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ate removal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1초

Glyoxalase 1 as a Therapeutic Target in Cancer and Cancer Stem Cells

  • Ji-Young, Kim;Ji-Hye, Jung;Seung-Joon, Lee;Seon-Sook, Han;Seok-Ho, H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5권12호
    • /
    • pp.869-876
    • /
    • 2022
  • Methylglyoxal (MG) is a dicarbonyl compound formed in cells mainly by the spontaneous degradation of the triose phosphate intermediates of glycolysis. MG is a powerful precursor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which lead to strong dicarbonyl and oxidative stress. Although divergent functions of MG have been observed depending on its concentration, MG is considered to be a potential antitumor factor due to its cytotoxic effects within the oncologic domain. MG detoxification is carried out by the glyoxalase system. Glyoxalase 1 (Glo1), the ubiquitous glutathionedependent enzyme responsible for MG degradation, is considered to be a tumor promoting factor due to it catalyzing the removal of cytotoxic MG. Indeed, various cancer types exhibit increased expression and activity of Glo1 that closely correlate with tumor cell growth and metastasis. Furthermore, mounting evidence suggests that Glo1 contributes to cancer stem cell survival.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role of Glo1 in the malignant progression of cancer and its possible use as a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for tumor therapy. We also summarize therapeutic outcomes of Glo1 inhibitors as prospective treatments for the prevention of cancer.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for the Phytoremediation of Diesel- and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 Yun-Yeong Lee;Kyung-Suk C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84-499
    • /
    • 2023
  • Plant growth-promoting (PGP) bacteria can be used as bioresources to enhance phytoremediation through their PGP traits and pollutant removal capacity. In this study, 49 rhizobacteria were primarily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tall fescue grown in diesel- and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Their biosurfactant production, phosphate (P) solubilization, and siderophore production wer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ed to identify superior PGP bacteria.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PGP bacteria and the stability of their PGP traits were a temperature of 35℃, a pH of 7, and 2 days of cultivation time. Four superior PGP bacteria (Pseudomonas sp. NL3, Bacillus sp. NL6, Bacillus sp. LBY14, and Priestia sp. TSY6) were finally selected. Pseudomonas sp. NL3 exhibited superior biosurfactant production and P solubilization. Bacillus sp. NL6 showed the highest P solubilization and superior production of biosurfactants and siderophores. Bacillus sp. LBY14 offered the best siderophore production and impressive P solubilization. Priestia sp. TSY6 had superior capacity for all three PGP traits. Through their secretion of beneficial PGP metabolites, the four bacteria isolated in this study have the potential for use in the phyto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혐기성 회분식 배양에서 양돈폐수의 NH$_4$-Nitrogen이 혐기성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mmonium-Nitrogen on Anaerobic Microorganisms in Swine Wastewater by Batch-Fermentation.)

  • 김연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3-17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양돈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의 난점 중 하나인 NH$_4$-N이 혐기성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조사하기 위해 폐수를 여러 가지 비율로 희석하여 혐기성 회분식 배양을 시도하였으며 COD제거율과 NH$_4$-N의 농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또한 MgO를 첨가하여 폐수내의 NH$_4$-N를 $MgNH_4PO_4{cdot}6H_2O$의 결정체로 형성시킨 후 침전 제거하고 같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개월 이상 원폐수에서 적응된 master culture는 75%의 폐수와 25%의 희석수에서 빠른 COD 제거율을 보였으며, MAP법으로 NH$_4$-N를 60% 제거한 폐수에서는 200시간 후 80%이상의 COD 제거율을 보였다. 같은 조건에서 NH$_4$-N를 함유하고 있는 폐수는 50%정도의 COD 제거율을 보여, MAP법으로 NH$_4$-N를 제거한 폐수의 혐기성소화가 월등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중요한 결과는 NH$_4$-N 농도가 혐기성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C:N의 비율이 2이하일 때 치명적인 영향을 줌을 규명하였으며 MAP법에 의해 형성된 struvit는 혐기성 미생물에 독성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Removal and Inactivation of Viruses during Manufacture of a High Purity Antihemophilic Factor VII Concentration from Human Plasma

