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voltaic panels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19초

거주자 주택 점유율을 고려한 공동주택 발코니 PV시스템 디자인 - 공동주택의 발코니 PV시스템 디자인과 성능검증 중심으로 - (Balcony window style photo-voltaic(PV) system design by considering resident's residential time rate - Focus on the design of apartment building balcony window PV system and it's performance -)

  • 진경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01-110
    • /
    • 2009
  • In case of general residential house, photovoltaic can be installed at roof, wall, and any other places. But, in case of apartment building, there has not enough roof space to install photovoltaic panels to supply enough electricity. Actually, apartment building roof and facade wall (exclude the balcony window space) is not enough space to produce and supply the electricity to residents by installing PV panel. Generally, the space of facade balcony with windows in facade wall at apartment building occupied about $70{\sim}80%$, in all facade space. So, if we could use the balcony and windows space in facade as PV to generating electricity, there could contribute the energy saying. But, PV cell is opacify. So if it installed at front window area in apartment building, residents may have displeasure for that opacity character. But the other hand, residents are not always in house especially in day time that is exactly good time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PV. If we can use PV at the facade balcony with window without collusion of resident's displeasure, there have good attraction to using sustainable energy. Hence, this study suggests the design of facade balcony window style PV by considering resident's living pattern in apartment building.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this study surveyed to the residents about residential time in their home and asked user demand by Delphi survey. At second, this study designed balcony open style PV system which oriented to the user demand. At third, this study tests designed result performance by computer simulation that compared design result with old design. As a result, For the purpose of satisfying the resident demand, there designed sliding window style which slide the several door systems to the one side. That would be make balcony absolute open scenery to the residents. Hence, the designed system performance results were as follows. When we compare the small apartment and large apartment, smaller one has good performance than larger one. Because resident's residential time characteristic. And that has more good electronic performance than vertical style that is similar to roof style.

단지형 건물군 내 태양광 패널의 사후 평가를 통한 발전 효율 연구 - S대학의 연간 발전 실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rough the Post Evaluation of Photovoltaic Panels in Complex Type Buildings - Focused on Annual Generation Performance of S-university -)

  • 김희진;정혜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1-1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단지형 건물 군 내 여러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의 연간 발전량 분석을 통해 설치 여건에 따른 발전 효율의 차이와 원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일정한 지역에 입지한 다수의 태양광 발전 실적에 대한 사후 평가를 통하여 효율에 영향을 끼는 환경적 변수를 도출하고 이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개별적 영향 요인의 최적화 방안을 실험 환경에서 도출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제 운영 성과물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결과, 같은 지역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최대 1.5배의 발전 효율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환 효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인 방위각, 앙각, 음영에 대해서 통계적 검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요인이 종속변수인 변환효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임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방위각이며, 다음으로 앙각과 음영이 발전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태양광 발전 설비의 도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여건에서 실제 설치된 환경적 요인이 변환 효율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향후 도입되는 태양광 발전 설비의 설치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ocalization of solar-hydrogen power plants in the province of Kerman, Iran

  • Mostafaeipour, Ali;Sedaghat, Ahmad;Qolipour, Mojtaba;Rezaei, Mostafa;Arabnia, Hamid R.;Saidi-Mehrabad, Mohammad;Shamshirband, Shahaboddin;Alavi, Omid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79-205
    • /
    • 2017
  • This research presents an in-depth analysis of location planning of the solar-hydrogen power plants for electricity production in different cities situated in Kerman province of Iran. Ten cities were analyzed in order to select the most suitable loc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 solar-hydrogen power plant utilizing photovoltaic panel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ethodology was applied to prioritize cities for installing the solar-hydrogen power plant so that one candidate location was selected for each city. Different criteria including population, distance to main road, flood risk, wind speed, sunshine hours, air temperature, humidity, horizontal solar irradiation, dust, and land costare used for the analysis. From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among the candidates' cities, the site of Lalezar is ranked as the first priority for the solar-hydrogen system development. A measure of validity is obtained when results of the DEA method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technique for ordering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OPSIS). Applying TOPSIS model, it was found that city of Lalezar ranked first, and Rafsanjan gained last priority for installing the solar-hydrogen power plants. Cities of Baft, Sirjan, Kerman, Shahrbabak, Kahnouj, Shahdad, Bam, and Jiroft ranked second to ninth, respectively. The validity of the DEA model i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OPSIS and it is demonstrated that the two methods produced similar results. The solar-hydrogen power plant is considered for installation in the city of Lalezar. It is demonstrated that installation of the proposed solar-hydrogen system in Lalezar can lead to yearly yield of 129 ton-H2 which covers 4.3% of total annual energy demands of the city.

IoT플랫폼이 결합된 광센서가 없는 태양광 추적 시스템 (Photo-sensorless dual-axis solar tracking system combined with IoT platform)

  • 정덕겸;전종운;박성민;정교범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664-671
    • /
    • 2018
  • 일반적으로 감지식 태양광 추적 시스템은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광센서를 사용하여, 최대 전력을 생산한다. 광센서 채택은 시스템 제작 가격을 상승시키고, 오동작에 의한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플랫폼 기반의 원격무선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광센서가 없는 새로운 태양광 추적 시스템을 제안한다. 태양광 발전을 위해 사용되는 여러 개의 태양광 패널의 출력 전류량을 비교하여 태양 위치를 광센서 없이 추적한다. 추적 성능의 검증을 위해서 12[V] 20[W]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IoT 플랫폼을 사용하여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태양광 추적 시스템에 비해 설치, 유지 보수 및 기능 확장의 장점이 있다.

