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graphy

검색결과 815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기록사진의 개념 형성과 전개 (The Facets of Korean Documentary Photography)

  • 박주석
    • 기록학연구
    • /
    • 제27호
    • /
    • pp.169-208
    • /
    • 2011
  • 본 논문은 한국에서 기록사진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떻게 인식했으며, 현재는 어떤 개념들이 혼재하고 있는지를 추적한 결과이다. 또 우리가 직, 간접적으로 기록사진의 개념과 형식, 내용 등을 수입한 미국에서의 기록사진의 역사와 개념 논의를 살피고, 한국에 이식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기록사진은 다큐멘터리사진의 번역어이면서, 미국의 1930년대 다큐멘터리 사진의 전통에 근거해서 개념화되어 있다. 이를 정리하면 한국에서 기록사진은 주제의식이 뚜렷해야 하고, 정확한 시대인식에 근거해야 하며, 정보를 충분히 전달해줄 수 있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인간의 감정을 움직이고 감동을 전달해야 한다. 이런 조건을 갖추었을 때 작가의 관점이 극명하게 드러나며 사회적 및 사적 의미를 갖는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기록사진은 대상을 정확히 기록하려는 사진가의 의도도 중요하지만, 사용자가 그 사진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고 또 어떻게 사용하는가의 문제도 역시 중요하다. 한국의 기록사진이 사진사적으로만이 아니라 기록학적인 의미를 갖기 위해서 꼭 보완해야할 일이 정확한 맥락정보의 생산과 기록화 전략의 강화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사진촬영을 이용한 1회 섭취 분량 추정의 타당도 연구 (Evaluation of a Dietary Assessment Method Using Photography for Portion Size Estimation)

  • 손혜린;이승민;길진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2-173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portion size estimation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errors of food and macronutrient intake by photography estimation and 24-hour recall from weighing method. A total of 28 female participants aged 20-24 years old were provided a meal that included rice, chard soup with soybean paste, stir-fried squid, japchae, stir-fried boiled fish paste, lettuce geotjeori, and kimchi. Each portion was measured accurately, and food intake was measured using three dietary assessment methods. For the photography method, trained researchers estimated remaining food amount by analyzing photographs using a mean of four times. The measurement errors for the stir-fried squid and japchae were larger by the 24-hour recall method, while the error for kimchi was larger by the photography meth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food, except chard soup with soybean paste, between the weighing method and photography method were 0.77~0.99 (p<0.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energy and intake of macronutrients between the weighing method and photography method were 0.85~0.86 (p<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substantially less measurement error using the photography method than the 24-hour recall method.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tandardize various kinds of foods, photograph angles, serving plates, and serving style for establishment of reliable and valid portion size estimation using the photography method.

코뼈 골절 수술결과 평가에 있어서 Bird's Eye View의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a Newly Standardized Bird's Eye View Clinical Photography in Nasal Bone Fracture)

  • 박동권;최재훈;이진효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01
    • /
    • 2011
  • Purpose: Nasal bone fracture is the most common type of facial bone fracture. The standard 6-view photography was not adequate to support the evaluation of nasal deformity and the results of closed reduction. The authors have standardized a bird's eye view photography to more effectively evaluate this nasal deformity.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studies of 63 nasal bone fracture patients. We had taken clinical photography including bird's eye view that was standardized as nasal tip was aligned to Cupid's bow of upper lip and light was focused on the nasion of all 63 patients. Results: Nasal deviations and reductions were more noticeable on the newly standardized bird's eye view. This clinical photography was very useful to explain the results of reduction.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this photography can be more reliable for evaluation of severity of nasal deformity and the result of closed reduction.

