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mobility devic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2초

취약계층을 위한 개인 이동체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 Mobility for the Vulnerable Group)

  • 한광호;이철희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8권4호
    • /
    • pp.35-42
    • /
    • 2021
  • A personal mobility withstanding function for the disabled and vulnerable groups with difficulties in mobility was developed and structural and dynamics analysis was conducted. Personal mobility devices are a very helpful means of transportation for the disabled and vulnerable groups. In addition, the standing function allows individuals to perform a difficult task in while seated and offers a medical advantage to the user. In this study, a personal mobility device was designed and developed to help vulnerable groups and disabled people overcome limited mobility, and communicate with the general people at eye level through standing functions. Through structural and dynamic analysis, the structural safety, optimal speed during rotation, and lateral acceleration of the personal mobility device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users'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personal mobility.

고령자용 개인교통수단 개발 사양 정의를 위한 보행환경 조사 (Walking Environment Survey for Development of Specification on Personal Mobility (PM) Device for Elderly)

  • 김영민;김지수;문병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56-168
    • /
    • 2017
  • 개인교통수단(PM)은 개인의 이동편의를 향상시켜준다는 측면에서 보행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자가 주요 활용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가 보도 등 보행환경에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개인교통수단을 설계하고자 한다. 보행환경에는 다양한 통행 장애요인이 존재하며, 개발하고자 하는 수단은 장애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기기 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용 개인교통수단의 성능수준 결정을 위하여 보행환경 상 통행 장애요인 현황 및 수준을 조사한다. 관련 지침을 검토하여 조사 대상 항목 및 조사 방법론을 정의하고, 고령자 일상생활 기반 통행 시나리오를 통해 선정된 특정 도로구간에 대하여 조사를 수행한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단의 기기 성능을 지침 상 제시된 기준에 근거하여 확보하였을 때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확인하며, 장애인용 전동휠체어의 운전 성능 기준을 근거하여 개발 수단의 기기 성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Development of Auxiliary Wheel Unit Mechanism for Overcoming Obstacles

  • Han, Jae-Oh;Youm, Kwang-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2호
    • /
    • pp.30-38
    • /
    • 2019
  • Recently, the spread of personal mobility has been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lternative transportation means. In addition, the level of battery technology is also rapidly developing, accelerating the popularization of personal mobility. Such personal mobility has convenience of location transfer, amusement, and high portability compared to other transportation devices. Most personal mobility, however, is made up of small wheels, which cannot overcome obstacles such as rugged roads or obstacles on the road. In this pap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tried to devise a device that can easily overcome obstacles by combining wheels with small moving means. The wheel size can be mounted on the front wheel of the small moving means in a protruding manner so that obstacles can be encountered before the front wheels and the safety and ride comfort of the running can be improved.

Development of Smart driving monitoring device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Confusion Matrix verification

  • Han, Ju-Wan;Park, Seong-Hyun;Sim, Chae-Hyeon;Whang, Ju-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61-69
    • /
    • 2022
  • 배달산업이 COVID-19 상황과 함께 요식업을 중심으로 크게 성장함에 따라 배달업 종사자가 크게 증가했다. 그와 함께 개인형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PM)를 활용한 새로운 배달 형태가 등장했으며, 이륜차 혹은 PM 관련 사고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안전 배달 모니터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PM의 주행 분석 장치의 제작한다. 이를 위해 주행 분석 장치와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성했으며, 이 시스템을 통해 PM의 운전상황에서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특수한 상황(가/감속, 과속방지턱 통과)을 인식하고 기록하고자 한다. 그 결과 장치 내 측정 센서(IMU)에서 수집한 각속도, 가속도, 지자기 값을 통해 운행 여부 및 인도 주행 여부, 경사로 주행 여부를 판단해 낼 수 있었다. 이 기술은 기존의 영상기반 기록장치보다 약 1600배 이상의 주행 정보 저장 효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Vest for the Safety of Personal Mobility Device Users

  • Han, Sungjun;Kim, Younghoon;Park, Haebin;Choi, Woosung;Park, Eunju;Lim, Hankyu
    • 한국정보기술학회 영문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5-97
    • /
    • 2020
  • As a solution to the rapid urbanization problem, interest in and use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such as bicycles and electric kickboards are increasing, and accidents are also rising every year. In this study, a smart vest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nd promote safe driving of personal mobility users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Unlike the existing products on the market that indicate directions using buttons, the smart vest designed and implemented in this study indicates the moving direction by shaking a bracelet and displays the direction by LEDs on the vest. Therefore, this product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be safer and differentiated from other existing products.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보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 Mobility Safety Assistants using Object Detection based on Deep Learning)

