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ilosophy of Mind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7초

명재 윤증의 율곡성리학의 수용과 변전(變轉) (A Study on Acceptance and Modification in Yulgok Neo-Confucianism by Myungjae Yoon Jeung)

  • 이영자
    • 한국철학논집
    • /
    • 제42호
    • /
    • pp.39-70
    • /
    • 2014
  • 명재 윤증의 성리학은 율곡의 성리학을 그대로 계승하거나 변형하는 형태로 전개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율곡성리학의 수용과 변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율곡성리학의 수용에서는 율곡성리학의 특징인 '이기지묘(理氣之妙)', '이통기국(理通氣局)',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의 측면에서 명재가 이러한 논리를 철저히 계승하고 있음을 밝히었다. 하지만 명재는 율곡성리학을 자신만의 독창적인 설법을 제시하며, 율곡의 학설을 변전 계승하고 있다. 첫째, 명재는 리의 주재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이용사(理用事)'라는 용어를 통해 도심, 인심, 인욕을 세 단계로 이해하는 데서 분명히 드러난다. 둘째, 명재의 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은 주자나 율곡의 격물치지의 큰 틀 안에서 말하고는 있지만, 그 논법에 있어서는 양명학적 요소를 엿볼 수 있다. 셋째, 명재는 도심의 '기발'이나 인심의 '기발', '기용사'를 모두 부정적인 의미로 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것은 그가 리의 주재성을 고려하여 '기용사(氣用事)'를 이해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국 명재는 기호유학자로서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와 '이기지묘'적 입장에서 성리설을 더욱 정합화하고자 하였던 의도로 율곡성리학을 변전하여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그가 사변적인 성리논변 자체를 꺼리고, 실심에 기반하여 실공을 추구하고자 한 인생철학과, 선현들의 학설은 이미 풍부하므로 그 책들을 읽고 진지를 실천할 일이지, 그와 관계없이 저술에 힘쓰는 것은 무실의 학문이 아니라고 말했던 학문관과 일치한다. 다만 그 성향이 율곡학파 내에서도 '리'의 주재성을 가장 많이 강조한 학자군으로 분류되면서, 기호 소론이라는 새로운 학맥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것이 기호성리학에서 명재성리학이 갖는 가장 중요한 의의이다.

Aesthetic Consciousness and Literary Logic in the Jamesian Transatlantic Perspective: Towards a Dialectic of "a big Anglo Saxon total"

  • Kim, Choon-hee
    • 영어영문학
    • /
    • 제57권3호
    • /
    • pp.367-389
    • /
    • 2011
  • The aesthetic attitude, in general or in particular, represented in matters of taste through aesthetic ideas and value judgments postulates a certain literary logic. And this literary logic reveals itself a sense of morality, philosophy, or moral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moments of act and thought demonstrated in the characters invented in literary works. Henry James, among many others, offers a very special cultural paradigm for transnational argument because of his diverse ways of shaping transatlantic relations in terms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is international paradigm produced varied expressions referring to Henry James as "an American expatriate," "an Anglicized American artist," "a Europeanized aesthete," "a cosmopolitan intelligence," "a bohemian cosmopolitan" to designate his literary career and its characteristics shaped in Europe. Such expressions resonate with Transatlantic Sketches, James's first collection on travel and cultures in 1875 which heralded his long "expatriation" in terms of self-distantiation. James's temperament of mind, far from being always identified with shared values within an ideological framework, never avoided friction with fixed ideas but rather absorbed it fully for another friction which intervenes in his house of fiction. My question arises here regarding his cultural belonging or dislocation: where is the place of his mind or what could be his ultimate destination? In this essay, I'd like to define a place or rather the place of James's literary mind by proving a certain "sympathetic justice" for his literary logic. For this purpose, I'll try to examine: how James used transatlantic perspective, a spatio-temporal assessment to formulate his moral aesthetic consciousness; and how the aesthetic framework functions in assessing his literary logic of aesthetic consciousness. To start with the first argument, I'll analyze some essential aspects of aesthetic attitude of his characters to postulate a persona capable of theorizing James's aestheticism conditioned by the transatlantic context. And for the second argument, I'll examine how the persona functions in formulating a proper cultural stance of James's aesthetic consciousness in transatlantic perspective to illuminate the way of how Jamesian individuality reflects the American mind. This process of theorizing a place of James's own will lead, I hope, to our discovering James's ultimate destination on the assumption that it'll prove or create a certain "sympathetic justice" for his humanist aestheticism, a Jamesian absolute morality.

