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23초

사람주나무 종실유의 화학적 조성 (Chemical Components of Seed Oil of Sapium japonicum Pax. et Hoffm.)

  • 최명석;양재경;강병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74-282
    • /
    • 2000
  • 사람주나무 (Sapium japonicum) 종실유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구성성분을 다양한 분석법으로 구명하였다. 사람주나무의 종실유를 구성하는 지질은 중성지질이 93% 로 가장 높고 , glycolipid 가 4.9%, phospholipid가 1.3%로 나타났다. GC 분석 결과 사람주나무의 종실에는 9종의 지방산이 존재하였다. 종실유에서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기간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종실유 중 3종의 지질은 silica open column을 통해 분획하고, 이들의 지방산 성분을 조사하였다. 3종의 지질 중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로 나타났다. 채취직후의 종실유에서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된 종실유의 지방산에 비해 전반적으로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사람주나무의 종실유는 화장품, 세정제, 의약품 등으로의 이용이 기대된다.

  • PDF

레드와인 주입량에 따른 등심햄의 품질 특성 (Effects of Injection of Red Win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Ham)

  • 하소라;최정석;진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39-1147
    • /
    • 2015
  • 본 연구는 레드와인의 주입이 돈육 등심햄의 냉장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돈육 등심햄은 C (0%), T1 (3%), T2 (6%), T3 (9%)로 레드와인을 주입하여 제조하였으며, 10±1℃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레드와인을 주입한 결과, pH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이 감소하였으며, 보수력은 증가하였다. 가열감량은 4주의 저장기간 중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색에서, 명도(L*)는 4주의 저장기간 중 레드와인을 주입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적색도(a*)는 레드와인을 주입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조직특성에서 전단가, 경도, 표면경도, 검성 및 부착성은 레드와인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한편, TBARS의 값은 레드와인을 주입할수록 높았으며, VBN에서는 저장 2주까지 낮은 값을 유지하였다. 총 미생물수는 3% 레드와인 주입만으로 저장 3주까지 대조구에 비해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저장 2주 이후부터 처리구들에서 유산균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레드와인은 냉장저장 중 등심햄의 품질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돈육 등심햄 제조 시 3% 주입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공간석지 창출과 복원을 위한 최적환경조건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Creation and Restoration of Artificial Tidal Flat)

  • 이정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2-112
    • /
    • 1999
  • 히로시마만에 존재하고있는 간석지에 있어서 유입하천의 유무, 폐쇄성 등의 환경조건이나 조성 후 경과연수가 다른 인공간석지 7개소와 자연간석지 3개소를 선정해 간석지 토양에 있어서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인 구조나 유기물분해기능에 관해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인공간석지에 있어서는 입지장소, 조성방법, 조성 후 경과연수 등의 차이에 의한 영향, 자연간석지와 동일하게 조성하기 위한 조성인자를 검토해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공간석지는 자연간석지와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으로 분리되었다. 그렇지만 대부분이 자연간석지와 전혀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토양구조 중에서 가장 다르게 나타난 것은 세균수, 실트함유량, 유기물함유량을 들 수 있으며, 각 실험 항목이 인공간석지 보다 자연간석지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자연간석지와 현저하게 차이를 보인 세균수, 실트함유량 및 유기물함유량에 관해서, 각 인공간석지의 조성 후 경과연수, 표면구배, 유입 하천의 유무, 폐쇄성 등의 조성 인자와의 상관성을 분석 했지만, 명확한 상관관계는 알 수 없었다. 자연간석지와 유사한 토양구조 특성을 갖기 위한 간석지를 조성하는 데에는, 간석지 전면에 있어서 해수로부터 실트 성분이 침강 가능한 장소의 선정이 중요하다.

  • PDF

한국산 수출용 냉동 돈육 등심의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orean Frozen Pork Loins for Export)

  • 최염순;김진형;박범영;이종문;김일석;김병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61-368
    • /
    • 2002
  • 한국산 수출용 냉동 돈육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출 육가공업체 3개소(Ⅰ . Ⅱ . Ⅲ)의 냉동 돈육 등심을 -20$^{\circ}C$에서 40일간 냉동 저장한 후 각 수출업체별 시료의 pH,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 선도 및 미생물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에서 조단백질은 Ⅱ업체 시료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고, 조회분은 Ⅰ업체 시료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육질 특성에서 pH와 보수성은 Ⅱ업체 시료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전단력과 가열 감량은 Ⅱ업체 시료가 가장 낮았다. 총세균 수는 3.04${\sim}$3.75 log cfu/$cm^2$, 대장균군 수는 0.37${\sim}$1.32 log cfu/$cm^2$ 수준이었으며, TBARS 값은 평균 0.35${\sim}$0.38 mg malonaldehyde/kg sample 수준으로 비교적 낮았다. 척도묘사평가법을 이용한 관능검사 결과 세 업체 모두 평가 항목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 성계육과 기계발골 계육으로 제조된 냉동 떡갈비의 품질에 미치는 진공포장 효과 (Effects of Vacuum Packag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Tteokgalbi Made from Spent Laying Hen Meat and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 송기창;김형준;이근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2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냉동 산란 성계육을 이용하여 떡갈비를 제조함에 있어서, MDCM의 다양한 첨가 수준에 따른 품질 특성 차이와 함기 및 진공포장으로 포장형태를 달리하여 3개월 간 냉동저장($-18^{\circ}C$)하는 과정 중 제품의 품질 변화를 파악하였다. 기계골발 계육을 20% 첨가 시 품질적으로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가 없는 떡갈비 제품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냉동 상태에서는 미생물과 효소의 활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부패 및 산화적 대사에 의한 떡갈비 제품의 품질 저하가 크지 않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으로 압착 및 골발육이 포함된 산란 성계육 떡갈비 제품의 경우에는 3개월이상 장기 냉동 저장시 단백질 분해 및 조직감과 관능학적 품질 등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진공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냉장중 사슴육 증탕액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enison Extracts during Chilling Storage)