  • Kwak, Hyeon-Seo;Kim, Min-Young;Jeon, Ji-Yong;Jeong, Eun-Hye;Kim, Ju-Yeop;Hyeon, So-Dam;Jeong, Jin-Woo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86-489
    • /
    • 2021
  • Recently, the demand for the use of personal mobility vehicles, such as an electric kickboard, is increasing explosively because of its high portability and usability. However,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personal mobility vehicles has also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To address the issues regarding the driver's safety, we propose a novel approach that can monitor context information around personal mobility vehicles using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and smartphone captured videos. In the proposed framework, a smartphone is attached to a personal mobility device and a front or rear view is recorded to detect an approaching object that may affect the driver's safety. Through the detection results using YOLOv5 model, we report the preliminary results and validate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교통약자를 위한 전동 이동 보조기기 안전 경로 서비스의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afe Route Service of Electric Personal Assistive Mobility Devices for the Mobility Impaired People)

  • 우제승;홍순기;유상경;김회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85-96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이동권 개선을 위해 교통약자들을 중심으로 이용되고 있는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교통약자들과 관련 기관 종사자(부산광역시 내 장애인 자립 생활센터, 장애인 협회 정회원, 전동 이동 보조기기 수리기사, 활동 보조사)들과의 설문을 통해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13종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각각의 요인들에 안전성 점수를 부여하고 현장에서 수집된 데이터로 객체 인식 AI 모델을 학습시켜 해당 요인들을 판별한 후, 최적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통해 전동 이동 보조기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동일한 출도착 경로를 대상으로 T-map에서 제공하는 일반 경로와 본 연구의 추천 경로를 비교한 결과, 일반 경로에서는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주행에 방해가 되거나 승차감을 불편하게 하는 장애물이 많았고 가파른 경사로 인해 이동이 불편했지만, 본 연구의 추천 경로에서는 상대적으로 장애물이 적었고 경사도 완만하여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주행에 무리가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동 이동 보조기기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경로 안내 서비스를 구현하고 다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현장 실증테스트를 진행하여 사회적 수용성 평가 및 검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개인형 이동수단별 헬멧 착용 유무가 두부 손상에 미치는 영향: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에 교통사고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The effect of wearing a helmet on head injury risks among personal mobility vehicle riders: A study of patients who visited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due to traffic accidents)

  • 안소연;김용준;심경율;이경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1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head injuries among drivers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and provide insights into safety perception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data of 221 trauma patients obtain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the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over one year, from August 1, 2021, to July 31, 2022. The patients, all in their 20s and 30s, presented to a single emergency medical center following personal mobility device accidents (motorcycles, electric scooters, and bicycles). Results: Among motorcycle riders, 18.2% were not wearing helmets, while the percentage of e-scooter riders not wearing helmets was 87.5%. Wearing a helmet was associated with a 71.2% lower likelihood of head injuries (OR=0.288, CI=0.163 to 0.509, p=0.000). Of the personal mobility devices, motorcycles had a 0.431 times lower odds ratio for head injury compared to e-scooters (p=0.009),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scooters and bicycles (p=0.776). Conclusion: It is imperative to strengthen safety regulations by mandating helmet use for riders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A system to enhance driving enforcement for electric scooters, which are increasingly popular among young adults, should also be established.

First-mile과 Last-mile을 고려한 자유 주차방식(Free-floating) 개인형 이동장치 공유 서비스 권역 및 운영대수 결정 (Determination of Service Areas and Operating Numbers for Free-floating Personal Mobility Sharing Services)

  • 한상욱;김동규;문세동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06-118
    • /
    • 2024
  •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관심은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에서 first-mile 및 last-mile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다. 본 연구는 first-mile 및 last-mil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유 주차방식(free-floating) 개인형 이동장치 공유 서비스 권역 설정 방법론을 제시하고 선정된 공유 서비스 권역을 대상으로 최적의 개인형 이동장치 운영 대수 결정을 목표로 한다. 인구 데이터, 스마트 카드 데이터, 건물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개인형 이동장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령별, 거리별 이용률을 반영하여 잠재수요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잠재수요와 함께 대중교통 정류장과 건물의 위치를 기반으로 개인형 이동장치 공유 서비스 권역을 설정하였다. 인천 영종도를 대상지로 제안된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거주지가 밀집된 지역과 여행객들이 많은 해변 근처가 개인형 이동장치 공유 서비스 권역으로 선정되었다. 거주지가 밀집된 서비스 권역의 개인형 이동장치 운영대수는 1,022대, 해변 근처 서비스 권역의 개인형 이동장치 운영대수는 269대로 결정되었다.

다중센서 및 아두이노를 활용한 Personal Mobility 스마트헬멧 (Personal Mobility Safety Helmet Device using Multi-Sensor and Arduino)

  • 김대현;양원영;한동욱;함주민;이붕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23-73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Personal Mobility에 사용되는 스마트헬멧의 안전성 보강을 제안한다. 주요 내용은 헬멧이 안전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아두이노를 베이스로 사용하여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거리별, 각도별 변화에 따라 센서의 값을 설정하여 오차를 최소화하여 원활한 인식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자이로센서를 활용하여 각 기울기에 따른 방향지시등이 점등되도록 하였다. CDS 센서를 이용하여 야간에 150 lux 이하로 내려갈 시 LED가 점등되도록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5cm 이내에서 헬멧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평균속도 주행 시 10도에서 방향지시등이 점등되며, 150lux 이하에서 LED가 점등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