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lic acid

검색결과 1,589건 처리시간 0.024초

토끼풀(Trifolium repens) 추출액이 잔디(Zoysia japonica)의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알레로파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Extracts of Trifolium repens on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Zoysia japonica)

  • 이지훈;김인택;이호준;김용옥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25-130
    • /
    • 2001
  • 본 연구는 토끼풀 추출액이 잔디의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allelopathy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토끼풀을 잎, 줄기, 뿌리, 꽃으로 나누어 추출한 후 실험한 잔디종자의 상대 발아율은 꽃, 잎, 줄기, 뿌리의 순으로 억제되었고 75% 이상의 농도에서는 전 실험구에서 발아가 되지 않았다. 파종후 5일, 8일, 11일, 14일의 신장율과 생중량을 조사해본 결과 고농도로 갈수록 억제되었고 길이생장에 있어서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장을 더욱 저해하였으며 상대생중량은 뿌리, 줄기, 잎, 꽃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끼풀 추출액 중 phenolic compounds를 Gas chromatography에 의해 성분분석 한 결과 부위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caffeic acid, p-hydroxybenzoic acid, ferulic acid, gallic acid, p-coumaric acid, vanillic acid, trans-cinnamic acid, 2,5-dihydroxybenzoic acid, syringic acid, 2-hydroxycinnamic acid, benzoic acid, salicylic acid, phloroglucinol, phenylacetic acid 등 14종류의 성분을 확인하였고, 이들 중 phloroglucinol, vanillic acid, 2-hydroxycinnamic acid, syringic acid를 제외한 10종류를 공통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동정된 14종류의 phenolic compounds에 의한 발아와 생장실험 결과 전체적으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고농도로 갈수록 심화되었고 benzoic acid, salicylic acid, trans -cinnamic acid에서 매우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미강 페놀산 농축물의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Acid Concentrates of Rice Bran)

  • 정은희;황인경;하태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93-59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미강으로부터 생리활성이 있는 페놀산물질을 얻기 위해 다양한 추출법을 시도하였고, 얻어진 미강 페놀산 농축물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미강 추출물 중 알칼리 가수분해를 시행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RBE-II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페놀산 성분의 농축 및 정제를 위해 Sep-pak $C_{18}$ Vac cartridge를 통과시켜 미강 페놀산 농축물(F1-RBE-II)을 얻었다. HPLC 분석을 통해 얻어진 페놀산 성분 중 ferulic acid가 가장 많았고, p-coumaric acid, sinapic acid, vanillic acid, 그리고 syringic acid가 존재하였으며, 그 구성성분이 주로 hydroxycinnamic acid 계열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미강 페놀산 농축물(F1-RBEII)는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beta}$-CLMS을 이용한 지질산화 유도반응에서도 우수한 peroxy radical 저해능을 발휘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BHA의 활성과 비교했을 때 높은 과산화 지질억제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강 페놀산 농축물의 성분 및 강한 항산화 능력이 확인됨으로천연 항산화제 및 지방 산화 방지제로 개발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 김성란;안지윤;이현유;하태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30-93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오대, 남평, 추청, 일미 4품종으로부터 각각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의 백미와 미강을 제조하고 품종과 도정도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총 폴리페놀과 페놀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현미의 성분 중 지방과 회분 함량이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변화가 크지 않았다. 미강의 지방과 회분 함량은 품종에 따른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정도에 따른 차이는 적었다.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쌀가루의 호화개시온도가 낮아지고 피크점도(P)와 $95^{\circ}C$ 15분간 유지 후 점도(H)가 증가하였으나 반면 냉각점도, 최종점도, setback 등은 도정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기보다는 품종에 따른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93.9-88.8 mg catechin eq/100 g이고 도정한 백미 중에는 30.3-71.9 mg catechin eq/100g 범위였으며, 미강에는 310.0-541.6 mg catechin eq/100g이었다.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 p-coumaric acid가 주요 성분이었으며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27.9 mg%였으나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고 ferulic acid 조성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 중에서는 추청과 일미에서 도정으로 인한 phenolic acid 함량 감소가 컸다. 미강의 경우 ferulic acid는 157.8-240.2 mg%, p-coumaric acid는 31.8-90.4 mg% 범위로 나타났고 현미와 백미와는 달리 sinapinic acid, benzoic acid, m-hydroxybenzoic acid의 함량도 높았다.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enzoic Acid,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in Seeds of Eriobotrya japonica and their Antibacterial Effect

