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ate solubilizatio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4초

Promoted Growth of Maize by the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Isolated from North-east China

  • Wu, Hai-Yan;Wang, Li-Chun;Gao, Xing-Ai;Jin, Rong-De;Fan, Zuo-Wei;Kim, Kil-Yong;Zhao, Lan-P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2-117
    • /
    • 2011
  • A strain of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rhizosphere and identified as Burkholderia sp. by 16S-rRNA gene sequence analyses. The bacterium was found to release gluconic acid and the solubilization of hydroxyapatite in the liquid medium by a significant drop in pH to 3.7 from an initial pH 7.0. The soluble-P concentration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s and the total amount of soluble P released in culture filtrate was detected at 990 mg $L^{-1}$ after 10 days of inoculation. Most promoted maize growth was found in the standard NPK (240-120-120 kg $ha^{-1}$) soil inoculation with Burkholderia sp. (Twenty milliliters/plant, 106 CFU) and also in the absence of Burkholderia sp. inoculation, the soil amended with only 2/3 levels of P gave significant higher plant yield compared to 1/3 levels of P or without P supplementation.

논토양에서 질산 이온이 철의 환원과 인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ate on Iron Reduction and Phosphorus Release in Flooded Paddy Soil)

  • 정종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5-170
    • /
    • 2009
  • 환원상태가 발달된 담수상태의 토양이나 습지생태계에서 $NO_3^-$는 환원상태의 진전을 지연시키는 완충역할을 할 수 있다. 논토양에서 $NO_3^-$가 Fe의 환원과 그에 따른 P의 가용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수 후 10 cm 깊이 토양의 산화환원전위 변화는 $NO_3^-$를 처리한 토양과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서 현저하게 달리 나타났으며, $NO_3^-$의 환원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산화환원전위가 330${\sim}$360 mV 범위에서 유지되었다. 그리고 이 기간 동안 Fe의 환원은 현저히 억제되었다. $NO_3^-$를 처리한 토양 용액의 $PO_4^{3-}$ 함량은 담수 이후 0.2${\sim}$0.3 mg/L 수준 또는 그 이하로 유지되었으며, 반면 $NO_3^-$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담수 후 9일째부터 Fe의 환원과 함께 토양 용액의 $PO_4^{3-}$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일반적인 토양에서 무기태 P의 상당부분이 Fe 산화물에 고정된 형태 및 Fe와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므로 Fe의 환원에 따라서 $PO_4^{3-}$가 함께 용출되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토양중의 $NO_3^-$$Fe^{2+}$$PO_4^{3-}$의 용출을 조절하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토양 용액중의 $NO_3^-$ 농도가 1 mg/L 이상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토양의 산화환원전위가 330 mV 이하로 낮아지지 못하며, 따라서 Fe의 환원과 그에 따른 P의 용출 또한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Klebsiella sp. DA71-1/pLYJ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Insoluble Phosphates Solubilizing by Klebsiella sp. DA71-1/pLYJ)

  • 류아름;이진우;이용석;이상철;정수열;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76-682
    • /
    • 2006
  • 친환경형 미생물제제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의 향상을 위하여 Staphylococcus sp. LJ2로부터 분리된 ldh gene을 Klebsiella sp. DA71-1에 도입하였고, 이를 DA71-1/pLYJ라고 명명하였다. 배지에 glucose를 3% 첨가했을 때 다른 탄소원을 첨가했을 때보다 DA71-1/pLYJ 균주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각기 다른 난용성 인산염 tri-calcium phosphate, hydroxyapatite, 그리고 aluminium phosphate에 대하여 그 가용화능이 DA71-1 균주보다 적게는 1.2배, 많게는 2.3배 이상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DA71-1/pLYJ 균주는 DA71-1 균주에 비해 배양 온도에 비교적 관계없이 높은 인산가용화능을 나타낸 것이 특징적이었고, 배양초기 pH가 5.0일 때 그 능력이 가장 뛰어났다. 이러한 모든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DA71-1/pLYJ 균주는 여러면에서 DA71-1 균주보다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이 월등히 뛰어나며 따라서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미생물제제의 개발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할 수 있다.

