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ylalanine

검색결과 823건 처리시간 0.021초

Rhodotorula glutinis의 L-Phenylalanine Ammonia-Lyase의 역반응을 이용한 L-Phenylalanine 생성 (Reverse Reaction of L-Phenylalanine Ammonia-Lyase derived from Rhodotorula glutinis for the Production of L-Phenylalanine)

  • Kang, Bong-Kyung;Park, Jin-Young;Kiomin Ch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0-83
    • /
    • 1987
  • Rhodotorula glutinis IFO 0559에서 유래하는 L-phenylalanine ammonia lyase(EC 4. 3. 1. 5)를 이용하거나, 유도된 세포자체를 이용하여 trans-cinnamic acid로부터 L-phenylalanine을 생합성할 때 극단적인 반응액이 미치는 효소 및 세포의 안정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안정제를 첨가한 60%의 glycerol은 효소의 안정화에 효과를 보였으며 trans-cinnamic acid에서 L-phenylalanine으로의 전이율은 80%까지 되었다. 이에 아울러 전이율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wavelength scanning 방법을 개발하였다.

  • PDF

Intrasporangium속 방선균의 Phenylalanine 분지대사 경로의 조절 (Regulation of Phenylalanine Specific Pathway in a Species of Intrasporangium)

  • 조원대;최용진;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8-245
    • /
    • 1988
  • 토양에서 분리 동정한 phenylalanine 생산균인 Intrasporangium속 방선균의 phenylalanine 생합성 분지경로의 대사조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chorismate mutase와 prephenate dehydratase를 부분정제한 결과 chorismate mutase는 prephenate dehydratase와 전혀 별개의 단백질로서 두 종의 isoenzyme, chorismate mutase I (CM I)과 chorismate mutase II (CMII)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CMI은 최종대사산물인 L-phenylalanine, L-tyrosine 및 L-tryptophan에 대해 완전내성을 보였으나 CMII는 1.5mM tyrosine에 의해서 약 50% 활성 저해를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prephenate dehydratase는 0.02 mM phenylalanine 존재하에서 95% 이상의 활성 저해를 나타냈으나 이와 같은 L-phenylalanine 활성 저해효과는 positive effector인 L-tyrosine과 L-methionine에 의해 크게 감소되었다. 또한 chorismate mutase 생합성은 feedback repression을 받지 않는데 비해 prephenate dehydratase는 1mM phenylalanine 존재에 의해 약 94%의 효소합성 저해를 나타냈다. 그러나 5mM tyrosine을 동시에 첨가했을 때는 전혀 저해효과를 인식할 수 없었다. 따라서 Intrasporangium속 방선균 역시 대다수의 다른 미생물 균종과 마찬가지로 phenylalanine 분지 경로에서 prephenate dehydratase에 의해 촉매되는 두번째 반응이 가장 중요한 대사조절 단계가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MSG와 phenylalanine 처리가 흰쥐 시상하부와 대뇌피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MSG(monosodium L-glutamate) and/or Phenylalanine on the Hypothalamus and Cerebral Cortex of the Rats)

  • 김명순;이창현;김용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65-271
    • /
    • 1999
  • The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ine, monosodium L-glutamate(MSG), MSG-phenylalanine, and/or phenylalanine on TH-immunoreactivity in arcuate nucleus of hypothalamus and hind limb area of cerebral cortex in rats using the immunohistochemical method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immunoreactive neurons in hind limb area of cerebral cortex and arcuate nucleus of hypothalamus were decreased in MSG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saline treated group and also lesions in arcuate nucleus and median eminence of hypothalamus were increased with MSG treatment 2. TH-immunoreactive neurons in median eminence and arcuate nucleus were increased in phenylalanine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saline treated group and also neurons were more increased in lamina V of hind limb area of cerebral cortex with phenylalanine treatment. 3. TH-immunoreactive neurons in median eminence and arcuate nucleus were decreased in MSG-phenylalanine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phenylalanine treated group and increased compared to the MSG treated group. In lamina V of hind limb area of cerebral cortex, TH-immunoreactive neurons were more decreased in MSG-phenylalanine treated group than that of the phenylalanine treated group, and more increased than that of MSG treated group. These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immunoreactive neurons in hypothalamus and cerebral cortex were increased due to the activation of phenylalanine and decreased by suppressing activation of phenylalanine through MSG treatment.

