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nic bandgap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Design of Power Plane for Suppressing Spurious Resonances in High Speed PCBs

  • Oh Seung-Seok;Kim Jung-Min;Yook Jong-Gwan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6권1호
    • /
    • pp.62-70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new power plane design method incorporating a single geometry derived from a unit cell of photonic bandgap(PBG) structure. This method yields constantly wide suppression of parallel plate resonances from 0.9 GHz to 4.2 GHz and is very efficient to eliminate PCB resonances in a specified frequency region to provide effective suppression of simultaneous switching noise(SSN). It is shown that with only two cells the propagation of unwanted high frequency signals is effectively suppressed, while it could provide continuous return signal path. The measured results agree very well with theoretically predicted ones, and confirm that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for reducing EMI, with measured near-field distribution. The proposed topology is suitable for design of high speed digital system.

광결정 공진기와 링 공진기의 공진특성 결합을 통한 바이오센서 응용 (Applied of Integrated Optical Biosensor based on Combination of Photonic Crystal Micro-Cavity and Ring Resonator)

  • 김홍승;김두근;오금윤;이태경;최영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4호
    • /
    • pp.817-822
    • /
    • 2011
  • We propose a novel ring structure based on the stadium-shaped ring resonator (SSRR) with dual photonic crystal microcavity (DPCM) for biosensor and analyzed the sensing characteristics. The Q-factor of the photonic crystal microcavity (PCM) can be significantly enhanced when the PCM or DPCM has the same resonance condition as the SSR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Q-factor of the SRR with DPCM was increased by three times in comparison with single PCM structure. We also defined a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wo PCMs. Assuming a detectable spectral resolution of 10 picometers, a refractive index resolution of $3.03\times10-5$ can be measured on the SSRR-DPCM.

초 광대역 옴니-광자 밴드 갭을 갖는 광자결정 미러 (Photonic Crystal Mirror with Ultra Wide-Band omnidirectional-photonic bandgap)

  • 남기연;조성준;이현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6
    • /
    • pp.455-458
    • /
    • 2005
  • 옴니(omnidirectional)-PBG(photonic bandgap)의 크기는 쌍을 이루는 광자결정 재료의 고유 굴절률, 충진율 및 두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광자결정체가 다중주기를 가지도록 제작하면 옴니-PBG의 크기를 변화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SiO_2$를 기본 구조로 하는 광대역 옴니-PBG용 광자결정 구조를 설계,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 하였다. 각각 단일 주기 $\Lambda_1$(426.9nm) 및 $\Lambda_2$(306.9nm)를 갖는 8N-Si/$SiO_2$ 광자결정에 대해 TE/TM-편광광 $5^{\circ}$$45^{\circ}$ 입사각에 대한 반사-스펙트라 측정결과는 설계값과 일치하였다. 특히 이중주기 $(8N\cdot{\Lambda}_1+8N\cdot{\Lambda}_2)$를 갖도록 제작된 Si/$SiO_2$ 광자결정은 입사각 $5^{\circ}$의 TE-편광광 반사-스펙트라 측정결과, 약 1050-2500nm의 광대역 파장범위에서 광자 밴드 갭을 보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Highly Conducting ZnMgBeGaO/Ag/ZnMgBeGaO Transparent Conductive Multilayer Films with UV Energy Bandgap

  • Le, Ngoc Minh;Hoang, Ba Cuong;Lee, Byung-Teak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695-698
    • /
    • 2017
  • ZnMgBeGaO/Ag/ZnMgBeGaO multilayer structures were sputter grown and characterized in detail.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ZnMgBeGaO film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inserting an Ag layer with proper thickness (~ 10 nm). Structures with thicker Ag films showed much lower optical transmission, although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further improved.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multilayer structure were sizably improved by annealing in vacuum (~35 % at $300^{\circ}C$). The optimum ZnMgBeGaO(20nm)/Ag(10nm)/ZnMgBeGaO(20nm) structure exhibited an electrical resistivity of ${\sim}2.6{\times}10^{-5}{\Omega}cm$ (after annealing), energy bandgap of ~3.75 eV, and optical transmittance of 65 % ~ 95 % over the visible wavelength range, representing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aracteristics versus previously reported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FDTD를 이용한 PBG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여파기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Microstrip Bandstop Filter Based on the Photonic Bandgap(PBG) Structure Using FDTD)