디지털 사진 이후 사진가들의 변화 현상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How Digital Camera Has Changed Photographer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Digital Labor)

  • 조인원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4권
    • /
    • pp.124-151
    • /
    • 2017
  • 이 연구는 필름 사진에서 디지털 사진으로의 변화를 경험한 직업사진가들이 겪은 경험과 인식에 대해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직업사진가들의 노동과 창작 환경의 변화 의미와 맥락을 찾아보려는 데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사진도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커다란 변화를 겪었다. 아날로그 사진에 비해 디지털 카메라는 어렵고 복잡했던 사진 제작 공정을 카메라 안에서 촬영과 동시에 완성되도록 만들었다. 조작이 쉬운 디지털 카메라는 대중에게 빠르게 보급되었고 사진의 창작과 소비 형태도 크게 변해 갔다. 반면, 기존의 전문 사진 업계는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광학 기반의 사진 산업은 붕괴되고 직업사진가들은 수입의 감소나 소외감을 겪기도 했다.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디지털 사진과 디지털 산업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찾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직업사진가 12명을 만나 심층인터뷰를 실시했고 수집된 자료들로 현상학적 분석을 적용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필름 사진에서 디지털 사진으로 변화된 이면에 사진가들이 느끼는 불안과 소외감, 그리고 새로운 방식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 등을 통해 디지털 사진 시대에 직업사진가들이 겪은 경험과 사회적인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했다.

  • PDF

항공사진촬영을 위한 국내 기상자료 분석 (Wether Conditions for Aerial Photography)

  • 조우석;이성훈;최승식;황현덕;이하준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13-318
    • /
    • 2004
  • The quality of aerial photograph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change of wether conditions like as cloud cover, visibility, drifted snow and so on. To solve some problems caused by wether condition, the related organizations in advanced nations have presented some standards of wether condition for aerial photography. In domestic case, the NGI has presented some standards based on the internal specification of aerial photography and the table of monthly weather condition, but it is not enough to make the quantitative and objective standards on aerial photography specif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which can reflect domestic weather condition and make accurate estimation of the average number of clear days in one year for aerial photography.

  • PDF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사진 이미지 차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image Appropriation in Fashion Illustration)

  • 김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061-1073
    • /
    • 2009
  • Present expression methods have close relations with popular culture in the active acceptance of various kinds of genre. Fashion illustration is no longer limited to sketching garments or technically explaining construction, it is accepted as an art that is expressed by the desire and consciousness of the artist. This study examines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photo-image appropriation as an expression method in fashion illustration. The word 'appropriation' (to steal something) is used as euphemism and not meant to be derogatory. The methods of appropriation in art indicate that paintings are not inventions but are self-satisfactory creations that show that the idea of originality is false and that paintings should be uninhibited from the greed of the authority of the genius of artists. In postmodern paintings, the photo-image of appropriation are expressed through the methods of re-photography, photo collage, and photo painting. Photo-image appropriation methods in fashion illustration are re-photography, photo collage, image mixing of photography, drawing, and graphic expression of photography. Fashion illustrators are able to develop expression techniques for expanding a field of expression and enhance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photo-image appropriation methods.

전자사진용 화상시스템의 화상개선 알고리즘 (Image Enhancement Algorithm in Imaging Systems for Electronic Photography)

  • 박용주;김지홍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3-145
    • /
    • 2002
  • 전자사진은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하여 그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있으나, 은염사진과 원리와 특성이 근본적으로 다르며 은염사진에 익숙한 사용자에게도 은염사진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도록 화상의 개선과 화질의 보정 등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은염사진의 계조 특성을 추출하여 전자화상시스템에 적용시켜 은염사진의 계조 특성을 지닌 전자화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은염사진과 전자사진의 화상 생성 공정을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그 차이를 기술하고, 사진 계조 변환의 원리와 방법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사진 계조 변환함수를 구하기 위한 각 시스템의 특성화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보인다. 최종적으로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험에서는 사진 계조로 변환된 데이터를 디지털 화상시스템으로 출력하여 은염사진의 계조 특성의 비교분석을 수행한다.

