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thalate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5초

Photochemical Degradation of Dimethyl Phthalate by Fe(III)/tartrate/H2O2 System

  • Feng, Xianghua;Ding, Shimin;Xie, Fapi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1호
    • /
    • pp.3686-3690
    • /
    • 2012
  • Photochemical degradation of dimethyl phthalate (DMP) in Fe(III)/tartrate/$H_2O_2$ system was investigated utilizing fluorescent lamps as the primary light source. Effects of initial pH, light source, and initial concentration of each reactant on DMP photodegradation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was able to effectively photodegrade DMP utilizing visible light. Fluorescent lamp, halide lamp, UV lamp and sunlight could all be used as the light sources. The optimal pH ranged among 3.0-4.0 for the system. Increases of the initial concentrations of Fe(III) and $H_2O_2$ accelerated the photodegradation of DMP, whereas excessively high initial tartrate concentration resulted in the decrease of photodegradation efficiency and rate of DMP.

DOP가스의 액적형성에 미치는 온도경사 및 체류시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gradient and residence time on droplet formation of gaseous Di-Octyl Phthalate)

  • 이명화;박병현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
    • /
    • 2010
  • Generally, large amounts of DOP(Di-Octyl Phthalate) chemicals are used as plasticizers in PVC compound manufacturing processes.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to collect DOP species immediately from a workplace in order to protect worker's heath and recover them.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we need to understand the droplet formation and growth mechanisms of DOP species. In this study, two important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gradient and residence time were considered to clarify these mechanisms. We found that residence time is very critical to determine the droplet size distribution of DOP, whereas temperature gradient in general operating conditions(less than $-6.8^{\circ}C/cm$) is negligible.

IN VITRO IMMUNOTOXICITY OF MBP, A MAJOR METABOLITE OF DI-N-BUTYL PHTHALATE(DBP) ON SD RAT SPLENIC B CELLS AND HUMAN B LYMPHOMA CELLS

  • Juno H. Eom;Chung, Seung-Tae;Park, Jae-Hyun;Lee, Jong-Kwon;Oh, Hae-Young;Kim, Hyung-Soo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2년도 Molecular and Cellular Response to Toxic Substances
    • /
    • pp.186-186
    • /
    • 2002
  • Di-n-butyl phthalate(DBP)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phthalic acid esters(PAEs) as a plasticizer, a solvent or a component in cosmetic formulations. MBP(monobutyl phthalate) is a major metabolite of DBP. Although DBP has been identified as a reproductive toxicant in several animal species and also known as a endocrine disruptor, the direct or indirect immunomodulatory effect of DBP has been little reported.(omitted)

  • PDF

Propranolol.HCl의 Cellulose Acetate Phthalate Microencapsulation에 관한 연구 (Microencapsulation of Propranolol.HCl with Cellulose Acetate Phthalate)

  • 구영순;김재연
    • 약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12-318
    • /
    • 1989
  • Microcapsule of Propranolol HCl with Cellulose Acetate Phthalate (CAP) by coacervation-phase separation method was studied. Encapsulation was carried out in the CAP-liquid paraffin-acetone ethanol solvent system. The optimum weight ratio for microencapsulation in the CAP-liquid paraffin-solvent system was 1.32:89.18:9.50 or 1.65:89.42:8.93. The wall thickness of microcapsule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of CAP concentration, but dissolution rate decreased. The dissolution of propranolol-HCl in simulated gastric and intestinal fluid test solution was completed within 3 min., but T50% of propranolol HCl from 10.0% CAP-microcapsules were 390 min. and 210 min. respectively. The released amount from 12.5% CAP-microcapsules was 41.8% within 720 min. in simulatd gastric fluid test solution and T50% of those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test solution was 250 min.

  • PDF

공산품 중 프탈레이트류 함유량 분석법에 관한 국내외 표준의 검증 연구 (Study on verification of various national standards regarding phthalate testing in industrial products)

