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logy change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물계절의 변화와 공간적 분포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Phe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Using MODIS Images)

  • 김남신;이희천;차진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9-69
    • /
    • 2013
  • Global warming also has effects on the phenology. The limitation of phenology study is an acquisition of phenology data. Satellite images analysis can make up limitation of monitering data.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henology changes using MODIS images. Research data collected images of 16 day intervals of 11 years from year 2001 to 2010. The data analyzed 228 images of 11 years. It can figure out changes of phenology by analyzing enhanced vegetation index of MODIS image. We made a comparison between changes of phenology and flowering of cherry blossoms. As a results, Startup of season spatially was getting late from southern area to north area. Startup of Phenology was foreshortened 13 days during 11 years, and change ratios of cherry blooming was getting more faster from 0.18 dat to 0.22 day per year during that same period.

한국산(韓國産) 산공재(散孔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비교연구(比較硏究)(II) -Habit과 Phenology에 따른 특성(特性)- (Comparative Anatomy of Diffuse-Porous Woods Grown in Korea(II) -Characteristics by Habit and Phenology-)

  • 정연집;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1호
    • /
    • pp.1-10
    • /
    • 1996
  • The frequency distribution diagrams of Korean diffuse-porous woods, 36 families, 75 genera, 145 species, 215 specimens in relation to habit and phenology were analyzed. As the habit character changes from shrub to tree, such quantitative features as vessel frequency, percentage of solitary vessels, length/diameter(L/D) ratio of vessel element decreased but tangential vessel diameter, fiber length/vessel element length(F/V) ratio increased. Qualitative features such as helical vessel wall thickening, diffuse distribution of longitudinal parenchyma, heterogeneous ray composition decreased, while alternate intervessel pits, libriform wood fiber, simple perforations increase. As the phenology character changes from evergreen to deciduous species, such quantitative features as percentage of solitary vessels, vessel element length and L/D ratio decreased but tangential vessel diameter, F/V ratio increased. Diffuse distribution of longitudinal parenchyma, heterogeneous ray composition, and crystals in qualitative features decreased, while alternate intervessel pits, libriform wood fiber, simple perforation of vessel element, ray width and ray height increased.

  • PDF

무인카메라 기반 산악지역 식물계절 및 적설 탐지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Plant Phenology and Snow Cover Detection Technique in Mountains using Internet Protocol Camera System)

  • 장근창;김재철;천정화;장석일;안치현;김봉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8-329
    • /
    • 2022
  • 본 연구를 통해 설계된 테스트베드 지역의 식물계절 관측과 적설 탐지는 반복 이미지 학습 및 정량적 RGB 분석을 통해 정확도 높은 산림 식물계절 및 적설 관측 기반을 마련하였다. 무인카메라 기반 식물계절 및 적설 탐지 기술 개발은 복잡한 산악지형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다양한 고도의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산림환경 연구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는 계기가 되었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주요 산악지역의 식물계절 변화 탐지 연구는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개화 및 개엽 예측 정보의 검증과 산림휴양쾌적지수 고도화 등에 활용 가능하며, 향후 농림위성의 NDVI 등 영상 이미지의 검⋅보정용 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무인카메라 활용 기술은 산림 식물계절 및 적설 탐지뿐만 아니라 산림재해 감시 및 산림관리 등 다양한 산림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ison of the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ody species in 2007 and 2018 at Daegu University Forest

  • Lee, Su-Ho;Park, Yeong Dae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3호
    • /
    • pp.529-538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plant phenology of 12 woody species in Daegu University Forest, Gyeongsan-si, Gyeongsanbuk-do in 2007 and 2018. The Hobo was installed at a height of 1.2 meters to measure the microclimate such as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o identify its effects on the changes in plant phenology. The number of trees surveyed were 42 individuals that included 12 species in 9 families, all of which are deciduous broad-leaved trees. The trends in temperature change in 2018 were similar to that in 2007, except for the temperatures in the warmest and coldest month. Compared to 2007,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warmest month in 2018 was $2.5^{\circ}C$ higher, and the coldest month was $3.3^{\circ}C$ lower. The lowest temperature from February to April in 2018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blooming dates of the trees (r = 0.692) in 2018, and the highest temperature showed the lowest correlation (r = 0.392). The blooming date by spec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The blooming date of 8 species (75%), including Prunus padus, was earlier by 1 to 16 days, while 4 species, such as Prunus armeniaca var. ansu, was later by 1 to 7 days in 2018 than that in 2007. However, the flowering dur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lant phenology.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long-term monitoring of plant phenology in the future, and follow-up studies on other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siological factors are needed.

