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ne Function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36초

Possible Effects of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on Central Nerve System

  • Kim, Ju Hwan;Lee, Jin-Koo;Kim, Hyung-Gun;Kim, Kyu-Bong;Kim, Hak Rim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7권3호
    • /
    • pp.265-275
    • /
    • 2019
  • Technological advances of mankind, through the development of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resulted in the exposure to artificial electromagnetic fields (EMF). Technological growth is expected to continue; as such, the amount of EMF exposure will continue to increase steadily. In particular, the use-time of smart phones, that have become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is steadily increasing. Social concerns and interest in the impact on the cranial nervous system are increased when considering the area where the mobile phone is used. However, before discussing possible effects of radiofrequency-electromagnetic field (RF-EMF) on the human body, several factors must be investigated about the influence of EMFs at the level of research using in vitro or animal models. Scientific studies on the mechanism of biological effects are also required. It has been found that RF-EMF can induce changes in central nervous system nerve cells, including neuronal cell apoptosis, changes in the function of the nerve myelin and ion channels; furthermore, RF-EMF act as a stress source in living creatures. The possible biological effects of RF-EMF exposure have not yet been proven, and there are insufficient data on biological hazards to provide a clear answer to possible health ris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biological response to RF-EMF in consideration of the comprehensive exposure with regard to the use of various devices by individual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possible biological effects of RF-EMF exposure.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 요소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wearable device)

  • 심현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9-263
    • /
    • 2014
  • ICT 분야에서 2014년의 주목할 만한 이슈 중 하나가 "입는 컴퓨터(Wearable Computer)" 즉 "Wearable Device" 시대의 개막이다. 삼성 갤럭시 기어, 구글 글래스, 그리고 애플 워치와 같은 제품들을 웨어러블 디바이스라고 한다. MIT 미디어 랩의 정의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부착하여 컴퓨팅 행위를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지칭하며 일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까지 포함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또 하나의 두뇌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대중화되면 달라지는 것이 수없이 많아질 것이다. 일단 두 손이 자유로워진다. 내 몸이 24시간 인터넷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단지 스마트폰이나 디바이스를 몸에 붙인다는 수준이 아니라 디바이스가 바로 우리 몸의 외부에 연결되어 있는 두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 요소를 관련 기업들 별로 분석해 본다.

  • PDF

항로표지 충·방전조절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Monitoring System of Ato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ler)

  • 예성현;한순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9-642
    • /
    • 2014
  • 상시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광파표지에는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공급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공급시스템에서는 충전과 방전을 관리하는 충 방전조절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항로표지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IT기술도입은 광파표지에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를 추가하게 됨으로서 충 방전조절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항로표지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충 방전조절기의 점검은 접근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점검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충 방전조절기에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하여 접근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점검이 가능한 모니터링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은 도입비용이 낮고 구성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충 방전조절기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점검비용과 점검 간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 PDF

신경학적 손상에 의한 언어장애인 음성 인식률 개선(H/W, S/W)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Rate (H/W, S/W) of Speech Impairment by Neurological Injury)

  • 이형근;김순협;양기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397-1406
    • /
    • 2019
  • 신경학적 손상에 의한 언어장애인/비장애인 간의 일상적인 휴대폰 통화시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발음의 정확도와 언어장애인의 발음 특징이 결합되어 원활한 의사소통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한하는 방법은 언어장애인 특성에 맞춘 단어의 모호성(out of vocabulary) 개선과, 언어 장애인 구강 특성에 따른 어려운 발성 부분을 인위적으로 보정해주는 유도선이 포함된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Microphone 장치 개선이다. S/W적 개선은 도치기능이 포함된 결정트리이며, 연속어 특성을 감안하여 개선된 matrix-vector rnn 방법을 제시하였다. H/W와 S/W 특성을 감안하여 유사 사전을 만들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말명료도 향상에 기여하였다.

