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llinus Linteus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35초

상황버섯 자실체의 in vitro 및 in vivo 항암활성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the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 이영경;한명주;박순영;김동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77-480
    • /
    • 2000
  • 재배상황버섯의 in vivo에서의 항암효과와 in vitro에서 암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재배상항버섯의 물추출물과 이 물추출물의 50% cold acetone 침전분획에 대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거의 없거나 아주 약하였다. 그러나, sarcoma 180을 복수에 이식하여 만든 복수암 생쥐에 대한 항암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물추출물과 acetone 침전분획 모두에서 생명연장효과와 생존율을 높였다. 또한 sarcoma 180을 생쥐의 안와에 이식하여 만든 고암암 모델 동물에서 재배 상황버섯의 물추출물분획은 고형암의 성정억제율이 약하였으나 acetone 침전분획물에서는 아주 높은 고형암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재배상황버섯의 항암효과는 암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기보다는 기존의 버섯들과 마찬가지로 생체의 면역능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항암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동결분쇄를 이용한 보리싹, 울금, 황칠, 상황버섯의 영양성분 증진 및 투과 효과 (Effect of Nutrition Permeability from Barley sprouts, Curcuma longa L., Dendropanax morbifera LEV., Phellinus linteus Using Cryogenic Grinding Technology)

  • 이일남;한예은;정호준;박하은;정주영;이진규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91-4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건조조건과 분쇄조건을 달리하거나 추출한 식물류의 영양성분 함량과 영양성분의 보존율을 비교분석하였다. 동결분쇄한 식물류는 일반분쇄 하거나 추출한 식물류에 비하여 영양성분의 보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생체막에서 영양성분의 투과도를 분석한 결과 동결분쇄한 식물류의 영양성분이 잘 투과하였다. 분쇄과정에서 열발생을 최소화하고 입도를 작게 하는 동결분쇄 기술이 식물류 원료를 우수한 식물소재로 가공할 수 있는 기술임을 확인하였다.

Dexamethasone으로 유도한 근감소 동물모델에서 상황버섯-오미자박 고상발효 열수추출물의 근감소 개선에 대한 효과 (Effect of water extract Phellinus linteus-discard Schisandra chinensis solid fermented extracts in an Animal Model of Dexamethasone-Induced Muscle Loss)

  • 황수진;김영숙;오태우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69-280
    • /
    • 2022
  • Objectives :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lid-phase fermentation extraction with Phellinus linteus of discarded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PS) and its action mechanism on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y in mice. Methods : In mice, muscle atrophy model was induced by dexamethasone (5 mg/kg, I.p) once daily for 2 weeks and with PS extract administration (100 and 300 mg/kg, p.o.) as treatment groups. The changes in body weights, grip strength, Treadmill test, muscle weights, and the expression of atrophy-related genes were measured in muscle atrophy mice. The histological changes of gastrocnemius tissues were also observed by H&E staining with measurement of myofiber size. Results : The administration of PS extract increased significantly body weights, grip strength, treadmill test and muscle weights in muscle atrophy mice. PS extract adminis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area of myofibers and inhibited structural damages of muscle and increased significantly the expression of myogenin and decreased significantly the expression of MuRF1, Atrogin1 and phosphorylation of AMPK and PGC1α in muscle tissues of muscle atrophy mice.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S extract has a improvement effects on muscle atrophy with stimulation of myogenic differentiation and inhibition of mRNA degradation that could be related with the activation of AMPK and PGC1α signaling pathways in muscle. This suggests that PS extract can apply to treat muscle atrophy in clinics.

상황버섯, 감초 복합추출물의 항산화 및 인체적용 아토피 개선 효능 연구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atopic Dermatitis Effect of Combined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and Glycyrrhiza uralensis)

  • 권오준;이아름;도국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9-56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improving effect of Phellinus linteus and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PGE) on Atopic Dermatitis. Methods :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Hydrogen peroxides scavenging activities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wer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anti-oxidant ability. Cytotoxicity of PGE in Raw 264.7 cell was evaluated by MTT assay. To evaluate the anti-atopic dermatitis effect of PGE, a total of 33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were observed trans epidermal water loss, skin moisture content, modified SCORAD index of atopic dermatitis and pruritic degree after applying the PGE for 4 weeks. Results : PGE scavenged DPPH ($IC_{50}=25ppm$) effectively, ABTS and Hydrogenperoxides scavenged similar to BHA. As for the SOD-like activity, it had lower effect than ascorbic acid, but it comparable activities in 500ppm. There was no cytotoxicity at PGE at concentrations of 10,000ppm. In clinical research about PGE o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skin condition was improved. After 4 weeks, the application of PGE increased skin moisture content from 19.43 to 31.22. Moreover, it reduced the skin temperature (from 32.5 to 31.9), skin pH (from 5.39 to 5.22), trans epidermal water loss (from 39.03 to 24.46) and pruritus score (from 6.07 to 3.87). In addition, the Modified SCORAD index decreased from 31.28 to 20.3. Conclusions : In conclusion, PGE possesses anti-oxidant and anti-atopic dermatitis activities, thus it could be potentially valuable as anti-atopic dermatitis material.