  • Kim, In-Seop;Choi, Yong-Woon;Lee, Sung-Rae;Woo, Hang-Sang;Lee, Sou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497-50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and mechanism of the cryo-precipitation, solvent/detergent (S/D) treatment, monoclonal anti-FVIIIc antibody (mAb) column chromatography, Q-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lyophilization involved in the manufacture of antithemophilic factor VII(GreenMono) from human plasma, in the removal and/or inactivation of blood-borne viruses. A variety of experimental model viruses for human pathogenic viruses, including the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BVDV), bovine herpes virus (BHV), murine encephalomyocarditis virus (EMCV), and porcine parvovirus (PPV), were all selected for this study. BHV and EMCV were effectively partitioned from a factor VII during the cryo-precipitation with a log reduction factor of 2.83 and 3.24, respectively. S/D treatment using the organic solvent, tri(n-butyl) phosphate (TNBP), and the detergent, Triton X-100, was a robust and effective step in inactivating enveloped viruses. The titers of BHV and BVDV were reduced from the initial titer of 8.85 and $7.89{log_10} {TCID_50}$, respectively, reaching undetectable levels within 1 min of the S/D treatment. The mAb chromatography was the most effective step for removing nonenveloped viruses, EMCV and PPV, with the log reduction factors of 4.86 and 3.72, respectively. Q-Sepharose chromatography showed a significant efficacy for partitioning BHV, BVDV, EMCV, and PPV with the log reduction the log reduction factors of 2.32, 2.49, 2.60, and 1.33 respectively. Lyophilization was an effective step in inactivating g nonenveloped viruses rather than enveloped viruses, where the log reduction factors of BHV, BVDV, DMCV, and PPV were 1.41, 1.79, 4.76, and 2.05, respectively. The cumulative log reduction factors of BHV, BVDV, EMCV, and PPV were ${\geqq}$11.12, ${\geqq}$7.88, 15.46, and 7.10,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duction process for GreenMono has a sufficient virus-reducing capacity to achieve a high margin of the virus safety.

  • PDF

일체형 완속교반침전조와 섬유여과기를 이용한 반류수 인 제어시스템의 경제성 연구 (Economic Assesment of Phosphorus Control System for Reject Water using a Integral Type Slow Mixing/Sedimentation Tank and Fiber Filter)

  • 김미란;김정숙;장정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6호
    • /
    • pp.822-829
    • /
    • 2017
  • 하수처리장에서의 총 인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 완속교반/침전 섬유여과시스템을 적용하여 하수 방류수와 반류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물질수지를 통해 인의 최종 농도를 강화된 기준치인 0.2 mg/L로 낮추기 위해서는 약 92.4 kg T-P/day를 제거해야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위한 총 인 제거효율은 하수 방류수는 96%, 반류수(탈수여액)은 69.2% 이상이 되어야 한다. 총 인 제거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운영비용을 검토하였으며, 하수방류수를 처리하는 것보다 유량은 적으나 고농도의 인을 함유한 반류수를 처리하는 것이 약품비용은 약 1/2.4, 전력비용은 약 1/120 정도로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반류수 처리를 위해 개발시스템인 완속교반/침전 섬유여과시스템과 일반적인 응집침전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한 경제성을 검토하였으며, 완속교반/침전 섬유여과시스템이 일반적인 응집침전시스템에 비해 설치면적이 약 1/7로 작고 약품소요량 및 전력비를 포함한 연간운전비용은 약 1/1.7 소요되어 개발시스템이 보다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소성온도에 따른 굴 패각의 영양염 제거 성능 평가 (Evaluation of Nutrients Removal using Pyrolyzed Oyster Shells)

  • 정일원;우희은;이인철;김진수;김경회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906-913
    • /
    • 2019
  • 소성 굴 패각의 PO4-P 및 NH3-N의 제거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100℃(POS100), 600℃(POS600), 800℃(POS800)로 소성시킨 굴 패각을 시료충전층에 채워 인공오수를 통과시키는 실내실험을 통해 PO4-P 및 NH3-N의 제거 성능을 확인하였다. 시료충전층을 통과한 유출수는 굴 패각에서 용출된 CaO의 영향으로 pH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PO4-P 제거량은 최대 약 23.1 mg/kg(POS100), 16.1 mg/kg(POS600), 15.9 mg/kg(POS800)으로, POS100의 PO4-P 제거량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PO4-P 제거 요인으로는 굴 패각의 Ca 및 Dolomite가 PO4-P를 흡착·침전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NH3-N 제거량은 최대 약 3.56 mg/kg(POS100), 5.72 mg/kg(POS600), 3.97 mg/kg(POS800)으로 나타났다. NH3-N의 제거율이 낮은 요인으로는 불안정한 질산화 과정, pH의 상승으로 인해 NH3-N가 NH4+로 변환된 영향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소성 굴 패각은 화학 반응을 통해 PO4-P 및 NH3-N 농도를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소성 굴 패각을 활용한 하수처리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재의 인 제거기능 회복을 위한 물리화학적 재사용 방안 비교 (Comparisons of Regeneration Methods Using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for Phosphate Removal Restoration of Filter Media)