그룹 사용자를 위한 알람 및 메모 애플리케이션 (Alarm and Memo Application for Group)

  • 임용민;권두위;박수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11-1112
    • /
    • 2013
  • 우리나라의 스마트 폰 이용자 수가 3000만이 넘어서면서 현대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스마트 폰에는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며 그 중에서 스마트 폰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알람기능과 메모장 기능은 현재에도 유용하게 쓰이는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이다. 기존의 알람 및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은 대부분 개인의 일정 관리에 한정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여행 스케줄링, 회의 공지 등 그룹을 이루는 사용자 모두에게 알람을 제공하거나 메모를 공유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의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알람과 메모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여행, 회의 등과 같이 그룹을 대상으로 스케줄링, 알람이 필요한 경우, 그룹 구성원 중 한 명의 설정으로 그룹 전체에게 알람을 제공하고 메모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여행 시 개인별로 준비해야 할 준비물이나 주의사항, 회의 시 필요한 자료 등, 그룹 구성원 전체에게 전달해야 할 정보를 게시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바일 포렌식의 무결성 보장을 위한 효과적인 통제방법 (An Effective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Integrity of Mobile Phone Forensics)

  • 김동국;장성용;이원영;김용호;박창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51-166
    • /
    • 2009
  • 포렌식 수사 절차상의 무결성을 입증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쉬 함수 알고리즘을 적용한 디지털 증거의 경우, 무결성이 손상되면 그 자료는 폐기되어야만 했다. 즉, 주요 사건의 핵심 부분에 대한 증거 확보를 위해서는 삭제 영역에 대한 증거 복원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해쉬값이 처음 해쉬값과 달라 증거 데이터가 훼손됨으로 인하여 결정적인 증거 능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새로운 모바일 포렌식 절차 모델인"Evidence-Finder (이하 E-Finder) 모바일 포렌식 절차 모델"을 제안한다. E-Finder 절차는 5개 영역의 총 15개 절차 모델로 구성되며 E-Finder 절차를 기존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모델, Tata Elxsi Security Group 모델과 비교 및 고찰하였다. 이로 인하여, 현재까지 모바일 포렌식 분야에서 표준화 되지 않고, 검증되지 않은 방법론을 개선하는 기대효과를 달성하였다.

스마트폰의 Bluetooth 기능을 활용한 실외용 스마트 팔로우 카트 (Outdoor Smart Follow Cart using Bluetooth Function of Smartphone)

  • 김지훈;김영빈;최성락;한영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959-96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바깥 활동에서 이동하는 위치까지 장애인과 노약자의 손으로 들고 있기 까다로운 물건이나 물품을 옮겨주는 편리성을 갖춘 카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GPS 모듈과 DC모터, 블루투스 모듈, 자력계 센서, Blynk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 팔로우 카트가 따라오는 과정에서 주인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하였다. 사용자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감지할 수 있도록 자력계 센서의 위도와 경도의 값을 시작 및 정지 각도의 미세조정을 위해 리드에 올바른 레버리지 값을 얻을 수 있게 0°에서 180°의 값을 설정했다. 이를 위 모터 드라이버 L298n을 모터와 연결하여 DC모터를 미세 각도로 구동하게 만들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Bluetooth의 무선통신으로 GPS를 연결하여 핸드폰 앱을 스위칭 역할로 ON/OFF 하여 주인의 방향에 따라 위치 신호를 수신 받는 스마트 팔로우 카트를 구현하였다.

