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thalic acid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8초

Polyhydroxyamic Acid from 3,3′ - Dihydroxybenzidine and Pyromellitic Dianhydride as a Fire-safe Polymer

  • Park, Seung Koo;Farris, Richard J.;Kantor, Simon W.
    • Fibers and Polymers
    • /
    • 제5권2호
    • /
    • pp.83-88
    • /
    • 2004
  • In order to assess the potential of the hydroxy-containing polyamic acid (PHAA) synthesized from 3,3'-dihydroxy benzidine and pyromellitic dianhydride for a fire-safe polymer, the cyclization pathway of PHAA has been investigated using a model compound prepared from 2-aminophenol and phthalic anhydride. The reaction was monitored. by $^1{H-nuclear}$ magnetic resonance. N-(2-hydroxyphenyl) phthalamic acid is converted to N-(2-hydroxyphenyl) phthalimide at ca. 175$^{\circ}C$, showing endothermic reaction. The imide structure is rearranged to the benzoxazole structure over ca. $400^{\circ}C$. These results are similar with that of PHAA. According to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y-GC/MS) data, water and carbon dioxide are released during the cyclization and rearrangement reaction. One DMAc molecule is complexed with one carboxyl acid group in PHAA, which accelerates the imidization process to release more easily the flame retardant, water.

퇴화조건에 따른 꼭두서니 염색물의 퇴화물 연구 (Analysis of Degradation Products in Madder Dyed Fabrics in Selective Degradation Conditions)

  • 안춘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608-1618
    • /
    • 2005
  • 본 연구는 꼭두서니와 그 표준 색소인 알리자린으로 염색한 직물에 조건적 퇴화를 유도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라피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해 퇴화물을 분석하여 이를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표준 알리자린 색소의 퇴화물과 비교함으로써 대조구로서의 꼭두서니 염료의 정보를 완성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아울러 퇴화 전후 염직물의 색차를 측정하여 조건퇴화에 따른 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퇴화조건은 상온 (RT), 저온$(7^{\circ}C)$ (LT), 고온$(100^{\circ}C)$(OV)의 세 종류의 온도 조건과 염료 폐수처리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H_2O_2/UV$법 (PER)을 사용하였다. 퇴화시간은 6시간, 24시간, 48시간, 1주, 2주, 4주 각각을 측정하였다. 꼭두서니와 알리자린 염직물 모두 퇴화 전후의 시료에서 alizarin(10.1분)이 검출되었다. 꼭두서니와 알리자린 염직물 모두 퇴화 후 benzoic acid(4.7분), 2,4-di-tert-butylphenol(6.8분), phthalic anhydride(5.8분)가 검출되었다. 꼭두서니와 알리자린 염직물 모두 퇴화 후 붉은색과 노란색이 감소하였다. 꼭두서니 염직물보다 알리자린 염직물의 경우 퇴화 전후의 색차가 더 심하였다. 그러나 가장 퇴화조건이 강한 PER퇴화조건 하에서는 꼭두서니 염직물의 색차가 1주 경과 후에도 매우 심하게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꼭두서니와 그 표준 색소로 염색한 직물이 퇴화할 경우에도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알리자린의 퇴화물인 benzoic acid, 2,4-di-tert-butylphenol, phthalic anhydride가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은 갈변되어 고유의 색을 알 수 없는 출토복식의 염료를 판정할 때 꼭두서니 염료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조구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퇴화 전후의 색차에 대한 측정결과는 퇴화에 따른 염료의 색 변화에 대한 결과이다 출토복식의 갈변현상은 염료의 변색과 더불어 토양 유기물에 의한 착색도 기인하므로, 출토복식의 색상 변화를 실질적으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함께 토양유기물에 의한 착색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Phthalimido methyl-O,O-dimethyl phosphorodithioate (Imidan)과 그의 대사물질(代謝物質)이 수도(水稻)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 of phthalimido methyl-O,O-dimethyl-phosphorodithioate (Imidan) and its possible metabolites on the growth of rice plant)