노인환자의 재활 (Rehabilitation af Geriatric Patient)

  • 배상수;박래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권1호
    • /
    • pp.95-101
    • /
    • 1990
  • The numbers of older patients increase year by year as the effect of care in illness prolongs the average life span, and it will be quite common to find octogenarians and nonogenarians. The philosophy and technics used in the rehabilitation of older patients are essentially the same as those in general rehabilitation, modified to comply with the physiology of the aging patient.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is essentially a matter of teamwork and an attitude of mind. Mo one of us can accomplish a cure by ourselves and there must be confidence and continuing consultation between all members of the team.

  • PDF

장 폴 골티에 작품에 나타난 내적 해체경향 (The Internal Deconstruction Trend Expressed in the Works of Jean Paul Gaultier)

  • 최영옥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4호
    • /
    • pp.574-591
    • /
    • 2001
  •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on philosophy in order to analyze the major aspects of the fashion world called the deconstruction fashion based on the deconstruction philosophy, and analyzes the works of Jean Paul Gaultier in terms of Derrida's deconstruction theory.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from 1980 to present, and this study fashion on the many kinds of literature on philosophy, aesthetics and literary criticism, an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shion journals and magazines. The deconstructionism is the philosophical theory which denies the traditionally recognized logocentric metaphysical theory and refuses the closed world and pursues the open world, opposing the dichotomic theory which is the deep-rooted tradition of the Western philosophy. The results of analyses centering on the internal deconstruction trend expressed in the works of Jean Paul Gaultier are as follows. 1 The past style combined with the present appears in the form of the entirely new trace, not the past emotion and meaning in Gaultier's works transcending the time and space. 2 Gaultier presents the unconventional intermeaning of meanings, producing various possibilities according to the wearing method of the wearer by layering several clothes. 3. Gaultier breaks from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the intertextuality of gender, and decomposes the fixed idea of men's or ladies'wear through the design sharing bisexual text. 4. In the intertextuality of T.P.O., Gaultier presents the problem of how to wear by mixing different items through obscuring the division of the nature of time, space, and purpose. Especially Gaultier can be called the first designer who, worthy of the father of the deconstructionism, has introduced in the fashion making inner wear like outer wear. 5. In the intertextuality of coordination, Gaultier presents a new perspective of coordination through free combination and contrast, raising a question about the man-made harmony criterion and deconstructing the clothes. On the other hand, Gaultier expresses the intertextuality of the material through the heterogeneous combination of the material. 6. The decomposition trend expressed in the many works of Gaultier reflects an open mind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through the distortion of the form, exaggeration, and break from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7. The decentering trend in the works of Gaultier is found to deconstruct the Western-dominated elements against the background of subcultural elements, the elements borrowed from the minority race, md the Oriental culture. 8. The discontinuity clothes of Gaultier present the disordered principle of design without the uniform rules, and express the unrestrained freedom without captivation by the preconceived idea through the disruption of the dress and its ornaments just like Gaultier.

  • PDF

퇴계의 주자철학에 대한 이해와 그 특색 - 리(理)의 동정(動靜)·발(發)·도(到)를 중심으로 - (T'oegye's Understanding of Zhuzi's Philosophy and its Characteristics)