  • PDF

근대일본의 '바우하우스 사진' 수용과 국가선전: 야마와키 이와오의 '포토몽타주'에 대한 재조명을 통하여 (The Reception of 'Bauhaus Photographies' and Propaganda in Modern Japan: Rethinking of Yamawaki Iwao's Photomontage)

  • 서희정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9호
    • /
    • pp.59-91
    • /
    • 2010
  • The Bauhaus educational method gave the strong influences on Modern Japanese art and design education. In the 1920s and 1930s, Japan allied with Germany and Italy politically and tried to receive German system to be modernized. The reception of the Bauhaus and Moholy-Nagy's photographic theory was one of those activities at that time. Japanese intellectual class went to the Bauhaus and studied there; Ishimoto Kikuchi, Nakata Sadanosuke, Mijutani Takehiko, Yamawaki Iwao and Yamawaki Michiko(Yamawaki Iwao's wife). Especially, Yamawaki Iwao studied about the architecture at the Bauhaus, but his interest moved toward the photography and the photomontage based on Moholy-Nagy's theory. He studied at the photography workshop of the Bauhaus presented by Peterhans irregularly. Even though Yamawaki Iwao was an architect, he wanted to be admitted as an expert for the photomontage that he particularly studied at the Bauahus as a Bauhaus member. He had presented many articles about the photomontage at the photography magazines in Japan in order to introduce it to Japan since he returned in 1933. Thus, Yamawaki Iwao is the important person when we look back the Modern Japanese design and art history. In Japan, the art and design systems are managed by the Bauhaus educational system until now, and it has become a kind of cultural legacy in Modern Japan; The university of Tama and The university of Tsukuba are the representative educational systems which are based on the Bauhaus legacy. However, Yamawaki Iwao had been concealed as a photographer in Japanese design and photography history until the retrospective discuss named by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at the photography magazine, Deja-vu in 1995 and the retrospective exhibition titled as 'Bauhaus syashin(bauahustofografie)' in 1997. This study rethinks of Yamawaki Iwao's historical position while looking at the term as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used in Japan. It is very important to bear in mind Moholy-Nagy's wide variety of approaches to photography at the Bauhaus, but it is impossible to name it 'Bauhaus style'. 'Bauhaus style' is the international style in architecture, but that was never a Bauhaus style in photography. Eugene J. Prakapas indicated that the vague term of 'Bauhaus Photographies' in his article in 1985 as well. This study considers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mistake of the term of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in Modern Japanese history, while looking at Yamawaki Iwao's photomontage faintly entering on the historical stage again to discuss the reception of the photomontage from him. In particular, Some of Yamawaki Iwao's photomontage presented as the wall photography in Japa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at was related to the propaganda of Japanese government. It had not been known well in the modern Japanese art and design history because it was related to a declaration of the Second World War by Japan. However, the historical position of his photomontage is very important for Japanese history when we rethink of the reception of the Bauhaus and Moholy-Nagys' photographic theory to build up the Japanese modern history. In the result, this study wants to discuss that the mistake of the term of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in Japan is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for the the historical position for Yamawaki Iwao's photomontage in the reception of Bauhaus and Moholy-Nagy's photography in Japan.

  • PDF

중국 근현대 다큐멘터리 흑백사진 연구 -시에 하롱, 호 뎅케, 샤오 촨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dern Chinese Black-and-White Documentary Photography -Focused on Photographs of Xie Hailong, Hou Denke, Xiao Quan)

  • 동서원;양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97-105
    • /
    • 2015
  • 사진의 역사에서 컬러사진이 탄생한 후 색채가 다양하고 화질이 좋은 컬러사진은 점차 사진계의 주류가 되었다. 현대 중국 역시 개혁개방을 거쳐 국민의 사상이 점차 해방되고 컬러사진의 시대를 맞아 컬러사진은 더욱 대중화 되었다. 이처럼 컬러 사진이 대중화 된 시대가 되었지만, 이후 디지털 사진이 대중화 되면서 흑백사진은 중국에서 다시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디지털을 이용하여 손쉽게 흑백으로의 전환이 가능해 지면서 더욱 많은 사진가들이 흑백사진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나아가 디지털사진으로 사진의 대중화는 흑백사진으로 하여금 새로운 흐름을 맞게 하였는데, 이에 따라 예전 필름시대의 흑백사진과는 다른 작품들이 선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사진가들의 다큐멘터리 흑백사진작품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중국 근대의 흑백사진을 분석하였다.