  • 송문환;조영달;최은경;명영찬
    • 분석과학
    • /
    • 제25권3호
    • /
    • pp.178-189
    • /
    • 2012
  • 생식독성 및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분류되는 프탈레이트가 근자에 유럽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의 허가대상 고위험성 물질(SVHC) 목록 및 유럽의 전기전자제품에 함유된 유해물질 규제인 RoHS II의 최우선 고려 물질 등으로 규제가 강화되면서 IEC TC 111에서 분석법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KS 개정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프탈레이트 분석법의 KS 개정 및 한국 NC에서 제안하여 진행되고 있는 IEC 62321에 프탈레이트 분석법을 추가함에 있어 기술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현존하는 국가별 표준의 용매 추출 전처리를 비교 및 검증해 보았다. PVC (polyvinyl chloride)에서의 DEHP (diethylhexyl phthalate)의 추출 효율은 메탄올, 톨루엔, 디클로로메테인. 헥세인 순으로 46.9%에서 95.3%까지 증가하였다. DBP (dibutyl phthalate), BBP (butylbenzyl phthalate) 및 DEHP의 속슬렛을 사용한 추출 시간은 6시간이 최적임이 입증되었고, PVC, nitro cellulose,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nd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등의 매트리스로부터의 추출 효율도 90%~99%로 측정되었다. 용매추출에 이은 GC-MS 분석법의 검출한계는 용액 및 고분자 샘플에서 각각 0.08 ~0.3 ${\mu}g/mL$ 및 8~30 mg/kg으로 산출되었다. 공산품에서 프탈레이트를 분석하는 국가표준에서 용매 추출 전처리를 사용하는 EN 14372, ASTM D 7083, 일본 후생노동성 시험법(MHLW 0906-4) 및 KS M 1991을 비교한 결과 4개 국가별 표준 모두 98%~99%의 추출효율을 가짐이 검증되었다. 또한, 국내에서 유통되는 어린이 장난감, 전기 코드, 매니큐어의 공산품 3종에서 프탈레이트 함유 여부를 분석한 결과 DBP 및 DEHP가 22~1,910 mg/kg 범위로 검출되었다.

물 시료 중 Octylphenol, Nonylphenol, Di(2-ethylhexyl)phthalate의 연구 (Determination of Octylphenol, Nonylphenol, and Di(2-ethylhexyl)phthalate in water samples)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15권2호
    • /
    • pp.172-179
    • /
    • 2002
  • 빗물, 증류수, 정수기 물, 지하수, 수돗물, 시판생수에 포함된 주요 환경호르몬 물질로 알려진 nonylphenol(NP), octylphenol(OP), di(2-ethylhexyl)phthalate(DEHP)를 OASIS 카트리지로 추출한 후 GC/MS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Octylphenol 은 어느 물 시료에서도 검출되지 않았으나, nonylphenol 의 경우는 그 존재량이 빗물<정수기 물<증류수<지하수<수돗물<시판생수의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시판생수의 경우 최고 $0.44{\mu}g/L$(ppb)가 포함되어 있었다. Di(2-ethylhexyl)phthalate는 모든 물 시료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빗물의 경우 $1.7{\sim}2.9{\mu}g/L$, 증류수는 $8.7{\sim}31.7{\mu}g/L$, 정수기 물은 $0.6{\sim}5.6{\mu}g/L$(평균: $2.5{\pm}0.3{\mu}g/L$)로 다른 값에 비하여 매우 안정한 값을 나타냈고, 전주근교 지하수는 $1.1{\sim}6.0{\mu}g/L$, 수돗물은 평균 $3.1{\sim}5.7{\mu}g/L$, 시판생수는 $0.5{\sim}67.6{\mu}g/L$ 이였으며 시중의 시판 생수 중 40% 이상이 USEPA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Trancriptional assay와 comet assay에 의한 dibutyl phthalate의 에스트로젠 활성과 내분비 장애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strogenicity and endocrine disrupting activity of dibutyl phthalate by transcriptional and comet assay)

  • Kim, Hyng-Tae;Chai, Young-Gyu;Ryu, Jae-Chun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0년도 추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바이오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한 환경위해성 평가
    • /
    • pp.53-53
    • /
    • 2000
  • PDF

영산강 유역 방류수의 유기오염물질의 특성 규명

  • 이문희;한상국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74-275
    • /
    • 2004
  • 본 연구결과로 부터, Phenols, Alihatic compounds, Aromatic compounds, Phthalates, Pesticides와 같은 유기오염물질로 인한 영산강 유역 방류수의 오염을 알 수 있었고, 하수 성상별, 계절별로 검출된 물질을 보면 농공 폐수가 생활하수보다 다종의 유기오염물질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여름철에 다량의 농약 사용으로 인해 Pesticides가 다종 고농도로 검출되었으며, Phenols, Phthalates는 주변공장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된 유기물질들에 의한 오염으로 추측된다. 또한, 검출 화학물질 중에서 dieldrin, edosulfan, diethyl phthalates와 같은 환경호르몬성 물질이 포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