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s Ingredien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2초

국내(國內) 사용농약(使用農藥)의 돌연변이원성(突然變異原性)에 관(關)한 고찰(考察) (A Study and Review on the Mutagenecity of Pesticides Used in Korea)

  • 오정욱;김영환;차철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8권1호
    • /
    • pp.5-11
    • /
    • 198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domestic pesticides on their mutagenecit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mutagenecities of chemical compounds : and to report the results of experimental tests on the mutagenecity of other pesticides for which mutagenecity had not been previously demonstrated. For the experiments on mutagenecity,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was performed.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67 kinds of pesticides utilized in Korea during the last 10 years from 1973 to 198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total amount of pesticide which was consumed in Korea during the past ten years(1973-1982) was 113,038tons. The average ingredient amount utilized per hectare of areble land in 1982 was 6.6kg. 2) Among mutagenic pesticid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11 kinds of insecticides, 6 kinds of fungicides and 3 kinds of herbicides. The total amount of these mutagenic pesticide used during the past 10 years is as follows: 8,911 tons of insecticides; 2,708tons of fungicides; and 14,087 tons of herbicides. 3) For the regulation and restriction on the use of toxic pesticides, the mutagenecities of ingredient chemicals should be considered. 4) The three kinds of herbicides and two kinds of growth regulators whose mutagenecity was not mentioned in the literature review, were all found to be negative in the mutagenecity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 PDF

거창지역 사과원 농약사용 실태분석 (Analysis of Pesticide Applications on Apple Orchards in Geochang, Korea)

  • 장일;김향미;이순원;최경희;서상재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3-100
    • /
    • 2015
  • 거창지역에서 사과재배 50농가를 대상으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2년간 사용농약 및 사용량, 선택방법, 살포실태 등을 분석한 결과, 연간 살균제는 $13.9{\pm}3.5$회, 살충제 $12.6{\pm}3.2$회, 살비제 $2.6{\pm}1.3$회를 살포하였으며, 살균제는 갈색무늬병, 탄저병, 점무늬낙엽병, 살충제는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응애류 등을 방제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었다. 농약판매상은 병해충의 발생을 현장에서 직접 파악하지 않고 농약을 판매하였으며, 적용작물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농약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대부분의 농민들은 농약을 스스로 선택하지 못하는 등 판매상에 대한 의존도가 82.5%로 매우 높았다. 병해충종합관리(IPM)체계와 관련하여 거창지역의 사과원에서 살포되는 살균제, 살충제, 살비제의 성분조사를 통해 실질적으로 빈번하게 살포되는 농약을 분석하고, FAO의 권장기준에 부합하는지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약제가 권장기준에 부합하였다.

급성 직업성 농약중독 및 손상에 대한 감시체계: 미국의 경험 (Surveillance of acute Occupational Pesticide-related Illness: The US Experience)

  • 송재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02
  • Pest control is required for protecting the food supply and for controlling disease vectors. Unfortunately, there is no perfectly safe form of pest control. Pesticides are commonly used for pest control. Pesticides are defined under the US Federal Insecticide Fungicide and Rodenticide Act(FIFRA) as any substance or mixture of substances intended to prevent, destroy, repel, or mitigate pests, and any substance or mixture of substances intended for use as a plant regulator, defoliant, or dessicant(40 CFR Part 152). Currently in the United States, there are 890 active ingredients registered as pesticides. Approximately one billion pounds of active ingredient are used in the US per year. Unlike most chemicals(anti-neoplastic and anti-micobial medications are the principal exceptions), pesticides are specifically designed to kill and cause harm. Because society allows these chemicals to be disseminated into the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e health effects associated with these releases. This represents an important justification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surveillance systems for acute pesticide-related illness and injury. A comprehensive, national surveillance system for acute pesticide-related illness and injury does not currently exist in the US. Although the United States has several surveillance systems for this condition, none provid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acute pesticide-related illness and injury. The Toxic Exposure Surveillance System(TESS) and Bureau of Labor Statisitics(BLS) are useful for assessing magnitude and trends. The state-based surveillance systems are more useful for timely identification of outbreaks and emerging problems. Efforts are underway to increase the number of states that conduct surveillance, and to broaden the use of the standardized case definition to facilitate aggregation of data across states. Through such efforts, a comprehensive, national surveillance system may be attainable.