주왕산국립공원 식물종의 생물계절성 (The Plants for Phenology of the Mt. JuWang National Park)

  • 강신구;김병도;신현탁;박기환;이명훈;윤정원;성정원;김기송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4호
    • /
    • pp.247-25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phenology monitoring of forest plant species in Mt. JuWang National Park, thereby establish long-term predic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species susceptible to climate change, and utilize the result as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conservation of plant genetic resource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ir growth environment. Global Positioning System coordinates were marked on each indicator species and a specific number ticket was provided to each plant. Changes in their blooming time, time of blossoms falling, time of leaves bursting into life, and time of leaves turning, and time of leaves falling were recorded. Investigation was made once per week from April 10 in 2010 to November 30 in 2011 except for the time period between July and August when investigation was made biweekly. The investigated plants concerned 12 kinds-nine species of trees and three kinds of herb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enology monitoring of Mt. JuWang National Park, their time of leaves bursting into life, time of leaves turning, and time of leaves falling were largely earlier in 2011 than in 2010.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it is due to the factor of climate change. Long-term collection of climate data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plant phenology are considered necessary in order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climate change and seasonal change patterns of plants.

벚나무의 계절현상과 이를 이용한 지역축제와의 관계 - 창원시 진해 군항제 사례 - (Relationship with the Phenology of Cherry Blossoms and Associated Festival : Case of Changwon Jinhae Gunhangje)

  • 도윤호;김성보;주기재;최기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6-453
    • /
    • 2013
  • 식물 계절현상을 이용한 축제는 생태계서비스의 한 형태로서 생태계와 인간이 문화적 요소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예이다. 봄철 식물의 계절현상을 이용한 대표적인 축제는 창원시 진해 군항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87년부터 2013년까지의 벚나무의 계절학적 자료와 군항제 개최시기 및 방문자수를 조사하여 식물계절학과 지역축제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행사기간 중 기상조건 (평균기온, 최저 최고기온, 강수량, 강수일수)과 행사시기특성(년도, 휴일수-토, 일요일 수, 행사기간일수, 행사시작일-개화일 차이)을 파악하여 군항제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시계열분석 결과 지난 26년 동안 벚나무의 발아일과 개화일의 주기성을 보이지 않거나 나타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방문객의 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는 기온, 일자(day), 강수요인이 추출되었다. 군항제기간의 기온이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벚나무의 개화시기와 행사기간이 불일치하더라도 방문객 수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확실성이 떨어지는 개화시기를 맞춰 축제기간을 설정하기 보다는 행사기간을 고정하고 일부 유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행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 것이 군항제의 성공적인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잣나무림(林)에서 임목(林木) 생장(生長) 모듈들의 계절적(季節的) 생육반응(生育反應) (Growth Phenology of various Tree Modules in Pinus koraiensis S. et Z. Plantation)

  • 신준환;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431-434
    • /
    • 1990
  • 잣나무의 계절적학(季節的學) 생장과정(生長過程)을 알아보기 위하여, 15년생(年生) 잣나무 고립목(孤立木)의 눈(芽), 신초(新梢), 침엽(針葉)의 생장(生長) 패턴을 조사(調査)하였고, 간벌(間伐)이나 지타(枝打)를 실시하지 않은 28년생(年生) 잣나무림의 낙엽량(落葉量)과 세근량(細根量)의 계절별(季節別)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신초(新梢)는 4월(月) 12일(日) 부터 생장(生長)을 시작하여 6월(月) 7일(日)에 생장(生長)을 정지(停止)하였는데 이 때가 눈이 형성(形成)되는 시기(時期)이다. 신엽(新葉)은 5월(月) 10일(日) 부터 생장(生長)을 시작(始作)하여 7월(月) 19(日)에 생장(生長)을 정지(停止)하였는데 이 때는 눈이 신장(伸張)되는 시기(時期)였다. 낙엽시기(落葉時期)는 대부분 10월중(月中)이었으며 7월(月)과 8월(月)에도 폭풍우에 의하여 일부 낙엽(落葉)이 되었다. 세근(細根)의 생장(生長)은 가을에 대부분(大部分) 이루어 졌으며(1,004 kg/ha), 세근(細根)의 고사(枯死)는 겨울(583 kg/ha)과 봄(1,331 kg/ha)에 대부분(大部分) 발생(發生)하였다.