  • 이성환;이동석;이재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105-117
    • /
    • 1966
  • acaricide로 알려진 phthalimidomethyl O,O-dimethyl phosphorodithioat (Imidan)을 수도(水稻)에 살포(撒布)했을 때 Imidan과 그 대사물질(代謝物質)이 식물(植物)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본(本) 실험(實驗)을 하였으며 이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Imian의 대사물질(代謝物質)로 예상(豫想)되는 다음의 8가지 화합물(化合物)을 합성(合成) 또는 정제(精製)하여 공시약제(供試藥劑)로 사용(使用)하였다. (a) N-Hydroxy methyl phthalimide (b) Phalimide (c) Phthalamdic acid (d) Phthalic acid (e) Anthranilic acid (f) p-amino benzoic acid (g) p-hydroxu benzoic acid (h) Benzoic acid (2) 상기(上記) 물질중(物質中)에서 (a),(c),(d),(e)와 Imidan의 각(各) 10 ppm과 20 ppm 의 Buffer Solution 을 만들어 밀 종자(種子)를 가지고 coleoptile straight growth test를 해 본 결과(結果) Imidan 은 10 ppm 과 20 ppm에서 모두 control 보다 생장(生長)의 촉진효과(促進?果)를 보였으며 기중(其中) phthalamidic acid 10 ppm 이 가장 좋은 성적(成績)을 보였다. 이것으로 보아 Imidan 자체(自體)는 생장(生長) 억제(抑制)의 효과(?果)를f 보이나 이것이 일단(一但) 생체내(生體內)에서 가수분해(加水分解)를 비롯한 각종(各種) 대사작용(代謝作用)을 받으면 그 대사산물(代謝産物)이 식물생장(植物生長)을 촉진(促進)하는 효과(?果)를 보이는 것 같다. (Table 1, Fig. 1 참조(參照)) (3) xylene을 용매(溶媒)로 하여 Imidan 유제(乳劑)를 만들고 이것을 희석(稀釋)하여 20 ppm, 100 ppm 및 200 ppm 의 각(各) 농도(濃度) 유화액(乳化液)을 조제(調製)한 후 이것을 배지(培地)로 하여 수도종자(水稻種子)를 발아(發芽)시킨 후 12 일(日)에 shoot와 root의 길이를 측정(測定)하였다. 이의 결과(結果)를 보면 root는 Imidan 20 ppm에서, shoot 는 Imidan 100 ppm에서 모두 xylene만의 유제구(乳劑區)인 control 보다 좋은 효과(?果)를 보였으며 여기에서 흥미(興味)있는 것은 용매(溶媒)로 사용(使用)된 xylene은 수도종자(水稻種子) 뿌리의 발육(發育)에 심(甚)한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이는 것 같다. (Table 2, Table 5 참조(參照)) (4) 벼를 pot에 심고 2회(回)에 걸쳐 control, Imidan, N-hydroxy methyl phthalimide, anthranilic acid 및 phthalimide의 10, 25, 50, 100 ppm 농도(濃度)의 각(各) 유제(乳劑)를 살포하고 일정기간후(一定期間後) 생육상(生育相)을 조사(調査)하였더니 Imidan 구(區)와 N-hydroxy methyl phthalimide 구(區)가 control 보다 좋은 성적(成績)을 보였다. (5) Imidan 250 ppm 유제(乳劑)를 수도엽면(水稻葉面)에 살포(撒布)하고 3 일(日), 5 일(日), 7 일(日) 및 14일후(日後)에 일정량(一定量)의 엽경(葉莖)을 채취(採取)하여 acetone으로 추출(抽出)k고 acetonitrile을 가지고 prechromatographic piriication 을 거쳐 paper chromatography에 의(依)하여 다음과 같은 대사물질(代謝物質)을 검출(檢出)하였다. Imidan $(Rf:\;0.97{\sim}0.98)$, N-hydroxy methyl phthalimide (Rf: 0.87), phthalimide $(Rf:\;0.86{\sim}0.87)$, phthalamidic acid $(Rf:\;0.13{\sim}0.14)$, phthalic acid $(Rf:\;0.02{\sim}0.03)$, benzoic acid $(Rf:\;0.42{\sim}0.43)$ 및 p-amino benzoic acid 또는 p-hydroxy benzoic acid $(Rf:\;0.08{\sim}0.09)$와 Rf=0.73, 0.59, 0.33, 0.23, 0.07의 미지물질(未知物質)을 검출(檢出)하였다. 또한 3일(日), 5일(日) 등(等) 초기(初期)에서는 미분해(未分解)의 Imidan과 최초(最初)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산물(産物)인 N-hydroxy methyl phthalimide등(等)이 비교적(比較的) 다량(多量)으로 검출(檢出)되었으나 7일(日), 14일(日) 등(等) 후기(後期)에는 생체내(生體內)에서 더 많은 분해(分解)를 받아 상기(上記) 이성분(二成分)은 양(量)이 감소(減少)되고 phthalic acid, phthalamidic acid benzoic acid 및 p-hydroxy benzoic acid 또는 p-amino benzoic acid등(等)의 양(量)이 증가(增加)되는 것을 볼 수있었으며 도체상(稻體上)에 살포(撒布)된 Imidan 은 체내(體內)에 흡수(吸收)되어 14일(日)이 경과(經過)되면 대부분(大部分)이 분해(分解)를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Imidan은 자체(自體)로서는 식물생장(植物生長) 촉진작용(促進作用)이 없으나 식물체내(植物體內)에서 여러 가지 대사작용(代謝作用)(enzyme의 작용(作用))을 맡아서 각종(各種) phthaloyl 영향(影響)을 주는 것으로 생각(生覺)된다.