  • 정상봉
    • 한국철학논집
    • /
    • 제37호
    • /
    • pp.47-70
    • /
    • 2013
  • 일반적으로 퇴계가 주자철학을 계승 발전시켰다고 평가를 한다. 그러나 평가의 내막을 구체적인 살펴보면 연구자들 사이에 원전자료에 대한 해석의 차이부터 취하는 관점에 이르기까지 편차가 너무도 크다. 물론 주자성리학 자체에 다양한 논의가 가능한 여지가 있고 퇴계철학 또한 상이한 해석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퇴계이후의 유학자들부터 오늘날의 연구자에 이르기까지 퇴계철학에 대하여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는 것은 대부분 리(理)의 동정(動靜)과 리(理)의 발(發), 그리고 리(理)의 도(到)에 대한 이해가 다르기 때문이다. 주자 서거후 300년이 훨씬 넘어 활동하였던 퇴계는 주자가 말했듯이 무정의(無情意) 무계탁(無計度) 무조작(無造作)의 측면을 들어 리(理)가 운동(motion)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리(理)가 능발능생(能發能生)한다는 점을 들어 리의 형이상적 활동(activity)을 긍정하였다. 이것은 그의 우주론에서 인식론에 이르기까지 그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그는 주자철학에서 제기된 리(理)의 동정(動靜)에 대하여 우주론적 의미를 부각시켰고 리(理)의 발(發)에 대해서는 본체론적 의미를 토대로 심성론적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마침내 리도(理到: 리의 자기발현)로써 물격(物格)의 인식론적 의미를 밝히게 됨에 따라 마침내 이론 정합적 체계를 정립하였다. 이와 같이 퇴계는 주자의 철학을 충실하게 계승하면서도 주자 당시에 미처 이론화하지 못했던 문제에 대하여 이론 정합적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주자철학을 발전시켰다.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원리(原理)와 철학적(哲學的) 배경(背景)에 대(對)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Principles and Philosophical Basis of 'Sa Sang Medicine')

  • 송정모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29
    • /
    • 1992
  • In this study, the author researched the process in which the philosophical basis of 'Sa Sang Medicine (四象醫學)' and its methodology build up the principles of Sa Sang Medicine, and then, examined how the principles were applied to the theoretical system of Sa Sang Medicine. The conclusion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Nae Kyung Medicine (內經醫學)' was developed under the concept that the cosmos's order and its moving rule could be directly applied to that of human body, which corresponded to the 'Theory of Hwang-No (黃老之學)'. On the contrary, Sa Sang Medicine is a thoroughly human-oriented theory formed in the Confucianism system. 2. Lee Jae-Ma's Substantialism can be briefed into 'Mind 心' (Tae Keuk 太極), 'Mind-Body 心身' (Yang Eui 兩儀) and 'Activity-Mind-Body-Matter 事心身物' (Sa Sang 四象), which respectively represents one-elemented substance, two-elemented substance and four-elemented substance. Especially, Sa Sang was used as a basic framework in which he recognized all the objects and phenomena. So, most critical significance of his substantialism consists in the intention of Sa Sang type classifying. 3. By the method of Sa Sang type classifying, Lee Jae-Ma not only redefined the main concepts of confucianism and developed a unique philosophy of his own, but also, in the field of medical science, resystemized and re-explaine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4. From the recognition that Activity-Mind-body-Matter (Sa Sang) are four different existence forms of energy 氣 (or four variation types of energy), Yi Jae-Ma thinks that the viscera of human body have a vertical structure of 'four parts 四焦' (upper, mid-upper, mid-lower and lower parts) and its physiological function is operated by the rising and falling action of four energy presentations (sorrow 哀, anger 怒, joy 喜 and pleasure 樂). 5. In "Gyuk Chi Go 格致藁", Lee Jae-Ma understood the concept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on the basis of nature-emotion theory 性情論 from the philosophical viewpoint. But, from the medical viewpoint of "Dong Eui Su Se Bo Won 東醫壽世保元", he understood them on the basis of vital energy theory. That is, sorrow, anger, joy and pleasure are expression of advance or reverse of nature vital-energy 性氣 and emotion vital-energy 情氣. 6. The rising and falling action principle of four energy presentations (sorrow, anger, joy and pleasure) which produces and helps each other is an identical principles of Sa Sang Medicine, distinguished from the Oh-Haeng 五行 circulating principle in Nae Kyung Medicine. Through this principle, Lee Jae-Ma explained the viscera physiology of human body, pathology & diagnosis and pharmacology.

