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Area Network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9초

퍼스널 로봇 미들웨어를 위한 CAN(Controller Area Network) Protocol (Controller Area Network (CAN) Protocol for Personal Robot Middleware)

  • 박태규;;박홍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80-82
    • /
    • 2004
  • Personal robot consist of various modules that have independent functions. Because personal robot has requirement that support various construction for user's tendency. Therefore, Middleware mechanism at support not only personal robot's main functional element but also embedded modules functional elements is required. Each module have various heterogeneous network interfaces and variable services and variables. Therefore, Middleware must support these various network interfaces. This paper, pointed in Controller Area Network(CAN) inreface that usually used in embedded system for control. For connect various heterogeneous network interfaces (Ethernet, RS232 etc..), it is necessary to modify bagic CAN frame format. And also make some kind of BUS topology for CAN network.

  • PDF

PAN (Personal Area Network) 기반 가상 홈 (Virtual Home) 지원을 위한 홈 네트워크 연동 모델 연구 (A Study on Home Network Functional Model for Personal Area Network based Virtual Home Network)

  • 강현중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67-174
    • /
    • 2005
  • 다양한 차세대 PC 및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 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PMG (Personal Mobile Gateway)를 기반으로 하는 PAN의 보급의 보편화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출현이 예상된다. 이러한 휴대 게이트웨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소형 단말로 구성된 PAN을 홈과 지속적으로 연결하여 가정내외 (家庭內外) 네트워크가 통합된 가상 흠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 구성 필요하다. 가정내기기 간 연동은 다앙한 표준화를 거쳐 서비스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휴대 게이트웨이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소규모 네트워크인 PAN과 연동을 위한 서비스 및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PAN과 연동을 위하여 사용자의 위치나 네트워크 상황에 맞추어 중단 없는 최선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연결 제어 방식 단말기 제어 방식, 그리고 확장된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 게이트웨이와 소형 단말로 구성된 PAN을 흠과 연결하여 가정내외 네트워크가 통합된 가상 흠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편리한 가상 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비교 분석하였고, 기존의 흠 게이트웨이나 홈 서버에서 추가 되어야 할 내용별로 제안 하였다.

  • PDF

Bluetooth 기반 모바일 오픈 마켓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Bluetooth-based Mobile Open Market System)

  • 유희훈;정영우;임유진;박준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2호
    • /
    • pp.215-222
    • /
    • 2010
  • 휴대 장치용 개인 무선 통신 기술로서의 블루투스(Bluetooth)는 저전력 저비용의 장점을 가진 IEEE 802.15 계열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매우 제한된 통신 범위로 인해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사용자간의 네트워크 구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인프라(infra)가 없이도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구성원 간 모바일 소셜네트워크 시스템(Mobile Social Network System, SNS)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SNS 환경에서 사용자 움직임 기반 정보확산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로 블루마켓 응용을 구현하였다.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기반 스마트 오브젝트 설계 - 스마트벨트 (Design the Smart Object based on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 Smart Belt)

  • 변유인;김태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674-678
    • /
    • 2008
  • 본 논문은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환경에 기반한 스마트 오브젝트(Smart Object)의 개발에 대한 논문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진 컴퓨팅 디바이스를 장착한 스마트 오브젝트가 많이 개발되면서, 사용자에게 가중되는 소지품으로써의 수많은 기기, 도구들을 사용자가 하나하나 관리하기에는 역부족이므로, 이를 분류하고 관리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순히 자신들이 가진 스마트 오브젝트의 기능만을 활용하게 해주는 스마트 오브젝트의 개인 네트워크 화하는 기기의 필요성이 증대된 가운데, 이러한 형태의 오브젝트를 개발함에 있어 어떠한 기술들이 필요하고 어떠한 요소들을 갖춰 설계 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최적화된 설계 기준을 분석하고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PAN에서 인증 및 인증서 상태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프로토콜 (Efficient Protocol for Authentication and Certificate Status Management in PAN)

  • 장화식;이경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73-38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Personal Area Network (PAN)을 구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전자서명 생성 및 검증을 위한 계산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효율적인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프로토콜은 일회용 전자서명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전통적인 공개키 전자서명 연산을 제거하였으며, 제한된 컴퓨팅 능력을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기 제안된 인증 프로토콜과 달리 서명 서버의 지원없이 전자서명 생성 및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안 프로토콜은 PAN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인증서 상태 관리를 위한 통신 및 계산상 오버헤드를 경감시키기 위해 해쉬체인에 기반한 간략화된 인증서 상태 검증 절차를 제공한다.

