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ishing Sca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8초

그래프 임베딩 및 준지도 기반의 이더리움 피싱 스캠 탐지 (Ethereum Phishing Scam Detection based on Graph Embedding and Semi-Supervised Learning)

  • 정유영;김경태;임동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5호
    • /
    • pp.165-170
    • /
    • 2023
  • 최근 블록체인 기술이 부상하면서 이를 이용한 암호화폐 플랫폼이 늘어나며 화폐 거래가 활발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암호화폐의 특성을 악용한 범죄 또한 늘어나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피싱 스캠은 이더리움 사이버 범죄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며 주요 보안 위협원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피싱 스캠 탐지 방법이 시급하다. 그러나 전체 이더리움 참여 계정 주소에서 라벨링된 피싱 주소의 부족으로 인한 데이터 불균형 문제로 지도학습에 충분한 데이터 제공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더리움 트랜잭션 네트워크를 고려한 효과적인 그래프 임베딩 기법인 trans2vec과 준지도 학습 모델 tri-training을 함께 사용하여 라벨링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라벨링되지 않은 데이터도 최대한 활용하는 피싱 스캠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메신저피싱 경험사례 분석을 통한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Countermeasures through Messenger Phishing Experience Analysis)

  • 남소원;이학선;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791-805
    • /
    • 2022
  • 최근 몇 년간 보이스피싱 관련 사기 피해는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신종 범죄 수법인 메신저피싱 피해는 매년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신저피싱 사례가 담긴 SNS의 게시물을 분석하여 신유형인 지인 사칭유형과 허위 결제 사칭유형의 범죄 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을 통해 메시지를 구성한 주요 단어와 패턴, 사용된 전화번호의 유사성과 관계성 등을 범죄 속성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범죄조직을 그룹화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사기관에서 수집한 범죄정보를 민간 사업자에 전파하여 메신저피싱 피해를 예방하는 공조 체계와 범죄조직 그룹화를 통해 예측한 메신저피싱에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피싱에 대한 분석 및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Analysis and Countermeasure about the Phishing Scam)

  • 강현중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5-74
    • /
    • 2014
  • 유선전화로 시작된 피싱 사기는 스미싱, 파밍 등으로 계속 진화하고 있다. 우리가 유 무선 통화, 문자, 이메일, 온라인 뱅킹 등을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는 만큼 그에 따라 해킹 및 피싱 사기 공격의 종류도 진화하고 다양해지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에 따라 피싱의 종류에 따른 공격방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일반적인 예방대책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용자들이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예방대책과 정부에서 추진할 수 있는, 장기적인 대책을 제시하였다. 계속 진화하는 피싱 사기를 단기간 내에 박멸하기는 어려우며 정부의 장 단기적인 대책과 기술개발 그리고 지속적인 홍보 등이 해결책이 될 것이다. 물론 SNS를 비롯한 인터넷상의 매체들도 홍보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아울러 새로 개발되는 서비스기술들은 보안상의 허점이 없도록 다시 한번 살펴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ccuracy of Phishing Websites Detection Algorithms by Using Three Ranking Techniques

  • Mohammed, Badiea Abdulkarem;Al-Mekhlafi, Zeyad Ghaleb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2호
    • /
    • pp.272-282
    • /
    • 2022
  • Between 2014 and 2019, the US lost more than 2.1 billion USD to phishing attacks, according to the FBI's Internet Crime Complaint Center, and COVID-19 scam complaints totaled more than 1,200. Phishing attacks reflect these awful effects. Phishing websites (PWs) detection appear in the literature. Previous methods included maintaining a centralized blacklist that is manually updated, but newly created pseudonyms cannot be detected. Several recent studies utilized supervised machine learning (SML) algorithms and schemes to manipulate the PWs detection problem. URL extraction-based algorithms and schemes. These studies demonstrate that some classification algorithms are more effective on different data sets. However, for the phishing site detection problem, no widely known classifier has been developed.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features and schemes of SML that work best in the face of PWs across all publicly available phishing data sets. The Scikit Learn library has eight widely used classification algorithms configured for assessment on the public phishing datasets. Eight was tested. Later, classification algorithms were used to measure accuracy on three different datasets f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ong with the Welch t-test. Assemblies and neural networks outclass classical algorithms in this study. On three publicly accessible phishing datasets, eight traditional SML algorithms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were calculated in terms of classification accuracy and classifier ranking as shown in tables 4 and 8. Eventually, on severely unbalanced datasets, classifiers that obtained higher than 99.0 percent classification accuracy.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this could also be adapted and outperforms conventional techniques with good precision.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lternative Means of Korea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using the Authorized Certificate)

  • 이영교;안정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07-117
    • /
    • 2014
  • The personal information extrusion accident(hacking, improper maintenance) by the internet has been increased rapidly during the last ten-year period.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Korea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name, cellphone number, home telephone number, E-mail address, home address, etc. Korea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is unchangeable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Illegally accessed personal information can be wrongfully resoled or used at phishing scam. In this paper, we propose a alternative means of Korea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using the authorized certificate. The authorized certificate is in use safely in Internet. The authorized certificate(included Chinese name) is in used in offline service, the authorized certificate(included English name) is used in online(for government service) and the authorized certificate(not included name) is used in online(for private service). The authorized certificates are possible for discard, republication. The method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personal information extrusion.

그래프 임베딩 기반의 이더리움 피싱 스캠 탐지 연구 (Ethereum Phishing Scam Detection Based on Graph Embedding)

  • 정유영;김경태;임동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66-268
    • /
    • 2022
  • 최근 블록체인 기술이 부상하면서 이를 이용한 암호화폐가 범죄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피싱 스캠은 이더리움 사이버 범죄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며 주요 보안 위협원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피싱 스캠 탐지 방법이 시급하다. 그러나 전체 노드에서 라벨링된 피싱 주소의 부족으로 인한 데이터 불균형으로 인하여 지도학습에 충분한 데이터 제공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더리움 트랜잭션 네트워크를 고려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임베딩 기법인 trans2vec 과 준지도 학습 모델 tri-training 을 함께 사용하여 라벨링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라벨링되지 않은 데이터도 최대한 활용하는 피싱 스캠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민간경비를 활용한 사이버범죄 예방 방안 (Prevention Methods of Cyber-crimes using the Private Security)

  • 김상운;조현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41-151
    • /
    • 2013
  • 200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한 사이버 공간에 대한 활용으로 인해 인간의 삶은 과거와 다르게 큰 발전에 발전을 거듭함과 동시에 사이버 범죄라는 신종 범죄가 증가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사이버 범죄는 과거의 물리적 형태의 범죄와 달리 사이버 공간이라는 특징을 바탕으로 일어나는 범죄로서, 비대면성 익명성 전문성 기술성 반복성 계속성 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사이버 범죄 발생추이를 살펴보면, 2003년에 비해 2010년에는 거의 두 배에 가까운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주로 일반 피싱 음란물 유포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 범죄가 대부분이었으며, 사이버 범죄를 저지르는 범죄자들의 연령대가 다른 범죄들에 비해 낮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최근 사이버 범죄에 대해서 경찰에서는 '사이버테러 대응 센터'를 설치하여 대응하고 있으나, 예방 및 수사조직의 분산, 수사상의 문제점, 제도상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경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민간경비를 통해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물리적 경비를 통해 서버룸과 같은 주요시설에 접근을 통제하며 우수한 사이버 전문요원을 육성하는 기본적인 형태의 범죄예방을 비롯하여, 사이버 범죄 컨설팅 및 관련 법령 개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