  • PDF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의 『경의기문록(經義記聞錄)』 성립 과정과 심성론 도설(圖說)의 특징 (The establishing process of Keyongyegimunrok(經義記聞錄) by Namdang Han Wonjin and the characteristic of illustrated accounts of Heart-mind theory)

  • 이창일
    • 한국철학논집
    • /
    • 제35호
    • /
    • pp.131-164
    • /
    • 2012
  • 이 글은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의 "경의기문록(經義記聞錄)"이 가진 철학사적 입장을 개괄하고, 권6의 부록으로 수록된 "이기심성도설(理氣心性圖說)"의 성립 연대와 개략적인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총 17개의 도설(圖說)들은 리기론(理氣論), 심성론(心性論), 수양론(修養論) 등의 분야에 걸쳐 있다. 이 도설들은 남당이 호학(湖學)으로 불리는 황강(黃江)학파의 일원이 되면서부터 강학(講學)을 통해 습득한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쉽게 이해할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다. 남당의 철학적 입론은 이이(李珥), 송시열(宋時烈), 권상하(權尙夏)로 이어져 온 기호성리학(畿湖性理學)의 정통적 흐름을 계승한 것이다. 리기론에 해당하는 "이기원류도(理氣源流圖)", "이기동정도(理氣動靜圖)", "일원분수도(一原分殊圖)"(4개) 등은 기호성리학의 본체론(本體論)에 해당하는 것을 도해한 것이다. 기호성리학의 심성론을 도해한 것으로는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를 중심으로 한, "성정횡간도(性情橫看圖)", "성정수간도(性情竪看圖)", "성정총회도(性情總會圖)", "오성호주도(五性互主圖)", "오성추본도(五性推本圖)", "심성묘합도(心性妙合圖)", "심성이기도(心性二岐圖)", "중용천명도(中庸天命圖)", "인심도심도(人心道心圖)" 등이 있으며, 마지막 "위학지방도(爲學之方圖)"는 율곡과 송시열에 의해서 기초가 마련된 수양론에 대한 도식을 개작한 것이다. "경의기문록"의 철학사적 의의는 황강학파의 강학 내용을 집대성한 것으로서, 남당이 호학의 주도적인 이론가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증명해주고 있다.

왕수인(王守仁)의 『대학(大學)』관(觀) 연구(硏究) - 「대학문(大學問)」을 중심으로 - (The study in Wangshouren's viewpoint of 「Daxue」- with 「Daxuewen」 as the focus)

  • 임홍태
    • 동양고전연구
    • /
    • 제35호
    • /
    • pp.329-358
    • /
    • 2009
  • 왕수인 철학의 개념과 구조는 "대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왕수인 심학의 체계성은 "대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심 의 지 물이라는 네 가지 개념의 관계상에서 구축된 것으로, "대학문"은 사구교와 마찬가지로 "대학"의 8조목 가운데 특히 심 의 지 물이라는 네 개의 개념을 체계로 하는 일련의 공부과정이다. "대학" 공부론에 대한 왕수인의 사고를 더듬어보면, 초기의 격물 중심에서 성의에로, 다시 성의에서 치지로 그 공부방법이 바뀌어 감을 알 수 있다. 이는 그의 사상의 심화과정이자 교학사상의 변화과정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는 또한 왕수인 공부론의 내재화 과정이기도 하다. 왕수인은 초기에 주희의 격물론에 심취하여 내 마음 밖에서 이치를 구하는 방법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외향적인 공부방법은 이후 용장오도를 통해 '심즉리'를 주창하면서 점차 내향적인 방법으로 전환하기에 이른다. 왕수인은 "대학문"에서 "대학"의 정심 성의 치지 격물에 대한 해석을 통해 심 의 지 물을 일물일물一物로, 정 성 치 격을 일사一事로 파악하고 있다. 이는 이전의 격물 중심의 공부에서 성의 중심의 공부로, 다시 성의 중심의 공부에서 치지 중심의 공부로의 변화과정을 총괄하여 모든 공부의 합일을 주장하기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대학문(大學問)" 이전과 "대학문(大學問)" 이후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왕수인의 대학관이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각 과정에서의 공부의 중점은 어디에 있으며, 이는 왕수인사상의 변화과정 가운데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왕수인의 "대학"관에 대한 전반적인 조명이 가능할 것이다.

