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lic acid

검색결과 1,596건 처리시간 0.04초

Phenolic acid가 Maillard 반응 모델액의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nolic Acids on Inhibition of Browning of Maillard Reaction Model Solutions)

  • 곽은정;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0-24
    • /
    • 2007
  • 된장모델로서 0.1M glucose-0.1M glutamic acid 모델을 선정하고 0.2mM $FeCl_{2}$의 존재 하에 갈변억제제인 50mM citric acid와 이의 synergist로 5종의 phenolic acids를 첨가하여 조제한 시료를 $4^{\circ}C$$30^{\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phenolic acids가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phenolic acids 첨가에 따른 갈변억제효과는$4^{\circ}C$의 저온에서보다 $30^{\circ}C$의 실온에서 저장시 pH의 변화 없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종의 phenolic acids 중에서 hydroxybenzoic acid는 갈변억제능이 가장 높아, 갈변억제능은 $30^{\circ}C$에서 4주간 저장후 phenolic acids 무첨가구보다 13%가 높았다. Caffeic acid와 protocatechuic acid와 같이 OH기가 2개 치환된 phenolic acid는 Maillard 반응의 촉매로 작용하는 철 이온과의 결합능이 높아 Maillard 반응이 보다 더 억제되어 3-DG 및 형광화합물과 같은 중간반응산물의 생성을 가장 억제하였으나, 이들 phenolic acids는 유색의 착체를 형성하여 동일계의 OH기가 0, 1개 치환된 phenolic acids보다 갈변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Hydroxybenzoic acid는 실제 된장에도 사용가능한 첨가물로서 citric acid를 갈변억제제로 사용시 이의 synergist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 효과(I) (Antioxidative Effect of Phenolic Acids in Defatted Perilla Flour on Soybean Oil)

  • 조희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0
    • /
    • 1999
  • 탈지들깨박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시판 합성항산화제인 BHA, AP, TBHQ와 비교하였다.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 추출물은 유리형, 에스터형, 불용성페놀산이 각각 213, 133.1, 89.4mg/100g으로 유리형이 가장 높았으며, 유리형 페놀산에는 6종류의 페놀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에스터형과 불용성 페놀산에는 각각 3종류와 2종류의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탈지들깨박 중의 3가지 형태의 페놀산의 항산화력은 유리형이 가장 켰고 에스터형, 불용성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유리형 페놀산 group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많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탈지들깨박 페놀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TBHQ 보다 약했으나 BHA나 AP(0.02%) 보다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삼의 유리 페놀성 분획중 phenolic acid의 순수분리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ree Phenolic Acids in Korean Ginseng)

  • 김만욱;위재준;박종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92-396
    • /
    • 1987
  • 한국백삼의 유리페놀성 분획(free phenolic acid fr.)에서 phenolic acid의 분리 정제방법을 검토하였다. 먼저 silicic acid column에 의해 소분획으로 나누고 prep TLC 및 HPLC하여 정색반응 및 Pf차에 의해 phenolic acid로 추정되는 두 개의 화합물을 순수 분리하고, 결정을 얻어 UV, IR, MS, NMR로 그 구조를 밝힌 결과 ferulic acid와 vanillic acid로 확인되었다.

  • PDF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 강윤한;박용곤;이기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2-239
    • /
    • 1996
  • 천연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는 각종 폐놀성 화합물은 니트로화 반응의 저해제로 관여하거나 항산화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각종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화합들의 농도를 $0.1mM{\sim}6mM$용액을 조제한 후, 이 액 일정량을 이용해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을 비교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율에서 phenolic acid류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일부는 pH 1.2, 3.0에서 flavonoids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에서 phenolic acid류 가운데 hydroxybenzoic acids는 gallic acid> gentisic acid> syringic acid> protocatechuic acid> salicylic acid> vanillic acid> benBoic acid>p-hydroxy benzoic acid 순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cinnarnic acids가운데 전자공여능의 크기는 hydrocaffe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p-coumaric acid>trans-cinnam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flavonoids 가운데에서는 (+)catechin> rutin> quercetin>naringin=hesperidin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tannic acid를 포함한 기타 phenol성 화합물에 없어서도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 PDF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Terminalia chebula Rets Extracts)

  • 장성준;이기동;김정숙;윤형식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0권
    • /
    • pp.11-17
    • /
    • 1992
  • 탈지 가자박으로 부터 free, soluble 및 insoluble bound phenolic acids를 추출하여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항산화효과률 0.02%(w/w)의 BHA, BHT의 항산화 효과와 비교하고자 각 기질과 대조구를 $60{\pm}1^{\circ}C$에서 35일간 저장하면서 매 7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 TBA가를 측갱하였다. BHA, BHT와 free, soluble 및 insoluble hound phenolic acids를 첨가한 시험구와 대조구의 과산화물가는 21일의 경우 60, 30, 14, 11, 10, 100이었다. 같은 조건하에서 추출물의 TBA가는 0.150, 0.108, 0.105, 0.073, 0.078, 0.185이었다. 이것으로 보아 phenolic acids는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분리확인된 phenolic acids는 p-coumaric acid, ferulic acid, phloroglucinol, pyrogallol, vanillic acid, caffeic acid으로 확인되었다.