A Pilot Clinical Study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Phellinus Linteus (Sanghuang) Extract Treatment for Knee Osteoarthritis

  • Ryu, Hwa yeon;Lee, Hyun;Kang, Jae Hui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9권2호
    • /
    • pp.115-121
    • /
    • 2022
  • Backgroun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Phellinus linteus (PL) extract for the treatment of knee osteoarthritis (KOA) a pilot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Methods: There were 24 patients with KOA who enrolled in this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There were 3 groups: PL 1,000 mg/day (PL 1,000), PL 1,500 mg/day (PL 1,500), and dextrin 3,000 mg/day (placebo). Patients took capsules twice a day, 3 capsules at a time, over 8 weeks. Patients were monitored prior to treatment (Visit 1: Week 0), and followed up every 4 weeks (Visit 2: Week 4 and Visit 3: Week 8) where outcome measurements were taken. The primary outcome measure was the score from the Korean version of the Western Ontario and McMasters Universities from baseline to Week 8. The secondary outcomes were measurements from the visual analog scale, quality of life scale, erythrocyte sedimentation, and c-reactive protein. Adverse events were recorded at every visit.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the Western Ontario and McMasters Universities score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symptoms of KOA in the PL 1,500 group compared with the placebo group.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tended to decrease in the PL 1,500 group compared with the placebo group (which was within the normal range). The visual analog scale score decreased in all group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No adverse events related to PL were reported. There were no abnormal hematological or physical findings. Conclusion: This pilot clinical trial was the first step to assess the efficacy and safety of PL used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KOA.

금사상황버섯 추출물 복용이 공복혈당 및 혈중지질농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tracts from the Mushroom Keumsa Sangwhang (Phellinus linteus) on Fasting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s in Human)

  • 김용대;김남식;엄상용;김성훈;강종원;이상원;박순영;김정수;김헌;홍장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8-72
    • /
    • 2008
  •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the mushroom Keumsa sangwhang(Phellinus linteus) (KPLE) on fasting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s in human blood. In this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human intervention study, healthy volunteers were randomized to receive 3.3 g of KPLE (n=31) or placebo (n=31) per day by oral administration for 8 weeks. The cholesterol and fasting serum glucose level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fasting serum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KPLE administration (p<0.01), but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did not change. This study suggests a possibility that KPLE may be useful as a functional food for the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상황버섯균 접종 황기의 배양 중 이화학적 성분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 장연정;김은주;김소영;이윤혜;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80-68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 균사체를 황기에 배양하여 이용성 및 기능성을 증진시킨 식품 및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수분함량, pH, 산도 및 환원당을 측정함으로서 균사체 배양 황기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수분함량 및 pH는 균사체 배양기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산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히려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환원당 함량 측정결과 배양 30일차 황기가 대조구에 비해 약 2배 증가한 0.61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배양 10, 20일차는 각각 0.36, 0.42 g/100 g 으로 대조구보다 다소 증가한 함량을 나타냈다. 추출용매에 따른 균사체 배양 황기의 추출수율 결과 열수추출물이 40.18~41.99% 범위로 80% 에탄올 추출물의 28.70~33.18%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 분석결과 80%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추출물의 모든 실험구에서 배양기간이 지남에 따라 fructose 및 sucrose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필수아미노산 8종을 포함해서 총 17종이 검출되었으며 상황버섯균 배양 황기의 주요 아미노산은 arginine, alanine, aspartic acid 및 valine 으로 확인되었다.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배양기간이 지남에 따라 20일차까지 소폭 증가 한 뒤 30일차 감소하였으며, 그 중 배양 20일차가 121.47 mg%으로 배양일 중 가장 증가한 함량을 보였다. 상황버섯균 배양 황기의 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열수 추출물의 배양 30일차에서 calycosin-7-o-${\beta}$-d-glucoside은 3.30 mg/100 g, ononin은 2.85 mg/100 g으로 대조구에 비해 각각 5배, 5.1배 감소하였으며, calycosin 및 formononetin 함량은 3.91 mg/100 g, 1.38 mg/100 g으로 대조구에 비해 각각 8.7배와 7.7배 증가한 함량으로 다른 배양일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황기에 존재하는 배당체인 calycosin-7-o-${\beta}$-d-glucoside 및 ononin (Formononetin-7-O-${\beta}$-d-glucoside) 성분이 aglycon 형태로 전환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을 통한 황기의 이화학적특성 변화를 초래하여 기능성을 증대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추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천연소재로서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The Stimulatory Effect of Garnoderma lucidum and Phellinus linteus on the Antioxidant Enzyme Catalase