  • Jeong, Jun-Mo;Lee, Kyoung-In;Kim, Sun-M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89-93
    • /
    • 2014
  • We aim to develop a simple method for simultaneous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benzoic acid,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in seeds of Eriobotrya japonica. In addition, antibacterial effect of these three phenolic acids was examined. A basic method is performed on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ystem coupled to an UV-detector (230 nm) and reverse phase C-18 column ($4.6{\times}150mm$, $5{\mu}m$). Each phenolic acid was confirmed via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S)/MS system under the multiple-reaction monitoring with negative-ion electrospray ionization (ESI(-)) mode. It is demonstrated that the method was could be applied to samples for an analytical study of the phenolic acids. On the other hand, three phenolic acids in seeds of E. japonica exhibited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several pathogenic bacteria. Of these, benzoic acid was found to have stronger antibacterial effect.

보리쌀중의 Phenol 화합물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n Milled Barley Grains on the Growth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정기택;김욱한;송형익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8-174
    • /
    • 1986
  • 보리쌀중의 phenol 화합물 을 분리.확인하고 그 phen이 화합물의 추출액과 각 phenol 화합물이 Saccharomyces cerevlszae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LC로 분석한 결과, 보리쌀 중에는 cinnamic, protoca techuic, ferullic, sinapic. vanillic, syringic, gallic acid의 7 종이 분리.학인되었으며 그 중에서 sinapic, ferulic, cinnamic, prot toca techuic acid가 많이 존재 하는 편이였고 vanillic, syringic, gallic acid가 적게 존재하는 편이었다. Phenol 화합물의 추출액은 total phenol함량으로 100 ppm이상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생육을 24시간 까지는 억제했으나 48시간 이후에는 억제하지 않았다. 분리.확인된 각 phen이 화합물 중에서 cinnamic, ferulic, vanillic acid는 효모의 생육을 전반적으로 억제했으며 그 중에서 cinnamic acid의 억제효과가 가장 컸다. Syringic acid는 생육초기에만 억제했으며 sinapic acid와 protocatechuic acid는 저농도에서 다소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gallic acid는 생육에 별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콩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페놀물질획분의 성분분석과 항산화 작용 특성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Phenolic Fraction Isolated from Soybean Fermented Food)

  • 이정수;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3-389
    • /
    • 1997
  • Doenjang(fermented soybean paste) was prepared by the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soaking, cooking, first fermentation(3 days at 30$\pm$2$^{\circ}C$) for the preparation of meju(soybean koji) after inoclulation of Aspergillus oryzae, and further fermentation (60 days at 30$\pm$2$^{\circ}C$) for the ripening after addition of salt 13% to meju. the crude phenolics extracted from defatted soybean and doenjang were fractionated onto the neutral phenolics(isofavonoids) and acidic phenolics(phenolic acids), respectively.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phenolic fractions were determined. The neutral phenolic fractions contained genistin, genistein and daidzein; on the other hand, acidic phenolic fractions had syringic acid and seven other components. The content of genistin in doenjang dramatically de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whereas the content of genistein rather increased. In addition, the content of syringic acid of acidic phenolic fractions wer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ese changes in individual phenolic components affecte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neutral phenolics or acidic phenolics.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were evaluated during soybean fermentation. The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eutral phenolic fractions and acidic phenolic fractions on linoleic acid autoxidation were also investigated.

