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Health Information

검색결과 754건 처리시간 0.03초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을 이용한 환경보건 연구 방법의 고찰 (Review of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through Crowdsourcing)

  • 이보람;이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1-177
    • /
    • 2014
  • Backgrou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can be beneficial for the life and health of human society. Crowdsourcing refers to drawing upon a large pool of individuals in order to seek services, ideas, or other contribu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crowdsourcing is able to provide powerful results in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Methods: We searched 'crowdsourcing' and 'citizen science' for keyword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health field and only selected journal articles and conference proceedings material, such as research reports and WHO reports. Results: This paper reviewed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using crowdsourcing. Examples of such research based on crowdsourcing included practices in environmental disasters, noise monitor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echnology, smart phones, attached portable devices and information delivery by web. Crowdsourcing methods can provide notably distinct approaches for future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whenever crowdsourcing is applied to data generation and information dissemination. Conclusion: We expect that this review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methods using crowdsourcing and citizen science.

Unraveling the Web of Health Misinformation: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Emotions, and Motivations of Misinform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Vinit Yadav;Yukti Dhadwal;Rubal Kanozia;Shri Ram Pandey;Ashok Kumar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53-74
    • /
    • 2024
  • The proliferation of health misinformation gained momentum amidst the outbreak of the novel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eople stuck in their homes, without work pressure, regardless of health concerns towards personal, family, or peer groups, consistently demanded information. People became engaged with misinformation while attempting to find health information content. This study use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analyzed 1,154 misinformation stories from four prominent signatories of the International Fact-Checking Network during the pandemic. The study finds the five main categories of misinformation related to the COVID-19 pandemic. These are 1) the severity of the virus, 2) cure, prevention, and treatment, 3) myths and rumors about vaccines, 4) health authorities' guidelines, and 5) personal and social impacts. Various sub-categories supporte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se categories. The study also analyzed the emotional valence of health misinformation. It was found that misinformation containing negative sentiments got higher engagement during the pandemic. Positive and neutral sentiment misinformation has less reach. Surprise, fear, and anger/aggressive emotions highly affected people during the pandemic; in general, people and social media users warning people to safeguard themselves from COVID-19 and creating a confusing state were found as the primary motivation behind the propagation of misinformation. The present study offers valuable perspectives on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spread of health-related misinformation amidst the COVID-19 outbreak.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discerning the accuracy of information and the feelings it conveys in minimizing the adverse effects on the well-being of public health.

Reference Model and Architecture of Interactive Cognitive Health Advisor based on Evolutional Cyber-physical Systems

  • Lee, KangYoo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8호
    • /
    • pp.4270-4284
    • /
    • 2019
  • This study presents a reference model (RM) and the architecture of a cognitive health advisor (CHA) that integrates information with ambient intelligence. By controlling the information using the CHA platform, the reference model can provide various ambient intelligent solutions to a user. Herein, a novel approach to a CHA RM based on evolutional cyber-physical systems is proposed. The objective of the CHA RM is to improve personal health by managing data integration from many devices as well as conduct a new feedback cycle, which includes training and consulting to improve quality of life. The RM can provide an overview of the basis for implementing concrete software architectures. The proposed RM provides a standardized clarification for developers and service designers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The CHA RM provides a new approach to developing a digital healthcare model that includes integrated systems, subsystems, and components. New features for chatbots and feedback functions set the position of the conversational interface system to improve human health by integrating information, analytics, and decisions and feedback as an advisor on the CHA platform.

농촌노인의 보완대체요법 사용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비교 (Comparis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Rural Elderly by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Utilization)

  • 이명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8-108
    • /
    • 2007
  • Purpose: To compar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rural elderly people by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CAM) utilizatio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06th to May 26th, 2006. The participants were 207 rural elderly person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the SAS win 8.0 program. Results: The rate of using CAM was 60.9%. Non-religious, perceived poor health and high concerns about health group used it more. The most common type was oriental medicine(35.7%), the most common motive was body protection(21.2%) and major source of information was other patients(35.9%). Almost all the subjects(90%) were satisfied with using CAM. The average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2.67{\pm}.32$(range 1.65-3.71). The average scores for each subscale were, personal communication 2.98, self-actualization 2.79, nutrition 2.78, health responsibility 2.58, exercise 2.40, stress management 2.38.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found according to CAM utiliz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elf actualizatio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health promoting behavior between the elderly CAM utilization: Systemic guidelines of CAM use are needed.