PDA사용자의 유형 및 사용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Usages of PDA Users)

  • 손영우;김정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211-220
    • /
    • 2002
  • 현재와 같은 형태의 PDA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몇 년 전의 일이다. 10여 년 전에 구체적인 형태로 제품화되어 시장을 형성하고 사용자를 늘려가던 PDA는 최근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었다. 최첨단기술을 응용한 기능을 탑재하기 시작하였고 또한, 최근 치열해진 경쟁을 반영하듯이 특수목적에 적합한 형태로 세분화되고 있다. PDA본연의 기능외에 휴대형 전화기의 기능을 탑재하여 또 다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등 보다. 구체적인 합목적성을 갖추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급격히 사용자가 늘고 있는 PDA가 새로운 기술의 접목으로 사용범위와 활용도를 높이고 있는 반면, 기본적인 사용성과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고 본다. PDA는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컨텐츠와 정보를 보존하고 필요시에 즉답하는 기기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식하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바를 보다. 쉽고 빠르게, 오류 없이 전달하고, 그에 적합한 정보 및 컨텐츠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의 입력을 포함한 PDA의 인터페이스가 얼마나 효율적인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PDA의 전반적인 사용환경에 대하여 보다 나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일 도시 시설노인들과 지역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institutional elderly and the community living elderly)

  • 박경수;서용길;남해성;손석준;이정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2호
    • /
    • pp.293-30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ev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relating factor between institutional elderly and community living elderly. The subjects were 390 from Sanatorium or Nursing home and 467 from the community in Kwangju. The results are followed : 1) A comparison of ADL between two groups, institutional elderly and community living elderly, resulted in that community elderly were more significantly independent in the areas of bathing and transfer than institutional elderly. 2) A comparison of IADL between two groups resulted in that : Community elderly were more independent in the areas of using telephone and transportation, food preparation, house keeping, and doing laundry. Institutional elderly were more independent in the area of handling finances. 3) In the case of po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itutional elderly showed 2.4 times in the dimension of physical fitness, 1.8 times in daily activity, 2 times in social activity, 2 times in pain, 26.7 times in social support, and 0.4 times in subjective quality of life higher than community elder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t of dimensions. 4) In institutional elderly, the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ed in that; The relating factors were sex, education, and chronic illness in the dimension of physical function. Direct contact with family or significant others in the dimension of social activity. Chronic illness in the dimension of pai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family or significant others over the phone or through letters in the dimension of social support. 5) The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that community elderly has more relating variables in each area than institutional elderly. The relating factors were age, sex, and chronic illness in the dimension of physical function. Education and chronic illness in the dimension of emotional status. Age and chronic illness in the dimension of daily activity and social activity Education and chronic illness in the dimension of pai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Sex, education, family size in the dimension of social support. Education and chronic illness in the dimension of subjective quality-of-life. Throughout general daily activity, community elderly showed more satisfactory results than institutional elderly, but in the subjective area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uch as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stitutional elderly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sults. And community elderly had more relating factors than institutional elderly. For the health care of the elderly that focused on quality of life, new approach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group, institutional and community living elderly, are needed.

  • PDF

안전한 HTML5 로컬스토리지 구현에 대한 연구 (Study on implementation of Secure HTML5 Local Storage)

  • 명희원;백정하;이동훈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83-93
    • /
    • 2012
  • HTML5는 특정 브라우저에 종속되지 않으며 상호 운용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기존 HTML과도 하위 호환성을 갖도록 개발되어 현재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인 새로운 웹 표준이다. 이는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모바일 웹 환경에서 다양한 플랫폼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HTML5에서 새롭게 추가되는 기능들 중 하나인 Local Storage는 인터넷 접속이 끊긴 상태에서도 웹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오프라인 기능을 지원하며 이는 서버와 독립적인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현재 Local Storage는 평문의 데이터를 Client-side에 아무런 보안조치 없이 저장하기 때문에 쿠키와 같은 기존의 클라이언트 측 저장소가 갖는 보안 위협에 그대로 노출되어 보안상 안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ocal Storage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성능부하를 최소화 하면서 데이터의 안전한 저장 및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Local Storage 표준 API와 암호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이용하여 안전한 사용자 정보 저장을 지원한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을 실제 구현코드를 바탕으로 성능을 측정하여 효율성을 입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