  • PDF

새로운 펩티드 유사체인 5-aminobenzimidazoles의 합성 (New Antibacterial Peptide Analogs of 5-Aminobenzimidazoles)

  • Gondal, Humaira Y.;Mashooda, H.;Ali, Muhammad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50-655
    • /
    • 2011
  • 새로운 펩티드 유사체인 5a-c를 5-amino benzimidazoles 2a-c과 L-phenylalanine과의 커플링반응에 의해 합성하였다. Phenylalanine의 amine 부분을 phthalic anhydride로 보호하고, 나머지 작용기인 carboxylic acid를 염소화시켜서 hthaloyl-Lphenylalanyl chloride 4를 합성한 다음에, 화합물 2a-c와 반응시켜서 화합물 5a-c를 합성하였다. 얻어진 화합물 5a-c를 hydrazine으로 반응시켜서 새로운 펩티드 유사체인 6a-c를 합성하였으며, 얻어진 화합물에 대한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In vitro approach to investigating the free radical generation of endocrine disruptor

  • Kim HJ;Kim BH;An KH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117-117
    • /
    • 2001
  • We investigated Free radical generation of endocrine disrupter, bisphenol A and alkyl esters of phthalic acid (DEP, DBP) using lipid peroxidation, enzyme assay (SOD, Catalase, Gpx-px), Cell viability and phototoxicity. Bisphenol A are monomers of various plastics including polycarbonates and epoxy resins which are used in numerous consumer products. The release of BPA from some of these materials has recently been reported. (omitted)

  • PDF

7-Aminocephalosporanic acid를 포함하는 Aminophosphonate유도체의 합성 (Synthesis of Aminophosphonate Derivatives Containing 7-Aminocephalosporanic acid)

  • 김상범
    • 공업화학
    • /
    • 제8권4호
    • /
    • pp.700-703
    • /
    • 1997
  • Phthalic anhydride를 출발물질로 halogenation, phosphorylation하여 diethyl phthalimidoalk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을 chlorination하여 O-ethyl phthalimidoalkylphosphonate을 만든후 diphenylmethyl 7-$\beta$-amino-3-acetoxymethyl-3-cephem-4-carboxylate와 coupling하여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화합물 diphenylmethyl-7-$\beta$-(O-ethylphthalimidomethylphosphony1)-3-acetoxymethyl-3-cephem-4-carboxylate와 diphenylmethyl-7-$\beta$-[O-ethylphthalimidoethylphosphonyl]-3-acetoxymethyl-3-cephem-4-carboxylate를 각각 19%, 43%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 PDF

유기 리간드 존재하에서 $FeS_{(S)}$의 중금속 제거 특성 연구 (Studies on the Heavy Metal Removal Characteristics of $FeS_(S)$ in the Presence of Organic Ligand)

  • 박상원;박병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411-417
    • /
    • 1999
  • The interfacial chemical behavior, lattice exchange and dissolution, of $FeS_{(S)}$ as one of the important sulfide minerals was studied. Emphases were made on the surface characterization of hydrous $FeS_{(S)}$, the lattice exchange of Cu(II) and $FeS_{(S)}$, and its effect on the dissolution of $FeS_{(S)}$, and also affect some organic ligands on that of both Cu(II) and $FeS_{(S)}$. Cu(II) which has lower sulfide solubility in water than $FeS_{(S)}$ undergoes the lattice exchange reaction when Cu(II) ion contacts $FeS_{(S)}$ in the aqueous phase. For heavy metals which have higher sulfide solubilities in water than $FeS_{(S)}$, these metal ions were adsorbed on the surface of $FeS_{(S)}$. Such a reaction was interpreted by the solid solution formation theory. Phthalic acid(a weak chelate agent) and EDTA(a strong chelate agent) were us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organic lignads on the lattice exchange reaction between Cu(II) and $FeS_{(S)}$. The $pH_{zpc}$ of $FeS_{(S)}$ is 7 and the effect of ionic strength is not showed. It can be expected that phthalic acid has little effect on the lattice exchange reaction between Cu(II) and $FeS_{(S)}$. whereas EDTA has very decreased the removal of Cu(II) and $FeS_{(S)}$. This study shows that stability of sulfide sediments was predicted by its solubility. The pH control of the alkaline-neutralization process to treat heavy metal i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did not needed. Thereby, it was regarded as an optimal process which could apply to examine a long term stability of marshland closely in the treatment of heavy metal in wastewater released from a disussed mine.