  • 김지아;최이송;오종민;김원재;박재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3호
    • /
    • pp.201-2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물리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여재의 인 흡착능 회복을 위한 재생 방안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실험에 사용한 여재는 Adphos이다. 열 처리 방법의 경우, 기 사용한 여재를 고온에 가열한 후 흡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재사용 여재의 $PO{_4}^{3-}-P$ 흡착량은 0.0021 - 0.0030 mg/g, 제거효율은 26.1 - 39.4%의 범위로 나타났다. 산 또는 pH 조건을 조절하여 수행한 실험 결과, 산성을 띠는 pH 1 - pH 5 조건에 처리한 경우 재사용 여재의 $PO{_4}^{3-}-P$ 흡착량은 0.0010 - 0.0066 mg/g, 제거효율은 15.8 - 87.1% 범위로 나타났다. 염기성을 띠는 pH 8 - pH 11 조건에 처리한 경우 재사용 여재의 $PO{_4}^{3-}-P$ 흡착량은 0.0018 - 0.0034 mg/g, 제거효율은 26.7 - 48.0% 범위로 조사되었다. 0.1 M, 0.01 M, 0.001 M 농도의 NaCl에 처리한 경우 재사용 여재의 $PO{_4}^{3-}-P$ 흡착량은 0.0036 - 0.0050 mg/g, 제거효율은 50.5 - 71.1%로 나타나 0.1 M NaCl을 이용한 약품처리법에서 재사용 여재의 인 흡착능 회복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렁이 분변토를 이용한 생물담체가 충전된 바이오필터에 의한 황화수소 제거 (Application of Earthworm Casting-derived Biofilter Media for Hydrogen Sulfide Removal)

  • 유선경;이은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820-825
    • /
    • 2007
  • 지렁이 분변토는 낙엽이나 땅 속의 썩은 뿌리 등을 먹고 장 내의 효소에 의해 부숙화시켜 섭취한 먹이의 80% 이상을 그대로 배설한 질소, 인산, 칼륨 등의 함량이 매우 높고 미생물량도 $10^8$ CFU 이상이 되는 천연비료이다. 또한, 분변토의 단립 구조는 통기성 및 투수성이 매우 우수하며, 비표면적이 크고 양이온 교환용량(2.30-4.60 mg/g-soil)이 높아 탈취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변토의 특성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주기 위해 폐 polyurethane form을 binder로 하여 담체를 제조한 후, 이를 충전한 바이오필터를 대상으로 악취가스 중 황화수소의 제거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담체는 별도의 배지를 사용하지 않고 분변토 자체에 포함된 유기, 무기물질을 이용하고, 분변토 자체에 있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었다. 황화수소 주입직후부터 lag phase없이 100%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공간속도 50 $h^{-1}$인 경우 입구농도 450 ppmv까지 출구에서 황화수소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악취가스의 입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바이오필터의 제거효율이 감소하여 출구의 황화수소 농도가 증가하였다. 이 후 950 ppmv까지 약 93% 이상의 우수한 제거효율은 보였고, 약 61.2 g $S{\cdot}m^{-3}{\cdot}h^{-1}$의 최대제거용량을 얻을 수 있었다. 90% 이상의 제거효율을 갖는 황화수소의 최대제거용량은 SV 50 $h^{-1}$에서 300 $h^{-1}$로 증가함에 따라, 61.2, 65.9, 84.7, 89.4 g $S{\cdot}m^{-3}{\cdot}h^{-1}$로 증가하다가 SV 400 $h^{-1}$ 에서는 약 59.3 g $S{\cdot}m^{-3}{\cdot}h^{-1}$로 감소하였다. 공간속도의 증가에 따른 최대제거속도$(V_m)$와 포화상수$(K_s)$를 Michaelia-Menten식으로부터 구한 결과, 각각 66.04, 88.96, 117.35, 224.15, 227.54 g $S{\cdot}m^{-3}{\cdot}h^{-1}$로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반면 포화상수는 79.97, 64.95, 65.37, 127.72, 157.43 ppmv으로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오존처리와 생물활성탄 공정에 의한 상수원수 중의 용존유기물 제거 (Removal of Dissolved Organic Matter by Ozone-biological Activated Carbon process)