Effect of Casein Phosphopeptides on In Vitro Solubilization of Calcium in Fortified Cheese Pizza

  • Choi, Jong-Woo;Yoon, Ho-Seok;Park, Sang-Min;Hong, Chae-Eun;Kim, Jin-Hyun;Kim, Jae-Yoo;Yoo, Yik-Je;Park, Ki-Moon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161-167
    • /
    • 2020
  • Cheese pizzas fortified with casein phosphopeptide (CPP) and calcium were subjected to an in vitro digestion to assess whether CPP could prevent the precipitation of calcium. The total calcium content of the cheese pizzas was adjusted to 1,000 mg per pizza (~370 g) with the addition of calcium originating from eggshells. Two levels of trypsin-digested caseins (367 and 459 mg), with a CPP content of ~20%, were added to each pizza. The in vitro digested pizzas were then centrifuged and the supernatant was mixed with Na2HPO3 at 37℃ to estimate the possible soluble effect of CPP on calcium. After 24 h of reaction, the solution was centrifuged and the calcium content in the resultant supernatant was analyz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scopy. One-way statistical analyses showed that CP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lubilization of calcium against phosphate (p<0.05). Cheese pizza supplemented with 459 mg of CPP powder was able to prevent precipitation of calcium by 98.8%, whereas no CPP-added cheese pizza solubilized 86.4% of the calcium. A sensory test was also carried out, revealing that panelists could not discern the bitter taste of the CPP added to the pizzas.

관개용수 중의 질산 이온이 논토양의 철 환원과 인 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ate in Irrigation Water on Iron Reduction and Phosphate Release in Anoxic Paddy Soil Condition)

  • 김병호;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8-74
    • /
    • 2010
  • 담수상태의 토양이나 습지생태계에서 ${NO_3}^-$는 환원상태의 발달을 지연시키는 완충역할을 할 수 있다. 논토양에서 관개용수를 통하여 공급되는 ${NO_3}^-$가 Fe의 환원과 그에 따른 P의 가용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관개용수중의 ${NO_3}^-$ 함량이 5 mg N $L^{-1}$ 수준일 경우 5 cm 깊이 토양에 도달하기 전에 대부분 탈질작용에 의해 제거되었으며, 5 cm 깊이 토양에서 일어나는 Fe의 환원과 P의 용출이 저해되었고 10 cm 깊이 토양의 환원현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NO_3}^-$ 함량이 10 mg N $L^{-1}$ 수준인 관개용수를 공급하였을 경우에는 10 cm 깊이 토양층까지 ${NO_3}^-$가 잔류 유입되었으며, Fe의 환원과 P의 용출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관개용수를 통하여 ${NO_3}^-$를 포함한 질소가 과도하게 논토양으로 유입되면 질소과다현상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P의 가용화를 억제함으로써 인 결핍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양송이배지로부터 분리한 Burkholderia균의 인산가용화 공조효과 (Synergistic effect of phosphate solubilization by Burkholderia strains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bed)

