.3%$의 범위로 독일형 소시지의 보수력이 비교적 낮았다. 육색은 명도가 $59.6{\sim}75.7$, 적색도는 $11.6{\sim}21.1$, 그리고 황색도는 $2.30{\sim}11.4$로 나타났으며 조직감은 각 제품 별로 다양한 수치를 보여 부서짐성, 경도, 탄력성은 계육으로 제조한 Frank A가 가장 높은 반면 응집성, 검성, 저작성은 로인햄과 Beershinken이 비교적 높아 단백질 함량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미생물 검사 결과 총균수는 대부분에서 3.00 log CFU/g 이하이었고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2.00 log CFU/g).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시중에서 판매되는 육제품은 매우 다양하고 비교적 위생적이지만 현대 소비자들의 용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능성 저지방, 저염 기능성 웰빙 육제품의 개발이 필요로 된다.

콜레스테롤 저하 유산균의 분리 및 이들 균주의 이화학적 특성 (Selec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which had Cholesterol Lowering Activities)

  • 오민근;이영환;최기춘;이용규;신승이;김종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83-90
    • /
    • 1999
  • 전통 발효유로부터 콜레스테롤 저하능을 갖는 Lactobacillus (L.) rhamnosus, L. casei, Lactococcus (Lacto.) lactis spp., 그리고 Enterococcus(E.) faecium 각각 1주를 분리, 동정하고, 이들 균주의 내산성 , 내담즙성, 콜레스테롤 저하정도를 조사하였다. 선발 균주의 내산성은 pH 1.5에서는 L. rhamnosus 2084가, pH 2.5에서는 L. casei 078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pH 3.0에서는 4 균주가 유사하였다. 내담즙성 및 콜레스테롤 저하 정도는 전반적으로 L. rhamnosus 2084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들 균주를 starter로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경시적으로 제조된 발효유의 pH, 산도, 유산균수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양 온도 및 배양 시간에 따른 ph, 산도, 그리고 유산균수의 변화를 고려했을 때, 선발 균주의 요구르트 제조 적정 온도 및 배양시간은 L. casei 0781과 L. rhamnosus 2084의 경우 $40^{\circ}C$에서 각각 6시간, 4시간이었으며, Lacto. lactis 204는 $37^{\circ}C$에서 6시간, 그리고 E. faecium 402는 $37^{\circ}C$$40^{\circ}C$에서 12시간이었다.

  • PDF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생리(生理) 및 생태학적(生態學的) 특성(特性) -제(第) 1 보(報).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토양특성(土壤特性)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Distributed in Korea -I.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the Indigenous Rhizobia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 류진창;이성재;서장선;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8-49
    • /
    • 1986
  • 우리나라 대두작부형별(大豆作付型別)로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토양(土壤)의 이화학적특성(理化學的特性) 및 공존미생물(共存微生物)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 관(關)하여 조사(調査) 비교(比較)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전국(全國) 60개(個) 밭 토양(土壤)의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분포(分布)는 $2{\sim}197{\times}10^4cells/g$ 범위(範圍)였으며, 대두작부간(大豆作付間) 평균(平均)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는 대두무재배지(大豆無栽培地)는 $20.5{\times}10^4cells/g$, 대두재배지(大豆栽培地)에서는 $35.6{\times}10^4cells/g$로서 대두무재배지(大豆無栽培地)보다 높은 균수밀도(菌數密度)를 보였다. 이들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를 토성별(土性別)로 보면 양토(壤土)>사토(砂土)>사양토(砂壤土)>식양토(埴壤土)>식토(埴土) 순위(順位)로 많았으며, 9개(個) 농업기후대권간(農業氣候帶圈間)에는 경기만권(京畿彎圈)이 $10{\sim}15{\times}10^4cells/g$로 제일 적었고, 남부권(南部圈)이 $71{\sim}145{\times}10^4cells/g$로서 높은 분포밀도(分布密度)를 보였다. 2.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는 일반토양미생물(一般土壤微生物)인 호기성총세균(好氣性總細菌) 및 총사상균수(總絲狀菌數)와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나 총방선균수(總放線菌數)와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3.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와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서 산도(酸度), 유효인산(有效燐酸), 치환성(置換性) 석회(石灰), 고토(苦土), 동(銅) 및 붕소함량(硼素含量)과는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나, 치환성(置換性) 나트리움, 알루미늄, 활성철(活性鐵) 및 황산(黃酸)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 PDF

교잡종 돼지에서 도체등급에 따른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rossbred Pigs with Carcass Grade)