  • 이상훈;문순식;신종철;최광근;심상준;박대원;이진원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211-21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오존과 생물활성탄 연계공정의 효율성을 비교하고자 원수, 원수오존처리, 원수오존응집 침전 공정 처리수를 생물확성탄에 유입시켜 용존 유기물질의 제거효과를 비교ㆍ연구하였다. 또한 생물활성탄의 생물학적 처리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질소, 총인,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경향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오존 생물활성탄 처리시의 평균 제거율은 30.7%로 다른 처리 공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용존 유기물질 제거율을 나타냈는데, 이것은 생물황성탄 컬럼 상에서 용존산소의 농도를 증가시킴과 오존의 산화로 인하여 유기물의 생분해도를 증가시킴으로서 활성탄 컬럼 내의 용존 유기물질 제거를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되며, 생물활성탄 컬럼의 DOC 저감율이 가장 높은 EBCT 10분을 최적의 EBCT로 판단하였다. 또한 각 공정별 유기물의 성상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specific ultra violet adsorbance 성상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오존처리에 의해 다량의 hydrophobic 성분이 hydrophilic 성분으로 전환되었으며 생물활성탄 처리에 의해 28%의 SUVA 값의 제거가 발생하였다. 이것은 오존 처리에 의해 다량의 hydrophobic 성분이 hydrophilic 성분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러한 hydrophilic 성분이 생물활성탄 처리에 의해 제거된 것으로 사료된다. 원수를 유입시킨 생물 활성탄 처리수는 45.3%, 오존 처리수를 유입시킨 컬럼에서는 44.6%, 오존응집ㆍ침전처리수를 유입시킨 컬럼에서 58.4%의 UV$_{254}$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암모니아성 질소의 경우 66%, 81%, 29%의 제거율을 나타내어 생물학적 제거가 활발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오존산화처리와 황성탄의 연계처리는 용존 유기물질의 저감 뿐만 아니라 생물활성탄의 생물학적 처리능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공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id의 효과와 거의 대등한 것을 나타났다. 이것으로 쇠비름 조추출물이 항산화효과 (in vitro)가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이 항산화활성은 극성이 비교적 큰 화합물들에 의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현재 쇠비름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활성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는 exp-onential phase 동안 급격한 균체성장으로 용존산소가 부족하여 NADH balance에 의해 astaxanthin 생합성 경로 중 탈수소화 단계가 저해되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최종 세포농도는 43.3 g/L, 단위부피당 carotenoids 함량은 149.4 mg/L, astaxanthin 함량은 110.6 mg/L로서 산업적인 생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변이주 B76 및 이의 대량 발효를 위한 최종조건의 정립은 향후 astaxanthin의 산업적 생산공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색총말내에 소형의 도형, 소형의 장형 연접소포 및 DENSE CORE VESICLE의 3가지 연접소포를 가지고 있었고 출현빈도수는 촉각엽에서 가장 큰 33%이었다. 제5형 신경연접은 축색종말내에 중등도크기의 원형, 대형의 원형연접소포 및 DENSE CORE VESICLE을 포함하였고 13%의 출현빈도수로 관찰되었다. 배추횐나비의 촉각에 있는 지각신경세포가 뇌의 촉각엽으로 뻗어 들어가 위의 5가지 신경연접중 어느 형을 형성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좌측 촉각의 기부를 제거하여 지각신경세포를 절단하였는데 그 결과, 좌측 촉각엽에서 제4형의 신경연접이 퇴행성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촉각의 지각신경세포는 뇌의 같은 족 촉각엽에 뻗어와 제4형 신경연접을 형성한다고 결론되었다.$/ 값이 210 $\mu\textrm{g}$/$m\ell$로서 효과적인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빈랑으로부터 분리한 phenol 성 물질은 피부

알루미늄 응집제를 사용한 호수수질 개선 사례 연구 (The Application of Aluminum Coagulant for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Three Recreational Ponds)

  • 강필구;김범철
    • 생태와환경
    • /
    • 제36권4호통권105호
    • /
    • pp.447-454
    • /
    • 2003
  • 부영양호의 수질정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응집제를 호수에 첨가하고 조류와 부유물의 침강제거효과, 및 인의 감소효과를 측정하였다. 서울 석촌호와 강원대학교 구내 연못을 대상으로 8회에 걸쳐 첨가량을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7회의 처리에서는 황산알루미늄을 사용하였고 1회는 PAC를 사용하였다. 부유물질의 침강제거효과는 첨가량에 따라 좌우되었다. 10.0 mgAl/l를 첨가한 경우에는 부유물질, 조류, 인 등이 완전히 제거되었으나, 3.3 mgAl/l와 1.8 mgAl/l를 첨가한 경우에는 부분적인제거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0.45 mgAl/l로 첨가한 경우에는 거의 개선효과가 보이지 않았다. 알루미늄 첨가가 부유물을 침전제거에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최소역치 (약 5 mgAl/l) 이상을 투여하여야 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효과 지속시간은 외부로부터의 추가부하량 유입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보인다. 석촌호에서는 인근 하천수의 펌핑에 의해 곧 다시 혼탁해 졌으며, 구내연못에서는 강우후 주변의 토사가 유입되거나 지하수 펌핑으로 영양염류가 유입되면 곧 다시 조류가 번성하고 혼탁해 졌다. 응집제 투여의 결과로 pH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피해나 어패류에 대한 유해성 징후는 발견되지 않았다. 외부 오염원을 제거할 수 없는 호수에서는 응집제의 투여가 호수수질 개선의 임시적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