  • PDF

L-Phenylalanine이 시호 캘러스의 Saikosaponi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Phenylalanine on the Saikosaponin Content of Bupleurum falcatum Callus)

  • 성락선
    • 생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4-358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L-phenylalanine on the saikosaponin content of callus induced from Bupleurum falcatum leaf segments. In the fresh and dry weight of callus, the addition of 2,4-D than L-phenylalanine was significantly effective. However, the L-phenylalanine treatment rather than 2,4-D was effective for high saikosaponin accumulation in the callus of Bupleurum falcatum.

  • PDF

어미쥐의 Phenylalanine 결핍(缺乏)이 새끼쥐의 성장발육(成長發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Maternal Phenylalanine Deficiency on the Growth of Their Offsprings)

  • 송경희;최혜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3호
    • /
    • pp.129-135
    • /
    • 1981
  • 체중(體重)이 $200{\sim}250g$되는 Sprague Dawley 암컷쥐 10마리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임신말기(姙娠末期)(third trimester)부터 분만후(分娩後) 11일까지 저(低) phenylalanine식이(食餌)(low phenylalanine diet)를 섭취(攝取)시켜서 새끼쥐의 체중증가(體重增加) 및 혈장(血裝)과 뇌조직(腦組織)의 phenylalanine과 tyrosine농도(濃度)를 측정(測定)하였다. 새끼쥐의 체중증가(體重增加)는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실험군(實驗群)은 현저히 감소(減少)하였으며, 3일째부터는 두 군(群)사이에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p<0.05)를 나타내었다. 뇌(腦)무게의 증가(增加)는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실험군(實驗群)은 약간 증가(增加)되었으며, 실험(實驗) 전기간(全期間) 동안 매우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p <0. 01)를 나타내었다. 혈장중(血漿中)의 phenylalanine농도(濃度)는 대조군(對照群)이 실험군(實驗群)에 비해 약간 높았고, 두 군(群) 모두 점차 감소(滅少)하다가 증가(增加)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일째에만 유의적(有意約)인 차 (P<0.05)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혈장중(血漿中)의 phenylalanine농도(濃度)는 식이(食餌)의 phenylalanine양과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없었다. 혈장중(血漿中)의 tyrosine농도(濃度)는 실험군(實驗郡)이 점차로 감소(減少)한 반면 대조군(對照群)은 점차로 증가(增加)했고, 5, 9, 11일에는 유의적(有意的)인 차(差)(P<0.05)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혈장중(血漿中)의 tyrosine농도(濃度)는 식이(食餌)중의 phenylalanine양과 positive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뇌조직(腦組織)의 phenylalanine은 두 군(群) 모두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실험군(實驗群)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약간 낮았으며, 초기(初期)에는(1, 3, 5일) 유의적(有意的)인 차(差)(p<0.05)를 보였으나 후기(後期)에는 유의적(有意的)인 차(差)가 없었다. 뇌조직(腦組織)의 tyrosine은 두 군(群) 모두 증가(增加)하다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실험군(實驗群)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약간 낮았고 2, 9, 11일에는 유의적(有意的)인 차(差)(p<0.05)가 있었다. 본(本) 연구(硏究)를 통하여 임신기(姙娠期)와 수유시(授乳時)의 어미쥐의 정상적(正常的)인 phenylalanine섭취(攝取)는 새끼쥐의 정상적(正常的)인 성장(成長)과 생존(生存)에 필수론(必須論)임을 알 수 있으며, 어미쥐의 endogenous phenylalanine에 의해서 보상(補償)되지 않았다.

  • PDF

Escherichia coli K-12 대사조절 변이주에 의한 L-페닐알라닌 생산 (L-Phenylalanine Production by Regulatory Mutants of Excherichia coli K-12)

  • 이새배;박청;원찬희;최덕호;임번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4-179
    • /
    • 1990
  • L-Phenylalanine을 대량생산하는 균주를 얻기 위하여 Escherichia coli K-12로부터 여러대사조절 변이주를 분리하였다. MWEC 83은 L-phenylalanine을 7.4 g/l 생산하는 tyrosine, tryptophan 이중 영양요구성 변이주이다. Tyrosine과 tryptop phan의 첨가없이 L-phenylalanine을 생산하기 위하여 MWEC 83으로부터 복기변이주 MWEC 101을 분리하였다. 또한 MWEC 101 균주로부터 여러 analog와 valine 내성주를 분리하였다. MWEC 101-5는 포도당 15%로 배양 54시간에 17.9 g/l의 L-phenylalanine을 생산하는 최고 우량균주이다. MWEC 101-5의 chorismate mutase와 prephenate dehydratase 효소환성은, 효소반응 혼합액 속에 2mM phenylalanine에 대하여 효소활성이 저해되지 않았다.