  • 박지훈;한창훈;윤민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83-189
    • /
    • 2017
  • 양송이배지로부터 분리한 인산가용화균 B. metallica JH-7과 B. contaminans JH-15의 단일접종 및 동시접종에 따른 인산가용화 능력의 시너지효과 및 상추생육효과를 조사하였다. 인산캄슘이 함유된 NBRIP 액체배지에 분리균을 접종하고 해리된 가용인산(soluble phosphorus)함량을 HPLC에 의해 분석하여 인산가용화능을 측정한 결과, B. metallica $140.08{\mu}g\;mL^{-1}$, B. contaminans $135.95{\mu}g\;mL^{-1}$, 그리고 동시접종 $134.84{\mu}g\;mL^{-1}$ 순으로 나타나 두 종의 인산가용화 박테리아간의 동시접종에 의한 시너지효과가 없었다. 배지 내 pH 와 잔류 glucose 함량 변화도 모든 접종구에서 배양 1일 후 대부분의 변화가 이루어져 pH의 경우 초기 pH 7.0에서 pH 4.5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잔류 glucose 함량은 초기 $10mg\;mL^{-1}$에서 $5.3mg\;mL^{-1}$ 수준으로 검출되어 그 이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아 인산가용화능과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배양여액의 유기산 분석결과 succinic acid, glutam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Park et al(2016)에 의해 보고된 인산가용화균의 결과와는 달리 gluconic acid 및 oxal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 중에서 lactic acid 와 glutamic acid 가 가장 높은 함량인 $0.18mg\;mL^{-1}$$0.16mg\;mL^{-1}$을 나타내었으며, succinic acid는 B. metallica 에서만 확인되었고, 대부분의 유기산이 배양 1일 과 3일 후 생성되는 결과를 보임으로서 유기산이 배지의 pH를 감소시키고 인산 가용화를 유도하는 주요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접종 1주 후와 2주 후 간의 생육차이를 조사한 상추재배실험결과, 잎의 길이는 2.60 cm 로 B. metallica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전체길이는 B. metallica + TCP 처리구가 5.50 cm로 가장 높았으며, B.contaminans + TCP 처리구는 잎의 폭과 뿌리길이의 변화에서 0.87 cm 와 3.87 cm로 가장 높았다. 또한 잎의 수는 동시접종 + TCP 처리구에서 6.67 cm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여 재배실험에서도 단일접종과 동시접종구간에 유의수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다른 연구와 유사한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경우 인산가용화균을 접종한 모든 처리구에서 뚜렷한 생장촉진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접종제로서 인산가용화균을 사용하면 식물과 작물 수확량에 의한 P 섭취가 동시에 증가하고 생육이 촉진된다는 다른 연구결과($Rodr\acute{i}guez$ et al, 1999; Walpola and Yoon. 2013)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인(P) 결핍 토양에 가능한 접종 도구로서 효율적인 PSB 균주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pot 실험 이후 추가적으로 노지 밭과 시설 재배지 토양의 EC, pH, 유기물 등과 칼륨,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교환 가능한 양이온 등 화학적 분석(Suh et al, 2008) 등과 이를 기초로 하여 토양의 포트 및 면적에 따른 미생물의 적절한 접종량 확인 등이 더 필요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양송이배지로부터 분리한 Pantoea rodasil 와 Burkholderia stabilis의 인산가용화능 비교 (Comparison on phosphate solubilization ability of Pantoea rodasil and Burkholderia stabilis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media)

  • 박홍신;염영호;윤민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38
    • /
    • 2018
  • 양송이 수확후 배지에서 분리한 Pantoea rodasill LH-1와 Burkholderia stabilis HS-7간의 단일 접종 및 동시접종에 따른 인산가용화능과 상추생육효과를 조사하였다. NBRIP액체 배지에 분리균을 접종하고 배지에 함유된 인산칼슘으로부터 해리된 가용인산(soluble phosphorus)함량을 측정한 결과, P. rodasill LH-1는 $736.59{\mu}g\;mL^{-1}$, B. stabilis HS-7은 $743.90{\mu}g\;mL^{-1}$, 그리고 B. stabilis HS-7와 P. rodasill LH-1을 동시 접종한 배지는 $783.41{\mu}g\;mL^{-1}$로 가장 높았지만 유의수준의 시너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배지 내pH는 초기 pH 7.0에서 배양 3일 후 모든 접종구에서 pH 4.3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배지 내 잔류 당 감소율은 P. rodasill LH-1 31.7%, B. stabilis HS-7은 53.7%, 동시 접종한 배지에서는 87.1%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분리균에 의해 생성한 배지 내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glucon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 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citric acid가 주요 유기산으로 동시 접종한 배지에서 $0.96mg\;mL^{-1}$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상추 재배 실험결과 동시 접종구가 대조구에 비해 잎의 길이는 7.7%, 뿌리길이는 15.5% 생육증진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B. stabilis HS-7 와 Pantoea rodasill LH-1이 동시접종에 의해 유의수준의 인산가용화 시너지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무 접종구에 비하여 배지 내 인산가용화능과 작물의 생장이 크게 촉진되는 결과를 보임으로서 인산가용화균을 이용한 미생물 비료의 공급으로 염류집적토양의 인산가용화능과 작물의 생육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토양 방선균 Streptomyces sp. MG 121의 항균활성 및 고추 생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treptomyces sp. MG 121 on Growth of Pepper Plants and Antifungal Activity)