  • PDF

Phenocam을 활용한 국내 습지 및 산림생태계 대표 수종의 계절적 변화 분석 (Analysis of Phenological Changes by Phenocams on Some Major Species Distributed in Wetland and Forest Ecosystems in Korea)

  • 홍민기;이효혜미;박정수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226-236
    • /
    • 2023
  • 기후변화가 심화됨에 따라 식물계절연구의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영상촬영장치 (피노캠, Phenocam)을 활용한 연구방법이 급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생태원에서 운영하는 피노캠을 활용하여 국내 주요 생태계 유형에 대한 식물계절 변화의 경향을 확인하고 기후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식물계절의 변화 양상은 지역 및 수종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곰솔 및 소나무림은 전체 생장 기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주로 겨울철 기온과 강수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한라산 구상나무는 8월 강수량이 많을수록 생장종료일이 빨라졌으며 최근 발생하는 구상나무 고사 현상과의 연관성 분석이 추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분석 결과에서 더 나아가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측치 문제 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다양한 생태계 유형을 반영하기 위해 피노캠 연구와 위성 관측을 결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Pre-dispersal Seed Predation by a Granivorous Bird, the Masked Grosbeak (Eophona personata), in Two Bird-dispersed Ulmaceae Species

  • Yoshikawa, Tetsuro;Kikuzawa, Kihachir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3호
    • /
    • pp.137-143
    • /
    • 2009
  • Pre-dispersal seed predation by a granivorous bird, the masked grosbeak (Eophona personata, Fringillidae), was investigated in two bird-dispersed trees, Celtis sinensis and Aphananthe aspera (Ulmacea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1) measure direct damage of predation by grosbeaks on plant crops, 2) reveal the temporal pattern of predation within each tree species and its causal factors, and 3) test whether foraging grosbeaks hinder foraging of frugivorous birds, thereby indirectly impacting the reproduction of both tree species. A substantial amount of fruit and seed crop was consumed by grosbeaks (24.3% in Celtis; 55.5% in Aphananthe), and only 17.7% (Celtis) and 16.7% (Aphananthe) were removed by frugivorous birds. At the study site, the grosbeak population size fluctuated greatly during the fruiting seasons of both plant species. As for Celtis, predated seed density also fluctuated temporally, and the local population size of grosbeaks was responsible for predated seed density. In Aphananthe, predation was not fully explained by grosbeak populations or plant phenology, but its peak coincided with that of grosbeak pop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dispersal seed predation by granivorous birds can have large negative impacts on the bird-dispersed plants. Changes in local population size of granivorous birds can influence predatation and can affect reproductive success of the bird-dispersed plants available to the birds.

MODIS 시계열 자료(2001~2011) 및 Timesat 알고리즘에 기초한 남한 지역 식물계절 분석 (A Phenology Modelling Using MODIS Time Series Data in South Korea)

  • 김남신;조용찬;오승환;권혜진;김경순
    • 생태와환경
    • /
    • 제47권3호
    • /
    • pp.186-193
    • /
    • 2014
  • 본 연구는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광역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식물계절학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물계절학적 특징 분석은 현장 관찰 자료의 분석을 위한 전반적인 식물계절 경향성 및 변동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현장 관찰 값과 광역 식물계절 관측 값의 연결을 통하여 광역 수준에서 보다 정밀도 높은 식물 계절현상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의 기반이 된 MODIS EVI 자료는 Timesat Algorithms의 double logistic function으로 평활화시켜 분석하였다. 제주${\rightarrow}$남해안${\rightarrow}$지리산${\rightarrow}$소백산${\rightarrow}$설악산의 위도 분포에 따라 식물계절 시작일은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11년간 주요 산림 지역에서의 식물 계절 시작은 해마다 시작일에 다르게 나타나는 연변동의 특징을 보였다. 변동 자료를 고차다항식으로 변형한 결과, 제주도는 연간 0.38일, 소백산지역은 0.174일 계절 시작이 늦어지고, 남해안은 0.32일, 지리산은 0.239일, 설악산 지역은 0.119일 개엽일이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 식물계절 시작 시기의 특징을 공간적으로 살펴보면, 주요 산림 지역은 늦어지고, 분지나 산록의 남사면지역에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제주도의 남서해안 및 북동해안 사면지역, 동남해안 지역이 빠른 경향을 보였다. 행정구역별 식물계절 시작 시기를 분석한 결과, 2001년에는 서울과 경기도, 동해안, 남해안, 마산, 창원, 밀양, 대구, 제주도를 중심으로 빠르게 시작되었다. 이는 서울, 경기도, 마산, 창원, 밀양, 대구 등의 도시지역은 도시화에 따른 기온상승의 영향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경향은 2005, 2010년에도 같은 경향으로 보이고 있어 도시화가 식물계절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간적 규모인 10년 이내에서는 기후변동에 따른 식물계절 현상의 변이성을 잘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식물계절 모니터링 기법은 30년 이상의 보다 장기적인 자료를 축적을 통하여 기후변화 양상에 따른 생물 계절 현상 변화와 해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