  • PDF

옥수수 깜부기균에 의한 페닐알라닌의 대사적 분해 (Metabolic Fate of Phenylalanine in the Corn Smut Fungus Ustilago maydis)

  • 현민우;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9-253
    • /
    • 2011
  • Ustilago maydis(옥수수깜부기균)에 있어서 동포자 melanin의 구성성분으로 catecol 계 알려진바 이 물질의 전구체인 benzoic acid의 생성 여부와 그 유래 원천을 추적하고자 phenylalanine의 분해 과정을 조사하였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표지된 L-$^{14}C$-phenylalanine 및 $^{14}C$-trans-cinnamic acid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균체와 배양액을 대상으로 대사산물을 추적 조사한 결과 trans-cinnamic acid, benzoic acid, 4-hydroxybenzoic acid와 hydroxybenzoic acid derivatives 추정되는 물질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L-$^{14}C$-phenylalanine을 대사하여 매우 천천히 공기 중으로 $^{14}CO_2$를 방출함을 확인하여 phenylalanine을 완전히 분해 할 수 있음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옥수수깜부기균이 benzoic acid를 생성하고 그 유래는 phenylalanine의 분해에서 만들어지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Fungi, 이스트, 그리고 streptomyces에서 L-phenylalanine ammonia-lyase의 활성도 비교 (L-phenylalanine ammonia-lyase activity of fungi, yeasts and streptomyces)

  • 장지영;구양모;김공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0-277
    • /
    • 1988
  •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soil (150 strains), fungi (39 strains), yeasts (9 strains) and Streptomyces species (39 strains) were assayed for L-phenylalanine ammonia-lyase(PAL) activity. 17 strains of fungi and 46 strains of soil isolates were proved to produce PAL, Aspergillus panamensis, Penicillium varioti and 11 soil isolates showed comparatively large PAL activity. When PAL activity was assayed with cell-free extracts of these 13 strains and 7 strains of Rhodotorula and Rhodosporidium geni, Rhodosporidium toruloides (IFO 0559) showed the highest PAL activity with 0.333 units per g of the wet cell weight.

  • PDF

미생물발효에 의한 L-Phenylalanin생산에 미치는 배지성분의 영향 (Effects of Medium Components on Microbial Production of L-Phenyralsnine)

  • 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6권3호
    • /
    • pp.321-325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매생물발효에 의한 L-phenylalanine생산에 미치는 배지조성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탄소원의 선택은 L-phenylalanine생산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았다. 자당, 포도당, 과당 혹은 그 혼합물을 탄소원으로 사용할때에 비해 당밀을 사용하는 것이 L-phenylalapine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주었다. 최소배시의 사용시 미량의 염류들이 요구됨을 확인하였으나, 과량으로 첨가하면 더이상의 효고는 없었다. 또한 세포의 증식과 아미노산의 생산에 있어 적정량의 biotin과 thiamine이 필요함도 알I 수 있었다. Corynehacterium 균주외에 L.phenylalanine생산주로 알려진 조절기작을 상실한 영양요구성 변이주인 Brev-ihacterium lactofermenticum과 Arthrohacter citreus의 생산능을 조사해본 결과, Corynehacterium에 비해 생산성이 낮았으며 역시 영양요구 성질을 잃어버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Fungal and Plant Phenylalanine Ammonia-lyase

  • Hyun, Min-Woo;Yun, Yeo-Hong;Kim, Jun-Young;Kim, Seong-Hwan
    • Mycobiology
    • /
    • 제39권4호
    • /
    • pp.257-265
    • /
    • 2011
  • L-Phenylalanine is one of the essential amino acids that cannot be synthesized in mammals in adequate amounts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protein synthesis. Fungi and plants are able to synthesize phenylalanine via the shikimic acid pathway. L-Phenylalanine, derived from the shikimic acid pathway, is used directly for protein synthesis in plants or metabolized through the phenylpropanoid pathway. This phenylpropanoid metabolism leads to the biosynthesis of a wide array of phenylpropanoid secondary products. The first step in this metabolic sequence involves the action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The discovery of PAL enzyme in fungi and the detection of $^{14}CO_2$ production from $^{14}C$-ring-labeled phenylalanine and cinnamic acid demonstrated that certain fungi can degrade phenylalanine by a pathway involving an initial deamination to cinnamic acid, as happens in plants. In this review, we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PAL and a recent update on the presence of PAL genes in fun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