  • 진상근;김일석;송영민;허선진;하경희;김회윤;류현진;하지희;김병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6-252
    • /
    • 2004
  • 재래돼지 수컷과 랜드레이스 암컷을 교배하여 생산된 돼지 250두의 등급에 따른 돼지의 도체 특성과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체중, 도체중, 지육율 및 등지방 두께는 E등급이 다른 네 등급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다. 등급이 높을수록 가열 감량은 유의적으로(P<0.05) 많았으며, 수분 및 조지방 함량, PH 및 전단가는 등급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육색 a*값은 C와D등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A등급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L*값과 b*값은 등급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방색 b*값은 A와 E 등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 등급이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L*값과 a* 값은 등급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열육의 부착성과 씹힘성은 등급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P<0.05)높게 나타났으나 경도, 응집성, 탄력성 및 파쇄성은 등급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방산조성은 등급이 높을 수록 palmitic산 함량이 유의적으로(P<0.05) 높고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은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으며, 기타 다른 지방산들은 등급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 삽목증식에 미치는 상토의 영향 (Effect of Bedsoil on Cutting Propagation of Old Growth and Protected Tree of Salix chaenomeloides Kimura)

  • 송현진;정미진;김학곤;서영롱;임현정;양우형;박동진;윤석락;마호섭;최명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76-83
    • /
    • 2015
  • 본 연구는 경남에 자생하고 있는 100-600년 추정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의 생육특성을 분석하고, 상토에 따른 삽목증식의 영향을 구명하였다.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 6개체는 마을형 4개소, 하천형 주변 1개소, 들판형 1개소에 자생하고 있었다. 삽목증식은 10가지 상토에서 실시하였으며, 모든 상토에서 삽목묘의 생존율은 93%이상이었다. 삽목묘의 묘고 생장이 가장 좋았던 상토는 시판 바이오상토(CBS, mean=60.01 cm)였으며, 다음으로 혼합상토(VPMP, mean=42.95 cm), 피트모스(PM, mean=41.81 cm) 순이었다. 근원경의 생장은 상토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였으며, 신초는 1-4개 형성되었다. 삽목묘의 뿌리길이는 묘고 생장이 좋았던 상토였던 CBS와 VPMP에서 20 cm 이상 생장하였다. 상토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바, 왕버들의 삽목에는 보습력과 통기성이 양호하며, EC값이 높은 약산성의 상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CBS와 VPMP 상토는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의 삽목증식에 적합한 상토로 나타났다.

아질산염과 녹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김치 발효 소시지의 미생물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in Kimchi-fermented Sausages with Sodium Nitrite and Green Tea Extract)

  • 강선문;김태실;조수현;박범영;이성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299-305
    • /
    • 2012
  • 본 연구는 김치 발효 소시지(Kimchi-fermented sausage)에서 아질산염과 녹차 추출물이 미생물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 소시지는 $24^{\circ}C$/RH 89%에서 17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10^{\circ}C$/RH 70~80%에서 9일간 건조시켰다. 총균수, 젖산균수 및 pH는 최종 9일째에 각각 8.7 Log CFU/g sausage, 8.1~8.3 Log CFU/g sausage 및 4.35~4.36이었으며, 숙성기간 동안 처리구들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방산화(TBARS)는 아질산염과 녹차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녹차 추출물 첨가구가 아질산염 첨가구보다 낮은 효과를 보였다. 색깔은 녹차 추출물 첨가구가 숙성기간 동안 대조구(무첨가구) 보다 높은 황색도($b^*$)를 유지하였으나, 아질산염 첨가구의 경우 다른 처리구들보다 높은 적색도($a^*$)와 황색도($b^*$)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녹차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김치 발효 소시지의 지방산화 안정성이 증가되었으나, 아질산염에 비해 지방산화 안정성 및 색깔 안정성이 낮았다. 하지만 녹차 추출물과 아질산염 모두 젖산균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가속실험을 이용한 상업적 멸균처리 한식 탕반류의 유통기한 평가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Commercially Sterilized Korean Soups using accelerated experiment)

  • 한경수;이은정;홍상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9-154
    • /
    • 2005
  • 육개장, 사골우거지탕, 갈비탕 및 설렁탕을 진공포장하고 $121^{\circ}C$, 30분 멸균 처리하여 $37^{\circ}C$에서 21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shelf-life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탕반류의 가속저장실험에서 $37^{\circ}C$ 저장 중 표준평판균 수가 나타나지 않고 pH, TBA가 및 색도에 큰 변화가 없으며 관능평가 점수가 7점 이상인 저장일수는 육개장 7일, 사골우거지탕 14일, 갈비탕 7일, 설렁탕은 21 일로 평가되었고 $Q_10$값을 2.5로 가정시, $5^{\circ}C$ 냉장저장 에서는 육개장과 갈비탕은 109일, 사골우거지탕은 219 일, 설렁탕은 328일 유통이 가능하고, $10^{\circ}C$에서는 육개장, 갈비탕은 69일, 사골우거지탕은 138일, 설렁탕은 207일, $25^{\circ}C$에서는 육개장, 갈비탕은 18일, 사골우거지탕은 35일, 설렁탕은 53일로 계산되어 진공포장하여 멸균($121^{\circ}C$, 30분)된 탕반류는 $10^{\circ}C$ 이하에서 상업적인 유통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