  • PDF

방출조절형 dicamba 입제의 용탈, 토양잔류 및 휘산 (Leaching, soil residue, and volatilization of dicamba from controlled release granular formulations)

  • 오경석;오병렬;박승순;진용덕;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3-58
    • /
    • 1998
  • Dicamba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효지속효과를 증진하며, 유효성분의 용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분을 중합매체로 한 방출조절형 dicamba 입제를 제조하여 기존의 dicamba 액제와 용탈, 토양잔류 및 휘산을 비교하였다. 이들 방출조절형 dicamba 입제는 dicamba 액제에 비하여 약 50% 이상 용탈이 감소되었으며, 토양잔류는 양토에 처리된 dicamba 입제의 토양중 반감기가 $50{\sim}51$일 이었으며, 사양토에 처리하였을때는 $50{\sim}58$일 이었다. 한편 양토 및 사양토에 처리된 dicamba 액제는 각각 24일과 22일 이었다. 또한 dicamba의 휘산성은 방출조절형 dicamba 입제가 dicamba 액제에 비하여 약 10배의 휘산억제효과가 있었다.

  • PDF

왕겨를 가연성 담체로 하는 봉상 농약 훈연제의 연소성에 미치는 산화제의 영향 (Effect of Oxidizing Agents on the Burning Characteristics of Smoke Rod of Pesticides Using Rice Chaff as a Combustible Carrier)

  • 임희경;김용환;조광연;유주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3호
    • /
    • pp.332-338
    • /
    • 2004
  • 농약 원제, 왕겨, 무기산화제 및 아교 혼합 분말에 물을 가하여 반죽한 다음 성형하여 봉상 훈연제를 제제하고 훈연제의 연소성을 측정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산화제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왕겨 분말을 가연성 담체로 하는 봉상 훈연제는 11개의 농약에 대하여 빠르고 균일한 연소 속도와 높은 훈연율을 나타내었다. 연소 균일성, 연소 속도 및 훈연율을 고려할 때 봉상 훈연제에는 산화제로써 염소산나트륨이 가장 적당하였다. 가장 높은 훈연율을 나타내는 산화제 첨가비는 농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지만 연소 속도가 다른 훈연제가 훈연율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왕겨를 가연성 담체로 한 훈연제는 $50^{\circ}C$에서 60일간 보관하였을 때 대부분 유효성분의 경시변화가 거의 없이 안정하였다. 연소실, 냉각기, 포집병 1, 여과기, 포집병 2, 포집병 3, 포집병 4, 응축기 및 진공펌프로 구성된 연기 포집 장치는 연소시 연기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훈연제의 훈연율 측정에 적합하였다.

관주처리에 따른 양액재배 딸기의 농약잔류 특성 (Pesticide residual characteristics in Strawberry, treated by drenching under hydroponics)

  • 이효섭;황인성;천재인;권혜영;홍수명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1호
    • /
    • pp.11-17
    • /
    • 2019
  • 딸기는 한국의 주요 농산물 중 하나로 2017년 4,000만 달러 이상이 수출되었다. 최근에는 양액재배를 이용해 경작하는 농가가 많아지면서 농약 관주 처리가 딸기농가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농약 관주처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현장에서는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관주 처리 활성화와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 딸기 중 농약살포조건을 상이하게 하여 관주 처리 후 농약 잔류량을 경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은 딸기에 시험농약을 상이한 조건(살포횟수, 살포량, 희석배수)으로 관주처리한 후 azoxystrobin과 prochloraz는 0, 7, 14, 24, 40일에 분석하였고, thiamethoxam은 0, 7, 24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azoxystrobin 및 prochloraz는 관주 처리하였을 때 최종처리 14일 후에 불검출 되었고, thiamethoxam은 0.02-0.85 mg/kg으로 잔류하였다. 농약 관주처리시 이행량은 농약의 옥탄올-물 분배계수와 물의 대한 용해도가 큰 영향을 미쳤다. 농약을 관주처리 할 때 농산물 내 잔류량은 농약을 실질적으로 살포한 유효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형과 가연성 담체에 따른 농약 훈연제의 연소 특성 (Burning Characteristics of Smoke Generator of Pesticides Depending on Combustible Carrier and Formulation Type)

  • 임희경;김용환;조광연;유주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3호
    • /
    • pp.325-331
    • /
    • 2004
  • 왕겨 분말을 가연성 담체로 첨가하여 분상, 과립상 및 봉상의 fenarimol 훈연제를 제제하고 제형이 훈연제의 연소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연성 담체로 목분을 사용한 목분 훈연제의 연소성을 조사하고 왕겨 훈연제와 비교하였다. 왕겨 분말을 가연성 담체로 한 fenarimol 훈연제(3%)는 분말, 과립 및 막대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었으며, 염소산나트륨 첨가비가 11% 이상일 때 모두 연속적으로 연소하였다. 형상과 무관하게 모두 염소산나트륨 첨가비가 13%인 훈연제의 훈연율이 가장 높았으며, 분상 훈연제(64.5%) < 과립훈연제(78.4%) < 봉상 훈연제(90.9%) 순으로 훈연율이 증가하였다. 봉상 훈연제는 과립훈연제보다 점화가 특히 용이하고 강도와 훈연율이 우수하였다. 목분을 가연성 담체로 사용한 훈연제는 방염 성분을 함유하여 연소 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특성이 있어서 훈연제보다 서서히 연소하는 훈증제용 담체로 더 적합하였다.