  • PDF

병원내 구축된 IoT 시스템을 활용한 효율적인 개인 정보 수집 모델 설계 (An Efficient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Model Design Using In-Hospital IoT System)

  • 정윤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40-145
    • /
    • 2019
  •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의료 서비스 환경이 과거에 비해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의료 기술이 IT 기술과 융합하더라도 의료비 문제와 의료 서비스 관리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할 사항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IoT 시스템을 구축한 병원을 대상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의료진이 효율적으로 분석 관리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병원내 구축된 IoT 시스템을 통해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효율적으로 체크하고 관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안 모델은 다양한 이기종의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추가적인 인적 물적 자원 없이 효율적이면서 빠르게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제안모델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는 IoT 게이트웨이를 통해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의료진이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 모델은 IoT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은 기존 의료 시스템 모델보다 직군별 의료진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효율성이 19.6% 향상되었고,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의 사후 의료관리 개선율이 22.1%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의료진의 업무 부담률은 기존 의료 시스템 모델보다 평균 17.6% 낮게 나타났다.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개인건강기록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 for Emergency Treatment)

  • 이지수;;염상길;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80-682
    • /
    • 2017
  • 최근 급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급성 질환은 초기 증상 발생 시 올바른 인지와 신속한 대처가 요구된다. 그러나 유지 관리비용 면에서 모든 개인의 응급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의료시스템은 구축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개인건강기록 시스템을 제안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심박 체온의 생체신호로 응급 상황을 판별해 지정된 보호자에게 알린다. 또한, 응급버튼을 통해 곧바로 응급상황을 알린다. 개인이나 가족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생명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타원곡선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암·복호화 시스템 설계 (Design of Personal Health Records Encryption and Decryption System Using Elliptic Curve Cryptography Algorithm)

  • 심재성;윤성열;박석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58-96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PHR(PHR : Personal Health Record) 서비스를 제공 할 때 발생 가능한 개인정보변조 및 유출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PHR과 ECC(ECC : Elliptic Curve Cryptosystem)에 대한 연구 및 안전한 개인정보 전송을 위한 XML 형식의 PHR 서비스 메시지 구조설계와 ECC 알고리즘 기법을 이용한 PHR 암 복호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의료소비자의 정보탐색행태와 지각된 위험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and Perceived risk on Consumer Satisfaction in Medical Service Consumer)

  • 채유미;이선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38-156
    • /
    • 201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searching behavior of health care consumers ; 2)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searching behavior of health-care consumers and regulatory variables such as socioeconomic factors, characteristics of medical utilization, and perceived risks ; and 3)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consumer satisfaction, especially with respect to information-searching behavior. Method :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838 respondents in fiv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three areas?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ong province. As the first step of the study, we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from September 23?26, 2008. At the second step,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effect of information-searching behavior on those individuals who had visited. Furthermore,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a face-to-face survey between September 30 and October 17, 2008. Results : The major research findings that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age, educational level, and residential district were associated with information source utilization. Second, the level of information searching effort and quality of serv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essential for marketers to have in-depth knowledge about the young and educated people who actively search for information and about those who are in the prime of their life and rely on word-of-mouth communication from personal and experi in-al informers. Therefore, marketers should develop different marketing strategies to meet the needs of such consumers.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의료정보표준 기반 게이트웨이 설계 및 성능 평가 (Gateway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health information standards in multi-platform environment)

  • 심우호;나현석;박석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3-40
    • /
    • 2012
  • 최근 병원정보 시스템은 의료서비스의 질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활용한 스마트 진료서비스가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개인의 진료정보를 PC, 스마트폰 등을 통해 관리하는 개인건강기록(PHR) 서비스에 대한 관심 및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차세대 병원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이한 병원정보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동과 다양한 사용자 기기 간의 UX 일관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멀티플랫폼 환경 하에서 의료정보를 통합하여 연동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개인의 진료정보 표준과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핵심 기능인 데이터 간의 매핑 방법에 있어서 CCR 표준을 적용하고 다중 테이블 기반 매핑 방법을 사용하여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이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해 실험을 한 결과 응답속도가 약 20%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News Usage on Influenza A(H1N1) and Media Users' Behavioral Intention toward Personal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Focusing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 김여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1권
    • /
    • pp.5-25
    • /
    • 2010
  • 본 연구는 신종플루 관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를 독립변인으로, 심리적 보호동기요인(신종플루에 대한 인지된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그리고 개인과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대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구성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구조방정식모델(SEM)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 연구모형에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는 신종플루 관련 보호동기 요인들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냈으나 '대처효능감'은 제외되었다. 또한 세 가지 보호동기 요인(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자기효능감)들은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 연구모형에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는 '대처효능감'을 제외한 모든 보호동기 요인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보호동기 요인들 중에 '인지된 취약성'과 '대처효능감'만이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두 연구모형의 공통점으로는 신종플루 뉴스이용 정도가 개인 또는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질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있어서 건강보호 대상(자신 혹은 타인)이 누구인가에 따라 심리적 보호동기들은 다르게 작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