데크놀로지 미학으로서의 사진 (The Photography as Technological Aesthetics)

  • 진동선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1권
    • /
    • pp.221-249
    • /
    • 2007
  • 오늘날 사진은 새로운 테크놀로지 형태인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앞에 심각한 정체성 위기와 존재론적 딜레마에 봉착했다. 사진은 그동안 우리에게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는 방법을 제공하고, 또 우리 스스로 주변을 돌아볼 수 있는 자각을 주었으며, 나아가 삶의 리얼리티의 본질을 재인식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런 사진의 기능이 오늘날 무력화되고 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출현으로 사진은 더 이상 사실의 기록, 결백의 증거, 그리고 리얼리티의 거울로서 간주되지 않는다. 오히려 유희의 도구 혹은 우리가 사는 세계의 환영과 기쁨을 창조하는 수단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출현은 이제 비로소 사진의 존재론적 당위성과 정체성의 문제를 냉정히 돌아보게 한다. 본 논고는 전자시뮬레이션 시대 새로운 이미지 생산의 첨병으로 등장한 디지털 이미지의 존재론적 측면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류의 첫 번째 프로그램 미학으로 말해지는 사진과 첨단테크놀로지 미학으로 말해지는 디지털 이미지와의 관계를 기계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려 한다. 특히 올드미디어(사진)와 뉴미디어(디지털) 사이에 갈등 구조를 자본주의 역사관과 물질적 관점에서 살펴보려 한다. 본 논고는 이를 위해 우선 사진의 정체성 위기와 존재론적 위협이 어디로부터 발현된 것인지를 살피고, 또 지금까지 생산된 매체 미학적 담론들이 어떤 비평적 쟁점 속에 놓였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특히 사진이 강점으로 여긴 존재론적 인덱스와 생성론적 텍스트에 주목하여 사진 재현의 기반인 사실적 기록, 명료한 증거, 그리고 기술적 정교성이 어떤 기계미학의 층위에 있는지를 디지털 이미지를 대척에 두고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최근 일고 있는 사진의 죽음, 사진의 종말에 관한 담론들이 심각한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올드 테크놀로지로서 사진이 당면한 위기, 즉 현재 사진이 안고 있는 존재론적 위기(컴퓨터화 된 디지털 이미지 출현) 그리고 인식론적 위기(윤리, 지식, 가치관 등 급격한 문화 변동)는 매체미학의 본질상 당연한 위기임을 정당화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주장을 위하여 역사적으로 사진술이 어떤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거쳤으며, 또 어떻게 지금의 디지털 이미지에 이르게 되었는지 테크놀로지 미학 안에서 자동생성주의로서 색인 이미지, 디지털 코드로서 수치 이미지의 생성, 기원, 본질 그리고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고는 논지의 정당성을 위해 다양한 매체미학자들의 주의주장 및 이론적 쟁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 분석틀을 통해서 테크놀로지 미학의 근간인 기계, 기술성을 바탕으로 한 사진의 생성적 측면과 문화 안에서 변형된 프로그램에 의해 창조되는 디지털 이미지의 변형적 측면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렇게 사진과 디지털 이미지의 양자의 비교를 통해서 테크놀로지 미학 안에서 올드 미디어(사진)와 뉴 미디어(디지털 이미지)의 자리바꿈은 정당한 것이라는 사실과, 이런 역설적인 구조야말로 기계, 기술을 바탕으로 삼는 테크놀로지 매체의 숙명성이라는 사실을 강조함으로써 논문의 정당성을 강화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고는 하나의 얼굴,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역사로서 확증하고, 또 사진에서 부동의 존재론과 인식론의 모습은 애초부터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지적함으로써 오늘날 제기되고 있는 '사진의 죽음,' '사진의 종말'은 쟁점의 정당성에도 불구하고 매체미학의 역사를 간과하는 오도된 비평이라는 사실을 결론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