  • PDF

홍삼 페놀성 성분의 GC/MS분석 (Analysis of Phenolic Components in Korean Red Ginseng by GC/MS)

  • 위재준;허정남;김만욱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84-290
    • /
    • 1996
  • To Identify phenolic components known to exist in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by GC/MS, three derivatization methods were employed for their analyses. First, phenolic components in ether soluble acidic fraction prepared from Korean red ginseng powder were taimethylsilylated. Secondly, phenolic acids in the same fraction were esterified with diazomethane followed by trlmethylsilylation. Thirdly, acidic components in ginseng powder were extracted and esterified concurrently by methanolic sulfuric acid, followed by fractionation of phenolic components with Silica Sep-Paka and trimethylsilylatlon. All phenolic components found in ginseng except gen tisic acid were identified by retention times and mass spectrums of standards. Besides, 5 phenolic components including salicyl alcohol and 1-H-indole-2-carboxylic acid were first identified from Korea an red ginseng by GC/MS.

  • PDF

쌀(백미, 현미) 시료로부터 고해상도 질량 분석 기반의 페놀산 유도체 동정 및 정량 평가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henolic Acid Derivatives from Three Korean White and Brown Rice Samples Based on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 라혜민;권령하;김주형;김소아;조수묵;김헌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06-514
    • /
    • 2023
  • Reported positive ion fragmentation of phenolic acid derivatives in rice (Oryza sativa L.)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literature. A total of eight phenolic acids (4 derivatives of ferulic acid, 3 derivatives of sinapic acid and p-coumaric acid)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rice (raw and steamed) using UPLC-DAD-QToF/MS. Results revealed that 6-O-feruloylsurose was the major component with 3'-O-sinapoylsucorse being tentatively identified in Oryza sativa L. for the first time as a new hydroxycinnamoyl derivative in rice grains. In our study, raw brown rice had the highest phenolic acid contents with Samkwang showing higher phenolic acid content than Saeilmi and Sindongjin (12.41 vs. 7.89 and 3.10 mg/100 g dry weight, respectively). Of all varieties, brown rice had higher phenolic acid contents than white rice. These contents decreased considerably when rice was steamed whereas, p-coumaric acid and ferulic acid contents were increased. Additionally, contents of rice (raw and steamed)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report for new rice varieties.

수삼의 증숙 횟수에 따른 페놀산 함량 변화와 라디칼 소거활성 (Changes of phenolic acid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inseng according to steaming times)

  • 김영찬;홍희도;노정해;조장원;이영경;임주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230-236
    • /
    • 2007
  • 본 연구는 증숙 횟수에 따른 인삼의 총페놀 화합물 함량과 페놀산 획분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시험하고, 개별 페놀산 조성과 함량을 GC로 분석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0.53-2.89%로 증숙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결합 형태에 따른 페놀산 획분의 함량은 결합형 >에스테르형>유리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세 획분의 총량 (1.03-1.41%)은 증숙횟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각 획분에서 salicylic, cinnamic, p-hydroxybenzoic, gentisic, vanillic, syingic, caffeic, ferol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gentisic acid와 ferulic acid 가 주된 페놀산으로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각 페놀산 획분은 50% 이상의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결합형태에 따른 페놀산 획분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각 획분별로 증숙 횟수에 따라 라디칼 소거활성이 차이를 보였으며, 증숙 횟수가 증가할수록 라디칼 소거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오배자(Rhus japonica Linne) Methanol 추출물의 황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Methanol Extract in Galla Rhois)

  • 김태철;이기동;윤형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7.1-112
    • /
    • 1992
  • Free-, soluble- and insoluble phenolic acids were extracted from defatted Galla Rhois. The extracts were then dissolved in equal amounts of an soybean oil, and POV (peroxide value) of the resulting substrates, portion of the soybean oil (control) and 0.02% BHT were measured by AOM (active oxygen method) test at 97.8$^{\circ}C$ for 40 hours through Rancimat method. Induction period of control, BHT, free phenolic acids, soluble phenolic acids and insoluble phenolic acids by the Rancimat method were 4.8, 10.5, 23.9 and 30.5hr. The phenolic acids separated and tentati-vely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 were catechol, gallic acid, vanillin, protocatechuic acid, syri-ngic acid, ferulic aci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