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taloni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LPS에 의해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에서 미역쇠 추출물의 신경염증 보호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etalonia binghamiae on neuroinflammation in LPS-stimulated microglial cells)

  • 박재현;김성훈;이선령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25-31
    • /
    • 2017
  •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미세아교세포의 과도한 활성화에 의한 신경염증반응에 미치는 미역쇠의 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PS를 처리한 BV2 세포에서 미역쇠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LPS의 처리는 신경염증반응의 지표인 NO의 생성량과 이들을 조절하는 iNOS, COX-2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미역쇠 추출물의 처리는 LPS가 유도하는 NO의 생성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하여 NO 생성량 저해와 유사한 양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미역쇠 추출물의 신경 염증반응 저해 효과가 $NF-{\kappa}B$의 활성화 조절을 통해 일어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NF-{\kappa}B$의 핵으로의 전이, $I{\kappa}B$의 인산화, $NF-{\kappa}B$ 억제제인 PDTC를 이용한 NO의 생성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미역쇠 추출물 처리에 의해 핵분획물에서의 $NF-{\kappa}B$ 발현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I{\kappa}B$의 인산화를 억제하였으며 PDTC의 처리로 NO의 생성량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로 인해 발생되는 신경염증반응에 미역쇠 추출물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해 NO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항신경염증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미역쇠 추출물이 신경염증 관련 뇌신경 질환의 제어하는데 있어서 치료효과를 가지는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First Description of Petalonia zosterifolia and Scytosiphon gracilis (Scytosiphonaceae, Phaeophyceae) from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nrDNA ITS Sequence Comparisons

  • Cho, Ga-Youn;Yang, Eun-Chan;Lee, Sang-Hee;Boo, Sung-Min
    • ALGAE
    • /
    • 제17권3호
    • /
    • pp.135-144
    • /
    • 2002
  • Scytosiphonaceae is an acetocarpalean brown algal family, that is a recent focus of synstematics and marine biodiversity. We describe Petalonia zosterifolia and Scytosiphon gracilis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P. zosterifolia occurred on the East coast, and had flat, linear and solid thalli. S. gracilis was found in Jeju, and had cylindircal to flat and hol-low thalli. However, these two species are so similar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by morphology alone. In order to determine if the nuclear DNA reveals the distinctness of both species and to know their phylogenies, the ITS region sequences were newly detrmined in 22 samples of P. zosterifolia, Scytosiphon gracilis, and other three members of the genera from Korea. We found 0.12% variation among samples of P. zosterifolia from different locations, and no variation between S. gracilis samples from diferent years, but extensive interspecific divergences (13.62-22.83%) of each species to other members in Petalonia and Scytosiphon . The ITS sequence dta consistently show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 zosterifolia and S. gracilis. This result is congruent with morphology and with the published data of plastid rbc and partial nrDNA large subunit gene sequences, and suggests that P. zosterifolia and S. gracilis might have diverged from the most recent common ancestor.

A Study on Cultivation of Petalonia fascia (Scytosiphonales, Phaeophyta) by Vegetative Regeneration

  • Lee,Kang-Hwa;Cho,Jae-Hyun;Shin,Jong-Ahm
    • ALGAE
    • /
    • 제18권4호
    • /
    • pp.333-339
    • /
    • 2003
  • To establish a cultivation method of Petalonia fascia, seeds and seedlings cultures and growth tests were performed at the Daeri aquafarm in Haeui, Shinan, Jeollanamdo, Korea. Gametes were easily released from the mature plurilocular sporangia. They developed to crustose discoidal stolons and grew to filamentous and discoidal stolons. The indoor seeding was performed by using the 100-150 ${\mu}m$long fragments of stolons on Porphyra nets and the erect thalli developed from the cuttings when the seawater temperatures were 10-15$^{\circ}C$. In the experimental cultivation in the sea, 1-2mm long plantlets were found after 15 days of cultivation; after two months thalli grew to their maximal size of 215-355 mm long blades; after three months the length of thalli began to decrease due to distal disintegration and the plant color changed to yellow and epiphytic diatoms were attached on the thalli, which deteriorated the quality of products. The cultivation of P. fascia by the regeneration of filamentous-discoidal complexes was carried out successfull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울릉도산 갈조식물 고리매과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Account on the Scytosiphonaceae (Phaeophyta) from Ullungdo Island, Korea)