  • PDF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phenolic acids와 총 폴리페놀 함량

  • 김성란;하태열;이지연;이세은;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6.1-226
    • /
    • 2003
  • 최근 쌀 소비량이 감소되고 쌀중심 식생활의 영양적 우수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쌀은 주식으로서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그동안 쌀의 영양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주로 탄수화물 급원으로서의 당질에 관한 연구와 미강을 중심으로한 식이섬유, 미강유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미곡 부산물인 미강으로부터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확인되어 그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가 기능성 소재로서 제품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 우리의 식생활에서 섭취되고 있는 백미 또는 현미상태에서의 유효성분의 분포 및 함량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영양적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유효성분 중 phenolic acid와 폴리페놀 함량을 품종 및 도정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조생종인 오대와 만생종인 남평 품종으로부터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로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도정도별 미강을 각각 제조하였다. Ferulic acid 등 쌀과 미강에 존재하는 phenolic acid 는 알칼리로 추출한 후 pH를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반복 추출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현미에 함유된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가 가장 많아 50% 내외를 차지하였으며 p-coumaric acid, benzoic acid, sinapin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오대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 mg%로서 남평 현미의 57.2 mg%보다 높았으며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백미 중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감소되었다. 미강 중에는 백미의 10배 량에 해당하는 phenolic acid가 검출되었고 benzoic acid와 m-hydroxy benzoic acid는 미강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 도정한 백미 중의 phenol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종 식물의 페놀화합물 분석과 효과 (Identification and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from Some Plants)

  • Kim, Yong-Ok;Ho-Joon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4호
    • /
    • pp.329-340
    • /
    • 1996
  • The extracts of selected plants and analyzed phenolic compounds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s of alleloKDICical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HPLC analysis of the aqueous extracts of seven species identified 15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caffeic acid. Among them, protocatechuic acid was detected at 65.87ppm and 6.84ppm, in Erigeron canadensis and Pinus rigida, respectively. And the extract of P. rigida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 on seed germination. The extract of P. rigida leaves significantly inhibited germination and radicle growth of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in direct proportion to concentration. However, germination of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was stimulated by the treated extracts at the same concentrations, but root growth was inhibited at high concentrations. Except chlorogenic acid, eleven of the twelve phenolic compounds inhibited the germination of R.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In the case of C. mimosoides var. nomame, some phenolic compounds such as chlorogenic acid, vanillic acid, protocatechuic acid, ferulic acid, gallic acid and ${\rho}-coumaric$ acid stimulated germination, while the others reduced it.

  • PDF

탈지들깨박에서 분리한 페놀화합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Deffated Perilla Seed Flour)

  • 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4
    • /
    • 1993
  • 탈지들깨박으로부터 추출한 유리페놀산, 페놀산 에스터 및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형태의 페놀화합물들의 항산화효과를 일반 시판용 합성항산화제들과 비교하였다. Chlorogenic acid를 표준물로써 비색법으로 측정한 페놀화합물들의 총함량은 0.75%였고 총페놀산중 유리페놀산, 페놀산 에스터 및 불용성 페놀산 추출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87.5, 7.5, 5.0%였다. 이차원 전개법에 의한 paper chromatography 성분분석 결과 유리페놀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대부분의 폐놀화합물이 chlorogenic acid와 일치하였고 소량의 caffeic acid와도 일치되었으나, 페놀산 에스터와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0g의 탈지들깨 종자박에서 추출된 각 형태의 페놀산 추출물들은 각각의 페놀함량 차이가 큼에도 불구하고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0.02%(w/w) 농도로 첨가된 BHT와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 PDF

Fixed -bed Adsorption of Food-Related Phenolic Acids on Charocal in Single Solute System

  • Lee, Won-Young;Park, Yong-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23-127
    • /
    • 1998
  • Fixed-bed adsorption was adapted to separate phenolic acids from diluted phenolic solution. Break-through curve was obtained by nonlinear curve fitting method, and breakpoint, saturation time, and mass transfer coeffi-cient were calculated . Break point and saturation time were reached slower with $\rho$-coumaric acid than ferulic acid .The p-coumaric acid, having small molecular weight, is suposedly traveled longer pathway in characoal than ferulic acid. Fixed-bed adsorption iwht gallic acid having more hydroxyl functional group than other phenolic acids showed break point arrival and the largest saturation time. This fact means that there was bigger electrostatic affinity between gallic acid and charcoal than between other phenolic acids and charcoal.

  • PDF

광나무 잎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of Ligustrum japonicum Leaves)

  • 조정옥;정인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13-720
    • /
    • 2006
  • 식물자원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의 이용측면에서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광나무 잎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페놀성 화합물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총 페놀성 함량은 $0.89{\sim}1.53%$, 축합형 탄닌은 $0.10{\sim}0.13%$였으며, flavonoid는 aglycone인 apigenin, luteolin과 칼럼크로마토그라피를 행하여 분획으로 분리한 후 가수분해하여 이들의 배당체를 확인하였다. 페놀산의 분획 중 유리형 페놀산 화합물에는 tyrosol, t-cinnam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hikimic acid, protocatecuic acid등이 존재하였다. 에스테르형 페놀산 화합물에는 tyrosol, t-cinnamic acid, ferulic acid, esculetin, caffeic acid, p-coumaric acid, hydroxytyrosol 등이 함유되었다. 결합형 페놀성 화합물에는 tyrosol, t-cinnamic, p-coumaric acid와 미확인 페놀성 물질들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광나무 잎은 xanthine oxidase 활성저해, LDL 산화, 혈소판 응집저해, 항균활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tyrosol, hydroxytyrosol, protocatecuic acid 등 풍부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유용한 식물자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