  • 호진기;윤영설;박상현;최영완;김형석;김호성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52-6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그라운드 판에 주기적으로 에칭된 원으로 구성된 Photonic Bandgap(PBG) 여파기가 광대역 하모닉 성분을 제거할 수 있음을 보인다. FDTD법과 제작,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이용하여 PBG 구조의 특성을 분석해 보았고, FDTD법은 다양한 3차원 구조를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고 광대역의 주파수 응답을 볼 수 있다. 분석 결과는 에칭된 원들을 2차원으로 배열한 경우와 일렬로 배열한 경우 모두 똑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을 나타냈다. 그리고 에칭된 원과 원 사이의 공진기의 특성을 필드패턴을 통해서 알아 보았고, 에칭된 원들의 수 n, 에칭된 원의 반지름 r과 주기 a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의 특성을 보았다.

  • PDF

PBG 구조를 이용한 전력 증폭기의 효율 및 선형성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and Linearity of Power Amplifier using PBG Structure)

  • 김병희;박천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182-119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상의 금속부분을 일부 제거한 형태의 Photonic bandgap (PBG)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고 형태를 최적화 한 후 전력 증폭기에 적용하여 고조파 동조를 수행하였다. 이 구조는 제작 및 접지에서 타 구조에 비해 유리하다. PCB 제작 과정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단위 격자의 크기를 수직방향으로 증가시키고, 테이퍼 선로를 이용하여 입출력을 50 $\Omega$으로 유지시켰다. EM 시뮬레이션으로 PBG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고 설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통과대역 손실 0.3~0.4dB, 저지대역폭 6~7GHz의 특성을 얻었다. 전력 증폭기에 PBG구조를 적용한 후 출력 전력은 0.72~0.99dB, PAE는 1.14~7.8 %, 3차 IMD는 1 dBc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Bandgap Tuning in InGaAs/InGaAsP Laser Structure by Quantum Well Intermixing

  • Nah Jongbum;Kam PatrickLi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9-161
    • /
    • 2005
  • We report the selective area bandgap tuning of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s by an impurity free vacancy induced quantum well intermixing technique. A 3dB waveguide directional coupler was fabricated in the disordered section of an intermixed quantum well sample as a demonstration of photonic device applications.

나노공정기반 광소자 기술개발 현황

  • 정명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10-10
    • /
    • 2004
  • 유전율이 서로 다른 물질을 나노 크기로 주기적으로 배열하여 황자 띠간격(Photonic bandgap)을 이루게 하는 광결정(Photonic crystal)에 인위적인 결함을 부가하여 광파워 분배 및 Mux/Demux 등 광회로 기능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집적화한 광도파로 소자가 미래형 정보통신사회를 위한 초고집적화, 초고속화, 저전력 및 신기능 등의 특성을 위하여 요구된다. 이러한 나노 광결정 소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이 시도되고 있는데, 나노 임프린트 기술은 실장밀도가 높으며, 수십 나노급의 패턴이 주기적으로 배열된 구조물의 성형에 큰 장점이 있어서 본 연구에서 다루어졌다.(중략)

  • PDF

이차원 광결정 박막의 절개면에서의 측면 모드 발진 (Lasing From Slab Edge Mode of Free-standing Two-dimensional Photonic Crystals)

  • 양진규;김국현;김세헌;이용희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3년도 제14회 정기총회 및 03년 동계학술발표회
    • /
    • pp.180-181
    • /
    • 2003
  • 주기적인 유전율의 변화를 가지는 광결정에 대한 연구가 최근 10여년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광결정에 존재하는 특성인 광 밴드갭(photonic bandgap) 효과를 이용한 단일 결함 구조의 레이저나 선결함의 도파로에 응용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새로운 시도로 표면파(surface wave)를 이용한 광결정의 응용성을 고찰해 보았다. 주기적으로 층이 진 물질과 균일한 물질의 경계면에서 전자기파가 구속 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