  • 이욱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2호
    • /
    • pp.125-134
    • /
    • 1992
  • 울릉도 갈조식물 고리매과(Scytosiphonaceae)의 5종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Colpomenia peregrina (불레기말사촌)은 한국 미기록 식물이며 외부 형태에서는 C. sinuosa와 매우 유사하지만 전자는 복자낭을 싸고 있는 cuticle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후자와 구분되었다. Endarachne bingahmiae(미역쇠)는 북미산 식물들과 그 분류형질에서 잘 일치하지만 체장과 체폭이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Hydroclathrus clathratus(그물바구니)는 1-2개의 색소가 침적된 피층세포와 크고 불규칙하게 배열된 내피층세포를 갖는 특징을 보였다. Petalonia fascia(개미역쇠)는 1-2개의 피층세포를 가지면 2-4개의 크고 불규칙한 내피층세포를 갖는 특징을 보였다. Scytosiphonia lomentaria(고리매)는 계절에 따라 체형에서 다양성을 보이며 특히 체장, 체폭에서 차이를 보였다.

  • PDF

Molecular phylogeny of the Family Scytosiphonaceae (Phaeophyceae)

  • 조가윤;;부성민
    • ALGAE
    • /
    • 제21권2호
    • /
    • pp.175-183
    • /
    • 2006
  • Recent phylogenetic studies of scytosiphonacean brown algae show many conflicts with current classification. In order to clearly defin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family, we newly sequenced the photosystem I coding psaA gene (1488 base pairs) from 13 taxa (15 samples), of the family, and, for comparison, rbcL from four taxa. The psaA region has more informative sites (17.9%) than the rbcL (13.1%) and the number of nodes supported by over 50% bootstrap values is more in the psaA phylogeny (53 /57 nodes; 93%) than in the rbcL (47/63 nodes; 74.6%). The psaA phylogenies are basically congruent with the rbcL trees, recognizing two major groups in the monophyletic Scytosiphonaceae. The first group included Myelophycus, Petalonia, Scytosiphon, and elongate sack-shaped species of Colpomenia, primarily cold temperate elements with unilocular zoidangia on sporophytes. The second group, although not resolved, consisted of Hydroclathrus, Chnoospora, Rosenvingea, and ball-shaped Colpomenia, primarily warm-temperate taxa with both unilocular and plurilocular zoidangia on sporophytes. Chnoospora is not monophyletic, as was previously shown the paraphyly of Colpomenia, Petalonia, and Scytosiphon. Hydroclathrus clathratus from Korea and Japan was not monophyletic. Our studies show that gametophytic characters are the main source of conflict for the present taxonomy of the family. The psaA region is a useful tool for resolution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Scytosiphonaceae.

Genetic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edible scytosiphonacean algae from Ulleungdo Island, Korea

  • Lee, Ju Il;Jang, Hyeong Seok;Cho, Ga Youn;Yoon, Sung Jin;Boo, Sung Min
    • ALGAE
    • /
    • 제34권3호
    • /
    • pp.229-236
    • /
    • 2019
  • Despite the abundance of seaweeds from Ulleungdo Island, genetic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edible brown algae from the island remain unstudied. We analyzed mitochondrial cox3 sequences from 86 specimens collected in the island and from the nearby Korean Peninsula. Our cox3 phylogeny for the first time confirmed the occurrence of fives species from Ulleungdo Island; Petalonia binghamiae, P. fascia, Planosiphon zosterifolius, and two cryptic species previously identified as Scytosiphon lomentaria. P. binghamiae was relatively homogeneous with three haplotypes. P. fascia comprised four haplotypes, which were grouped into two genetic lineages. S. lomentaria was heterogeneous with nine haplotypes and was divided into two cryptic species; one species clustered with taxa from cold waters while the other clustered with taxa from temperate and cold waters. Low genetic diversity in P. binghamiae while high genetic diversity in S. lomentaria from Ulleungdo Island are comparable to patterns observed from other spec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Ulleungdo Island, although small in size, is an ideal field laboratory to investigate genetic diversity and distributions of economic marine algae.

갈조류 추출물에 의한 인간 암세포 성장 억제 및 세포 사멸 유도 (Induction of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s by a Brown Algae Extract)