영농형 태양광 시설 하부의 미기상 관측 자료: 보성에서 2019년 1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가을보리 재배기간 동안 (Meteorological Data Measured under Agrivoltaic Systems in Boseong-gun during Winter Barley Season)

  • 조유나;윤창용;김현기;문현동;안규남;조재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4-151
    • /
    • 2020
  • 작물을 재배하는 동시에 전력 생산도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농업·농촌 분야와 재생에너지 산업 모두로부터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그 역사가 짧은 만큼 영농형 태양광 하부에서의 미기상 환경 변화에 대한 이해와 관측 방법론이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보성군에 설치된 영농형 태양광에서 2019년 11월 부터 2020년 5월까지의 보리 생육기간 동안 일사광, 광합성유효복사광, 기온, 습도, 토양습도·온도, 풍향·풍속을 5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공개했다. 또한, 노지의 일사량 및 광합성유효복사량에 대한 약 13일 간의 자료 결손에 대해서는 가까운 기상청 관측 자료를 활용하거나 영농형 태양광 하부의 자료를 이용한 두 가지 경험적 메우기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고 자료가 영농형 태양광에 대한 농업적 평가에 다양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퍼지 상태 공간 분할 기법을 이용한 지능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설계 (Designed of Intelligent Solar Tracking System using Fuzzy State-Space Partitioning Method)

  • 김관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072-2078
    • /
    • 2011
  •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을 정면으로 바라 볼 때 가장 큰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즉, 태양의 위치에 대한 집광판(PV; Photovoltic)의 법선벡터를 일치시켜야 가장 높은 효율을 얻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태양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도록 태양의 그림자를 판독할 수 있는 8개의 CdS 센서 모듈을 통하여 태양의 위치를 판독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퍼지제어기(fuzzy controller)는 퍼지 입력공간에 대한 격자형 퍼지분할(grid-type fuzzy partition) 영역으로 분할한 후 퍼지규칙(fuzzy rule)을 수립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추적을 위한 간단한 모형의 2축 제어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CdS 모듈의 좌표축과 집광판의 좌표축을 일치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정된 장소 및 선박과 같은 이동하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태양광을 추적할 수 있는 지능형 퍼지제어기의 적용가능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I-V 특성곡선을 통한 태양전지 패널의 모델 파라미터 추출 방법 (Analytical Methods for the Extraction of PV panel Single-Diode model parameters from I-V Characteristic)

  • 최성원;류지형;이창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847-851
    • /
    • 2011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친환경성을 바탕으로 설치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효율 개선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고 효율 시스템 설계를 위해서는 태양전지 패널의 출력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태양전지 패널은 단일 다이오드 모델로 물리적 특성을 표현할 수 있으나, 정확한 파라미터를 얻는 것은 여러 단계의 측정과 수치해석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 제조사의 데이터 시트에 제공되는 태양전지 패널의 I-V 특성곡선을 기반으로 패널의 단일 다이오드 모델의 특성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Simulink의 Solar Cell 블록에 추출한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출력을 측정하고, 데이터 시트와 오차를 계산하였다.

Applying Fire Risk Analysis to Develop Fire-safe Modular Walls: Guidance to Material Selection, Design Approach and Construction Method

  • Lim, Seokho;Chung, Joonsoo;Kim, Mihyun Esther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21-27
    • /
    • 2022
  • For the past decade, South Korea had experienced catastrophic building fires, which resulted in consider-ably high number of casualties. This motivated research to develop fire-safe wall assemblies. In this study Fire Risk Analysis (FRA) is conducted as part of the project designing phase to ensure fire safety of the final product. Traditional approach was to consider fire performance at the end of the designing stage, when PASS/FAIL fire test results are required to be submitted to the Authority Having Jurisdiction (AHJ). By applying a fire risk analysis to guide the designing phase, overall fire safety of a wall assembly can be achieved more systematically as conducting FRA allows designers to clearly identify elements that are more vulnerable to fire and simply replace them with other practical options. Severity of fire risk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fire hazards of a wall assembly such as the exterior layer, insulation, vertical connectivity, and external ignition sources (e.g., photovoltaic panels). Frequency of fire risk is assessed based on the factors affecting fire likelihood, which are air cavity and fire-stopping applied in the design, and random design changes occurring during on-site construction. Fire risk matrix is proposed based on these fire risk factors and efforts to reduce the fire risk level associated with the wall assembly are given by systematically assessing the fire risk factors identified from fire risk analysis. Current study demonstrates how fire risk analysis can be applied to develop fire-safe walls by reducing the relevant fire risks- both severity and frequency.

고압 독성가스 사고발생 시나리오별 안전거리 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Distances for High Pressure-toxic Gases by Specific Accident Scenarios)

  • 김송이;황용우;이익모;문진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8
    • /
    • 2016
  • 2012년 구미 불화수소 누출사고 이후 화학 물질 사고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이 증폭되었고, 이러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 2015년부터 장외영향평가제도가 도입되었다. 장외영향평가제도는 대부분의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하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산업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고압 독성가스가 이에 포함된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첨단산업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한 만큼, 국내에서 고압 독성가스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고발생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고압 독성가스 중 제조량 및 사용량이 높은 물질을 대상으로 미국 환경보호청과 미국 해양대기국이 공동 개발한 ALOH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고영향범위를 평가하였으며, 알진의 사고영향범위가 4,700 m로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영향범위 결과는 고압 독성가스 누출 시 효과적인 안전거리 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