  • 박창일;김영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8-304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 proximate composition, pH, VBN, TBA, minerals, and fatty acid of venison extracts, from three slaughtered deers with 180~210 kg live weight (♀, Elk deer, 28~30 months of age) at 4$^{\circ}C$. Proximate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storage periods. The pH, VBN, and TBA ranged from 4.60~4.62, 13.52~15.75 mg%, and 0.20~0/81mg/kg. respectively. The pH, VBN, and TBA gradually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p<0.050. Among minerals, K, P, Na, Mg, and Ca were major mineral contents and the Ca, mg, Na content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he major fatty acid found in venison extracts were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arachidonic acid decreased during storage, but palmitic acid, heptadeanonic acid, and stearic acid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U/S (unsalturated fatty acid/saturated fatty acid) ratio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storage.

  • PDF

서울ㆍ인천 지역 시정장애의 광ㆍ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isibility Impairment between Seoul and Incheon)

  • 김경원;박한석;김영준;김신도;강창희;강공언;이석조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9-200
    • /
    • 2003
  • 대기환경기준은 1979년 2월 아황산가스에 대한 기준을 최초로 설정한 이래 1983년 8월에는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옥시단트, 먼지, 탄화수소, 1991년 2월에는 납의 환경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여 왔으며 1993년도에는 입자의 직경이 10$\mu\textrm{m}$ 이하(PM10)인 미세먼지 기준을 새로이 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국민들의 시정 장애 현상에 대한 불쾌감은 더욱더 심각해지고 있다. 실제로 서울시의 목측(prevailing visibility)자료에 의하면, 1970년 이후 상대습도가 60% 미만인 건조한 날 시정이 5km 이하로 관측된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략)

  • PDF

강원도산 잡화벌꿀의 유기산 및 지방산 특성에 관한 연구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of Honey Harvested in Kangwon Area)

  • 김복남;김택제;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58
    • /
    • 1991
  •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the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in native bee-honey and foreign bee-honey harvested in Kangwon area were studied with the emphasis on the honey which was collected form wild flowers nd mixed flowers sources for honey nectars. the major organic acids were considered as acetic acid formic acid and valeric acid in volatile acids and gluconic acid maleic acid malic acid quinic acid and citric acid in non-volatile fraction in both of native bee-honey and foreigr bee-honey. Some naturally occuring fatty acids({{{{ { C}_14{ } }}}}-{{{{ {C }_{20 } }}}}) were observed with the principal fatty acids of myristic aicd linolenic acid and palmitic acid and palmitic acid in the various honey, The characteristics of moisture content pH viscosity free acidity lactone and total acidity were also analyzed and discussed.

  • PDF

난과식물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Orchidaceae Plants)

  • 도정애
    • 생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3-304
    • /
    • 1994
  • In order to estimate accurate originality of the important crude drugs, Gastrodia, Dendrobium, Bletilla and Cremastra spp. were investigated comparing their morphological, anatom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bacterial, antifung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ies as follows: 1. I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studies, Korean Gastrodia contained more mucilage duct and symbiotic fungi than imported Gastrodia. Korean Dendrobium contained starch grains but without starch grains in the imported Dendrobium from China enclosed with thicken silicified wall. The corm of Cremasta appendiculata contained raphides of bundles with mucilage while the bulbs of Tulipa edulis contained several various starch grains form. 2. In physiological and TLC analysis, crude drugs in Orchidaceae contained common constituents with fluorescence and much mucilage. 3. The EtOH extracts of Gastrodia, Dendrobium, Bletilla, Cremastra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 subtilis and E. coli (Dendrobium>Gastrodia>Bletilla>Cremastra). But, no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C. albicans, A. niger were observed.

  • PDF

쇠고기 안심스테이크의 가열 조리중 일반성분의 변화 (Change in A Compoent Properties of Beef Tenderloin Steak by Oven Roasting)

  • 이종호;김종욱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5권1호
    • /
    • pp.127-136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eef tenderloin steak by oven roasting at different internal temperatures. 1. Cooking time required for the internal temperatures of 60, 70 and $80^{\circ}$ of steaks were 15min, 23min and 28min, respectively, and standing time of cooked beef steaks were 10.5min at $60^{\circ}$, 9.4min at $70^{\circ}$ and 8.5min at $80^{\circ}$, respectively. 2. Total losses and evaporation losses were larges in cooked steaks at $60^{\circ}$ and $70^{\circ}$ than that of $80^{\circ}$ cooking. Total losses were 14.5% by cooking at $60^{\circ}$, 23.3% at $0^{\circ}$ and 26.6% at $80^{\circ}$ respectively. As internal temperature of meat was increased, moisture and fats content was decreased and protein content of meat was not chang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