건조 대파의 잔류농약 가공 및 감소계수 연구 (On the Processing and Reduction Factors of Several Pesticides with Welsh Onion)

  • 박소연;강혜림;고광용;길근환;임무혁;이규승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9-255
    • /
    • 2009
  • 본 실험은 우리나라에서 파에 등록되어 사용중인 농약 중 pyridalyl, kresoxim-methyl, spinosad, flufenoxuron, difenoconazole, metconazole, tebufenozide를 시험농약으로 하여 건조계수와 가공계수를 구하기 위해 파에 대한 2군데 포장시험을 수행하여 $60^{\circ}C$에서 건조한 후 건조 전후 차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고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파의 평균 수분 함량은 건조 전은 89.3%, 건조 후는 10.2%이였으며, 2포장의 평균 가공계수는 pyridalyl은 7.24, kresoxim- methyl은 2.85, spinosad은 7.43, flufenoxuron은 3.17, difenoconazole은 4.38, metconazole은 2.40, tebufenozide은 8.13으로 나타났고, 2포장의 평균 감소계수는 pyridalyl은 0.87, kresoxim-methyl은 0.35, spinosad은 0.88, flufenoxuron은 0.38, difenoconazole은 0.52, metconazole은 0.29, tebufenozide 0.98로 나타나 전반적인 농약잔류량은 건조하는 과정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국내 유통되는 농약 유효성분에 대한 안전보건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A Study on Developing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Database of Pesticide Ingredients Used in Korea)

  • 임경채;최상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35
    • /
    • 2010
  •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the database of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for pesticide active ingredients used in Korea. There were 1,283 pesticide items among which 296 were found to be out of use in current. A total of 349 pesticide ingredients were being used in Korea. The database consists of 32 types of information including chemical characteristics, acute toxicity, chronic toxicity (carcinogenic and reproductive toxicity), specific symptoms by exposure route and first aid. When pesticide ingredients were assessed in terms of key properties such as color, odor, acute toxicity, carcinogenic and reproductive toxicity, they were white, colorless and odorless, in general. When ingredients were classified by category of acute toxicity, 'Non-hazardous' represented 29%, followed by 'Slightly hazardous' at 16%, 'Moderately hazardous' at 14%, 'Highly hazardous' at 5%, and 'Extremely hazardous' at 2%. 85 out of 349, or 24% of ingredients were found to be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 This database is expected to provide an easy access for farmers, agriculture supervisors, researchers and consumers, and it can ultimately be used as basic data on farmer's safety and health.

유용성 점결제를 이용한 수중용출지연입제의 제제 (Sustained release granular formulation with oil-soluble binder)

  • 유주현;이병회;조광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2호
    • /
    • pp.76-81
    • /
    • 1992
  • 원제와 무기증량제의 혼합분말을 유용성 점결제 stearly alcohol 혹은 ethyl cellulose로 조립한 KC-7079, isoprothiolane, perfluidone 및 tricyazole 입제를 $25^{\circ}C$ 항온조건하에서 물이 담긴 비이커에 침적하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중 유효성분농도를 분석하여 입제의 용출속도를 측정하였다. 입제의 수중용출속도는 점결제 첨가량에 따른 입제의 수중붕괴성, 사용한 점결제의 종류 및 원제의 물에 대한 용해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Stearyl alcohol 첨가입제의 수중붕괴성은 제제방법에 따라 달라져서 수중에서 붕괴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기 위한 점결제 첨가량은 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 수용액(0.5%)으로 반죽하여 조립할 때는 8%, methanol로 반죽하여 조립할 때는 3% 이상 요구되었다. Stearyl alcohol을 점결제로 사용한 KC-7079 입제는 점결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중붕괴성이 감소하여 유효성분의 초기 용출속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붕괴하지 않는 입제는 점결제 첨가비가 증가하여도 용출속도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Ethyl cellulose가 0.5% 이상 첨가된 입제는 수중에서 붕괴하지 않았으며, 점결제 첨가비가 증가할수록 유효성분의 용출지연효과가 증가하였다. 또한 용출지연효과는 원제함량이 작은 입제에서 현저하였다. Stearyl alcohol 첨가제제는 KC-7079와 perfluidone의 용출을 지연시킨 반면 ethyl cellulose 첨가제제는 모든 원제에 대하여 용출을 지연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유용성 점결제로 조립한 입제는 원제의 수용해도가 작을수록 용출지연효과가 뚜렷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