  • PDF

다양한 아민 단량체로 합성한 무색투명 폴리이미드 필름 특성 (Characterization of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imide Films Synthesized with Various Amine Monomers)

  • 최일환;장진해
    • 폴리머
    • /
    • 제34권5호
    • /
    • pp.480-484
    • /
    • 2010
  • 무수산인 4,4'-(4,4'-isopropylidene-diphenoxy)bis(phthalic anhydride)(BPADA)와 아민계인 2,2'-bis(trifluoromethyl)benzidine(TFB), bis(3-aminophenyl)sulfone(APS), 4,4'-methylene-bis-(2-methylcyclohexylamine)(MMCA), bis[4-(3-aminophenoxy)phenyl]sulfone(BAPS)에 melamine을 각각 5 몰%로 반응시켜 N,N'-dimethylacetamide(DMAc) 용매 속에서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PAA)들을 얻었다. 용액 상태의 PAA를 캐스팅하여 각각 다른 반응 온도에서 열처리를 통해 무색 투명한 폴리이미드(PI) 필름을 얻었다. PI의 열적 성질, 광학적 특성을 다양한 아민 구조의 변화에 따라 조사하였으며, 열적 성질은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thermomechanical analysis(TMA)를 이용해 측정하였고, 광학적 투명도는 색차계(spectrophotometry)를 이용하였다. 제조된 모든 필름의 열 팽창계수는 $48.53-64.24ppm/^{\circ}C$ 사이의 값을 얻었으며, 모든 필름 시료의 노란색 지수(yellow index, YI)는 3 이하를 나타내었다.

업종별 산업폐수 중 프탈산에스테르와 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의 잔류수준 (Residue levels of phthalic acid esters (PAEs) and diethylhexyl adipate(DEHA) in various industrial wastewaters)

  • 김혜성;박상아;이혜리;이진선;이수영;김재훈;임종권;최종우;이원석
    • 분석과학
    • /
    • 제29권2호
    • /
    • pp.57-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의 가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탈산에스테르(DMP, DEP, DBP, BBP, DEHP) 5종과 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DEHA)의 수질 중 분석법을 확립하고, 41개 지점의 산업폐수를 분석하였다. 검정곡선은 분석대상성분 모두 결정계수 0.98이상으로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을 만족하는 직선성을 나타내었으며, 방법검출한계(MDL)는 프탈산에스테르가 0.4~0.7 μg/L, 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가 0.6 μg/L를 수준이었다. 그리고 회수율은 77.0~92.3%였으며, 상대표준편차는 5.8~10.5% 범위였다. 41개 지점의 산업폐수 중 유입수 45점과 방류수 40점을 분석한 결과, 유입수에서 DMP (n=5), DEP (n=2), DBP (n=1), BBP (n=2), DEHA (n=3)의 검출율은 2.2~11.1%였다. DEHP는 유입수 (n=16)에서 35.6 %, 방류수 (n=4)에서 10.0%을 나타내 92~100%의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산업폐수 업종별 유입수 중 최고 잔류 수준은 플라스틱제품제조업 137.4 μg/L (DEHP), 기타화학제품 제조업 12.5 μg/L(DEHA), 전기업 14.0 μg/L(DEP)이었다. 방류수 중 최고농도는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2.1 μg/L(DEHP)이었다. 전 지점에서의 DEHP는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특례지역 800 μg/L)을 초과하지 않았다. 따라서 인근 하천에 흐르는 산업폐수 중 프탈산에스테르(Phthalic Acid Esters)와 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가 수생태계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다.

$(\pm)$-2-[p-(1-Oxo-2-isoindolinyl)phenyl]butyric acid(인도부펜)의 합성 (Facile Synthesis of $(\pm)$-2-[p-(1-Oxo-2-isoindolinyl)phenyl]butyric acid (Indobufen))

  • 최홍대;강병원;마정주;윤호상
    • 약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89-393
    • /
    • 1991
  • A convenient method for the synthesis of indobufen, which is a potent antiinflammatory agent, was described. Ethyl 2-phenylbutyrate(4) was prepared by Friedel-Crafts reaction of benzene with ethyl $\alpha$-chloro-$\alpha$-(methylthio)acetate(l) followed by ethylation and desulfurization of the resultant ethyl 2-(methylthio)phenylacetate(2). Ethyl 2-(p-aminophenyl)butyrate(6) was prepared by nitration of (4) and successive reduction of ethyl 2-(p-nitrophenyl) butyrate(5). Indobufen was obtained by condensation reaction of (6) with phthalic anhydride followed by reduction and hydrolysis of the resultant ethyl 2-[p-(1, 3-dioxo-2-isoindolinyl)phenyl]butyrate(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