  • PDF

Bluetooth 기술을 이용한 PAN의 구현 (Personal Area Network Implementation based on Bluetooth technology)

  • 최성범;박용진;김원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145-147
    • /
    • 2001
  • 하나의 기술을 넘어 인간 생활 자체로서 발돋움한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바탕으로 하여 Home Area Network에 이어 Personal Area Network란 신개념을 창출하였다. 이는 단순히 기술의 발전을 통한 개인 생활의 효용성 증대란 의미 외에 네트워크 기술이 해결해야 할 필연적인 과제로서 이에 대한 시장과 관심은 점점 더 커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에서는 PAN의 구현에 필요한 다양한 무선 기반의 기술들을 소개하며, 단순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넘어 이제는 3세대 이동 통신망의 주요 요소 기술로까지 발전하고 있는 Bluetooth 기술이 어떠한 연구와 방식을 통해 개인 정보망에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PAN Middle-ware for Combination between CDMA and Bluetooth

  • Na Seung-Won;Jeong Gu-Min;Lee Yang-Su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836-843
    • /
    • 2005
  •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s widely spread out with the developments of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s and wireless units. In contrast to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enables to transmit data and voice in personal area. Although WPAN technologies are commercially utilized, the combined services with COMA network are not so poplar up to now. Various services can be provided using the combination between COMA and WPAN. This paper presents the practical and united model between COMA and WPAN. Specially, the main focus of this research lies on the design of the Middle-ware system of a handset which could be managing both COMA and WPAN. This system used Bluethooth by WPAN. For the devices with the proposed WPAN Middle-ware, service areas of the COMA network can be expanded to WPAN, various services can be realized by the transmission of data and voice, and consequently, the user computing environment could be improved.

  • PDF

Implementation of a Remote Bio-Equipment System for Smart Healthy Housing Properties

  • Han, Seung-Hoon
    • KIEAE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23-29
    • /
    • 2014
  •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SN (Bio-Sensor Network) platform in built smart healthcare environment while designing healthy housing facilities. For this study, WSN (Wireless Sensor Network) data transmission technologies have been employed with medical sensors, and optimal medical devices would provide various Web 2.0 services by connecting to the WiBro network. The BSN platform normally recognizes in surroundings of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 or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nd it is possible to manage sensor nodes by utilizing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nd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In addition, the feature of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for mobile gateway is also included for being adapted to huge network structure. Finally, BSN platform will play a role as important clues for developing personal WSN service models for smart healthy housing properties.

실내 무선채널에서 HDR-WPAN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HDR-WPAN System under Indoor Radio Channel)

  • 강철규;오창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7-283
    • /
    • 2005
  •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high data rate-wirelesss personal area network(HDR-WPAN) system is analyzed under multi-path indoor channel. In the analysis, Saleh and Valenzuel channel model is used for the multi-path indoor channel. From the results, HDR-WPAN system has reliability of 10-5 at Eb/No = 18.5dB in multi-path indoor channel. It is a suitable performance for high data rate personal area network applications.

  • PDF

WPAN기반 자동차 블랙박스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Automobile Black Box System based on WPAN)

  • 김민영;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65-368
    • /
    • 2012
  • 본 논문은 기존 자동차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교통사고 현장정보를 분석할 때 좀 더 명확한 현장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정보수집에 사용되는 각 센서(정보수집센서)의 설치 위치의 제약을 해결하고자 각 정보수집센서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을 적용한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