  • 추강식;이해님;신성아;김형진;박영석;김상기;정지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55-562
    • /
    • 2016
  • 본 연구는 해양자원의 대표적인 갈조류 중 미역(Undaria pinnatifida), 미역쇠(Petalonia binghamiae), 넓은 미역쇠(Punctaria latifolia)를 추출한 시료들을 이용하여 위암, 유방암 세포에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성장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난 시료가 apoptosis 발현을 유도시키는지 확인하였다. AGS, MDA-MB-231, SK-BR-3 세포에 미역, 미역쇠, 넓은 미역쇠 추출물 0, 50, 100, 200 μg/ml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뒤 MTT assay를 통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추출물들이 AGS, MDA-MB-231, SK-BR-3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 하였다. MTT assay 실험 결과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가 가장 좋은 넓은 미역쇠 추출물이 apoptosis를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AGS, MDA-MB-231, SK-BR-3 세포에서 DAPI staining을 수행 하였고, 넓은 미역쇠 추출물 200 μg/ml에서 세포질 응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넓은 미역쇠 추출물이 AGS, MDA-MB-231, SK-BR-3 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여 암세포 성장을 억제한 것으로 사료된다. 넓은 미역쇠 추출물이 apoptosis 발현 기전에 영향을 주는지 보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여, Bcl-2 family 단백질인 Bax와 Bcl-2의 발현 그리고 DNA 복구 단백질인 PARP의 발현을 확인 하였다. AGS, MDA-MB-231, SK-BR-3 세포에 넓은 미역쇠 추출물 0, 200 μg/ml로 24시간 처리한 결과, pro-apoptotic protein 인자인 Bax와 DNA 복구 단백질 PARP 분절이 증가 하였고, anti-apoptotic protein 인자인 Bcl-2 발현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미역, 미역쇠, 넓은 미역쇠 추출물은 인간 위암세포인 AGS와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SK-BR-3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넓은 미역쇠가 미역, 미역쇠보다 뛰어난 항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갈조류 추출물의 기능성 식품 및 항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으며, 특히 넓은 미역쇠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가 in vivo에서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갈조식물 Endarachne binghamiae J. Agardh의 동해안에서의 형태적 변이 (Morphological Variability in Endarachne binghamiae J. Agardh (Phaeophyta)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 유경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45-51
    • /
    • 1991
  • Endarachne binghamiae J. Agardh의 형태적 변이를 조사하여 분류학적으로 고찰하였다. 북위 50' 간격으로 동해안의 안인, 신남, 후포, 강구, 대본을 채집 대상자로선정하여, 1989년 12월과 1990년 3월에 각 장소에서 50개체씩 임의로 채집하고 체장 계급별 생식율을 조사한 후, 이중에서 25개체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형태적 특징을 정량화하였다. E. binghamiae의 한국산 식물들은 생장의 초기부터 생식기관을 형성한다. 가근의 직경과 복자낭의 길이는 북에서 남으로 경사변이(clinal variation)을 보이는 반면 모총의 수는 남에서 북으로 경사변이를 보인다. 가근의 직경, 엽상체의 두께, 모총의 수 및 복자낭을 가진 엽상체의 수는 3월에 증가하나, 엽상체의 체장은 감소한다. Endarachne 속은 수층에 꼬여 있는 사상형의 가근세포가 밀집하여 있고, 복자낭의 층수가 4-18열이며, 측사가 없다는 점에서 근연속들과 분류학적으로 뚜렷이 구별된다. 따라서 E. binghamiae는 Petalonia속 식물로 개명되기 보다는 오히려 소련산 P. zosterifolia가 Endarachne속에 속하는 한 분류군으로 개칭되어야 할 것이다.

  • PDF

Investigation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19 Species of Marine Macroalgae in Korea

  • Jeong, So-Young;Qian, Zhong-Ji;Jin, Yeong-Jun;Kim, Gi-Ok;Yun, Pil-Yong;Cho, Tae-Oh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130-136
    • /
    • 2012
  • In the present work, we have collected 19 species of macroalgae (9 Phaeophta and 10 Rhodophyta) f rom all around of Korea: Dictyopteris divaricata, D. prolifera, Myelophycus cavus, Papenfussiella kuromo, Petalonia zosterifolia, Petrospongium rugosum, Rugulopteryx okamurae, Sargassum fulvellum, S. muticum, Callophyllis japonica, Gloiopeltis tenax, Gracilaria longissima, Gracilaria vermiculophylla, Grateloupia asiatica, Grateloupia lanceolata, Grateloupia sparsa, Grateloupia turuturu, Grateloupia sp, and Polyopes affinis. The macroalgal species were extracted by 70% ethanol (EtOH) for 24 h and evaluated its inhibitory effects on ${\alpha}$-glucosidase. Among ethanol extracts, Myelophycus cavus showed the most effectively inhibitory activity ($IC_{50}$, 2.17 ${\mu}g/ml$) against ${\alpha}$-glucosidase, followed by Sargassum fulvellum (<$IC_{50}$, 8.13 ${\mu}g/ml$), Dictyopteris prolifera ($IC_{50}$, 16.66 ${\mu}g/ml$), Rugulopteryx okamurae ($IC_{50}$, 50.63 ${\mu}g/ml$), and Petrospongium rugosum ($IC_{50}$, 101.62 ${\mu}g/ml$). Furthermor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showed no cytotoxicity on mouse pre-adipocytes cell line (3T3-L1).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edible macroalgae merit further evaluation for clinical usefulness as anti-diabetic functional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