'유(游)'의 원리로 구성되는 화의(畵意)의 구조 연구 서설 - 『도화견문지(圖畵見聞誌)』, 『임천고치(林泉高致)』를 중심으로 -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tended to 'you(游)': case on the 『Dohwaguenmungi』 and 『Limchungochi』)

  • 손보미
    • 동양고전연구
    • /
    • 제41호
    • /
    • pp.445-476
    • /
    • 2010
  • 이 글은 북송대(北宋代) 문인화(文人畵) 이론을 밝힌 "도화견문지(圖畵見聞誌)"와 "임천고치(林泉高致)"에서 화의(畵意)의 구조와 구성 원리를 분석하여, 예술적 독창성이 산출되는 구조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화의(畵意)의 구조와 구성 원리를 찾기 위하여 주요개념을 분석하고 의미를 관련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지식인 화가가 화의(畵意)를 구성하는 것은 앎을 구성하는 것에 해당하였으며, "도화견문지"의 경우 유심(游心)의 '유(游)', "임천고치"의 경우 포유어간(飽游?看)의 '유(游)'가 화의(畵意)[앎]를 구성하는 원리로 기능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가의 마음이 '유(游)'의 원리로 구성하는 화의(畵意)는 "도화견문지"의 경우 물(物)에서 관찰과 궁리(窮理)로 정사(情思)를 구성하는 구조이고, "임천고치"의 경우 물(物)에서 흥(興)을 타고 입의(立意)하여 의사(意思)를 구성하는 구조로, 마음이 구성한 정사(情思)와 의사(意思)가 화의(畵意)에 해당하였다. 그리고 "도화견문지"의 경우 관찰과 궁리(窮理)단계, "임천고치"의 경우 흥(興)을 타는 입의 단계에서 지각작용을 기초로 화가는 주체적으로 새로운 내용을 구성하고 추가하여 화의(畵意)를 구성한다. 또한 화의(畵意)가 심미적 개별성과 예술적 독창성을 담보하게 하는 동인(動因)은 정(精)으로, 화가의 역량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면, "도화견문지"에서 정(精)은 기운생동(氣韻生動)의 경계를 얻는 역량을 의미하고, "임천고치"에서 정(精)은 사리(事理)를 분별하고 선택하는 역량을 의미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두 화론의 창작원리는 회화예술 자체의 논리와 앎을 탐구하는 방향에 근거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송학(宋學)에서 주자학(朱子學)으로 이어지는 성리학(性理學)이 경전과 성인의 말씀을 모범으로 삼아 그것을 반복하는 앎의 방향을 추구한 것과는 분명한 차이를 가진다. 이글은 北宋의 지식인 화가들이 화의(畵意)를 구성하는 '유(游)'의 원리는 세계를 인식하는 한 가지 원리로 기능하였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논의한 연구로서 의의를 가지며 이어지는 연구의 토대로 삼고자 한다.

종교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복식미의 연구 - 불교.도교.유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ast Asian Costume Beauty, Affected by Religion - Focusing on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

  • 서봉하;김민자
    • 복식
    • /
    • 제58권2호
    • /
    • pp.93-106
    • /
    • 2008
  • Asia Folk Costumes are certainly different from the Western Costumes. This distinction is based upon the effect of environment, technology, and social structure, and especially, which was generated by religion, ideology, and philosophy. The ideas of fundamental ground of this eastern features are religions such as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The religion of the East has determined the form of traditional costumes, affecting the costume up to now. This study aims at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religion on the formation of East Asia Traditional Costumes around Korea, China, and Japan and its figurative beauty. Study was carried out by chiefly referring to literatures. Eastern Aesthetics was formed by accepting aesthetic concepts, acquired from the idea of Three Religions. Especially, the ideas of non-duality(不二), emptiness(空), five aggregates(五蘊), mind control(心法), derived by Buddhism, and nature theory(自然論) and creationism(創造論) of Taoism, and abstinence theory(節制論) and decorum(禮法) and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陰陽) of confucianism have had great effect on the aesthetics of costume. The figurative features of costume, affected by three religions are described by the factors; First, non structural feature, second, the beauty of abstinence and chastity of ample silhouette, third, the feature of natural color and achromatic color, fourth, the figurative feature of costume by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and fifth, bright ornaments. The aesthetic values of the East Asia Costume are 'A Beauty of Vacancy', 'A Beauty of Concealment', 'A Beauty of Nature', and 'A Beauty of Symbolism'. As philosophy, culture, and ethnics itself, the religions of Asia have had effect on the overall culture, which is inclusive of social structure, as well as art and aesthetics, and have decided the style of cost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