  • 임태헌;조성현;김진호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93-97
    • /
    • 2007
  • 비경작 산림 토양으로부터 고추 역병균과 탄저병균에 대한 항균활성, 불용태 인산의 가용화 및 식물체 초기생육촉진 효과를 보이는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선발된 미생물의 16S rDNA 염시서열을 분석한 결과, Streptomyces sp.로 동정되었다. Streptomyces sp. MG 121 균주는 고추열매를 이용한 역병과 탄저병을 80% 이상 억제하였다. MG 121균주 배양액의 식물체 엽면살포는 식물체의 초기생육을 10% 이상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용태 인산의 가용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유리인산의 농도는 144시간 후 $762{\mu}g/ml$까지 증가하였다.

한국 전통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인산가용화 효모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hosphate Solubilizing Yeasts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박인철;김정선;정주애;유재홍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18-224
    • /
    • 2013
  • 한국 전통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효모로부터 인산 가용화 활성이 우수한 5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균주 중 2균주는 Pichia anomala로 동정되었고, 3균주는 각각 Pichia farinosa, Candida versatilis, Pichia subpelliculosa로 동정되었다. 인산 가용화 효모는 $20{\sim}35^{\circ}C$의 온도에서 잘 자라는 중 온성 효모였으며 P. farinosa Y669는 $45^{\circ}C$의 고온에서도 생장하였다. C. versatilis Y907 균주는 pH 5~6의 좁은 pH 범위에서 생장하였고 15%의 NaCl 농도까지 내성을 나타내는 호염성 균주였다. 그 외 4균주는 pH 4.0~8.0에서 생장하였으며 NaCl 10% 농도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인산 가용화 균주는 토양에서도 8주 동안 $10^7{\sim}10^8$ cfu/g의 밀도를 유지하며 생존하였다. 분리균주 중 인산 가용화 활성은 P. subpelliculosa Y1101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배양 11일 후 697.2 ug/mL의 유리인산을 생성하였다.

Pseudomonas sp. CL-1 및 Kluyvera sp. CL-2 균주의 인산가용화 특성 (Phosphate Solubilizing Activity of Pseudomonas sp. CL-1 and Kluyvera sp. CL-2)

  • 권장식;서장선;원항연;김완규;노형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42-446
    • /
    • 2007
  • 토양에 고정되어 축적된 난용성 인산염을 가용화하는 유용세균을 선발하여 생물비료로 이용하고자 고추, 토마토, 상추, 오이, 목초, 잔디의 근권토양 및 뿌리표면에서 인산가용화능이 있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선발된 인산가용화균은 16S rRNA 염기서열과 생화학적특성 등에 의해 동정되었으며, 난용성인산 가용화기능이 우수한 세균 Pseudomonas sp. CL-1 및 Kluyvera sp. CL-2균주를 선발하였다. Pseudomonas sp. CL-1균주는 esculin과 gelatin, casein을 가수분해하였고, 그리고 glucose, arabinose, mannose, mannitol, N-acetyl-glucosamine, gluconate, caprate, adipate, malate, citrate 등을 이용하였다. Kluyvera sp. CL-2 균주는 esculin과 CM-cellulose를 가수분해 하였고 acetoin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glucose, arabinose, mannose, mannitol, N-acetyl-glucosamine, maltose, gluconate, malate, citrate 등을 이용하였다. Pikovskaya's medium에서 선발균주의 난용성인산 $Ca_3(PO_4)_2$의 인 가용화량을 정량한 결과 Pseudomonas sp. CL-1과 Kluyvera sp. CL-2 균주는 접종후 1일, 3일에 각각 148.0, $193.4(P\;mg\;L^{-1})$와 482.8 mg, 493.6 mg의 인 가용화량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