  • Park, Jin-Seu;Lee, Byung-Ryong;Jin, Li Hua;Kim, Choong-Kwon;Choi, Kyung-Soon;Bahn, Jae-Hoon;Lee, Kil-Soo;Kwon, Hyeok-Yil;Chang, Hyun-Woo;Baek, Nam-In;Lee, Hwang-Eunjoo;Kang, Jung-Hoon;Cho, Sung-Woo;Choi, Soo-Young
    • BMB Reports
    • /
    • 제34권2호
    • /
    • pp.144-149
    • /
    • 2001
  • Antioxidant enzymes, scavengers of the reactive oxygen intermediate (ROI), are involved in numerous defense systems in cell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hot-water extracts of two medicinally potent mushrooms (Ganoderma lucidum and Phellinus linteus) on the activity and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in vitro and in vivo. The mushroom extracts stimulated the catal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vitro, whereas the other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were unaffected by the extracts. The catalytic activity of catalase in the liver and bra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oral treatment of the mushroom extracts (2.5 g/kg) to ICR mice for 2 months. Western blot analysis of the liver and brain tissues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catalase in the mice, treated with both mushroom extrac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mice. However, the level of the SOD expression in the mice treated with the natural product extracts was unchanged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Although the mechanisms for the stimulatory effect of the catalase expression by these extracts remains uncle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gredients of the Ganoderma lucidum and Phellinus linteus extracts act as an activator of catalase, and regulate the expression of catalase at the translational or transcriptional level.

  • PDF

Phellinus linteus IY001의 자실체와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의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of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the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IY001)

  • 이준우;백성진;방광웅;김용석;한만덕;하익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24-429
    • /
    • 1999
  • 목질진흙(상황)버섯 자실체와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추출에 의한 다당류의 수율은 자실체분획이 높게 나타났다. 총 당은 균사체 분획이 높고, 단백질과 hexosamine은 자실체 분획이 균사체보다 높게 나타났다. 구성 당은 대부분 분획에서 glucose가 주를 이루면서 여러 가지 단당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아미노산의 경우 대부분 분획은 Asp, Gly, Glu를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당과 단백질의 결합력에 관여하고 있는 Ser과 Thr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당류의 분자량은 12 kD 부근에서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IR spectrum pattern은 다당류의 전형적인 peak 흡수대를 나타냈으며, ${\beta}-glucan$${\alpha}-glucan$이 혼재된 다당류인 것으로 추정되나 $890\;cm^{-1}$ 부근에서 흡수대가 나타나므로 ${\beta}-glucosidic$ 결합이 상대적으로 다량 함유된 ${\beta}-glucan$성 다당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결과들로부터 목질진흙(상황) 버섯 자실체와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추출 및 열수 추출물의 에탄올, UF처리 분획들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는 다당류로 확인되었고, 자실체와 균사체의 성분은 서로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련한 항종양 및 면역활성 등의 약리 활성 본태는 이들 다당류에 의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의 약리효과는 그들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목질진흙(상황)버섯에 대한 일반적인 인지도가 높음을 고려할 때 매우 가격이 높은 자실체보다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균일한 약리활성을 갖는 균사체 배양물의 UF처리 다당류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의 개발이 요망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미강과 솔잎, 강황 분말을 첨가한 현미에 배양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on Brown Rice added Rice Bran, Pine Needle and Tumeric Powder)

  • 박효숙;전태욱;최한석;김중만;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1-116
    • /
    • 2011
  • 본 연구는 미강과 솔잎, 강황을 첨가한 현미에 배양한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ACE 저해활성 및 혈전 용해 활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상황버섯 배양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추출물 보다 물추출물에서 더 낮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물추출물 보다 에탄올 추출물로 부터의 상황 버섯 배양물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솔잎 첨가물 처리시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pH 1.2에서 약 70%였다. 상황버섯 배양물의 Tyrosinas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 보다 물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저해율은 솔잎 첨가된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ACE 저해활성은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매우 낮은 효과가 있었다. 혈전용해활성은 미강과 솔잎 그리고 강황에서 유사하게 높았다. 특히 미강 첨가시 그 활성이 plasmin 보다 약 5%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유용 성분 분리 및 정제와 같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기능성 물질의 천연소재로써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