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 Identification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9초

Forensic DNA methylation profiling from evidence material for investigative leads

  • Lee, Hwan Young;Lee, Soong Deok;Shin, Kyoung-Jin
    • BMB Reports
    • /
    • 제49권7호
    • /
    • pp.359-369
    • /
    • 2016
  • DNA methylation is emerging as an attractive marker providing investigative leads to solve crimes in forensic genetics. The identification of body fluids that utilizes tissue-specific DNA methylation can contribute to solving crimes by predicting activity related to the evidence material. The age estimation based on DNA methylation is expected to reduce the number of potential suspects, when the DNA profile from the evidence does not match with any known person, including those stored in the forensic database. Moreover, the variation in DNA implicates environmental exposure, such as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thereby suggesting the possibility to be used as a marker for predicting the lifestyle of potential suspect. In this review, we describe recent advances in our understanding of DNA methylation variations and the utility of DNA methylation as a forensic marker for advanced investigative leads from evidence materials.

안전 검증을 위한 광-디지탈 지문인식 시스템 (Opto-Digital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for security verification)

  • Seung Hyun Lee;Sang-Yi Yi;Hyung Ji Kim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49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BPEJTC에 근거한 광-디지탈 지문인식 시스템을 구성하여 안전검증에 응용 가능함을 보였다. BPEJTC 시스템은 기존의 JTC에 비해 높은 상관 값을 가지므로 유사 지문 간의 상관이 발생하지 않으며, 입력에 여러개의 지문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잘 적응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본 시스템이 변형된 동일인의 지문 혹은 여러종류의 다른지문으로부터 동일 지문을 인식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住居의 儀禮空間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Ritual Space in Housing)

  • 김계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9-27
    • /
    • 199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rinsic meaning of housing according to meaning of ritual space in Korean housing. At a traditional housing the rites give a sacred characteristic and grade of ranks to space. According to rites Malu(Dae-Chung) is a male's space and An-Bang is a female's space. At a present housing the central characteristic of An-Bang and sexual division of space are weakened and the space of dead person is disappered. But the rites and ritual space give sacred characteristic stability and identification in housing.

  • PDF

홍채를 이용한 생체인식 코드 추출 (Extraction of Iris Code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Using an Iris Image)

  • 양우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7
    • /
    • 2008
  • 본 논문은 스케일 스페이스 필터링 기법을 활용하여 홍채영상으로부터 사람마다 고유한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추출되는 특징은 성능이 우수하고 신뢰도가 높아 고속의 자동 인식 시스템의 제작에 활용 될 수 있다. 제시하는 알고리즘은 우선 홍채영상으로부터 홍채 부분을 분리하고 홍채의 중심과 반경을 산출한 후, 노이즈가 심한 부분을 제거하고 2D 형태의 고유한 특징들을 추출한다. 노이즈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스케일 스페이스 필터링이 사용된다.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18명으로부터 얻은 272개의 홍채영상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제시하고 있는 알고리즘이 성능과 신뢰도 측면에서 매우 우수함을 보여준다.

  • PDF

단일 리드 심전도를 이용한 개인 식별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using Single-Lead Electrocardiogram Signal)

  • 임서현;민경란;이종실;장동표;김인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2-49
    • /
    • 2014
  • We propose an individual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single-lead electrocardiogram signal. In this paper, lead I ECG is measured from subjects in variou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es. We performed a noise reduction for lead I signal as a preprocessing stage and this signal is used to acquire the representative beat waveform for individuals by utilizing the ensemble average. From the P-QRS-T waves, features are extracted to identify individuals, 19 using the duration and amplitude information, and 16 from the QRS complex acquired by applying Pan-Tompkins algorithm to the ensemble averaged waveform. To analyze the effect of each feature and to improve efficiency while maintaining the performance, Relief-F algorithm is used to select features from the 35 features extracted. Some or all of these 35 features were used in the support vector machine (SVM) learning and test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using the entire feature set was 98.34%.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person by features extracted from limb lead I signal only.

부분 얼굴 특징 추출에 기반한 신원 확인 시스템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Partial Face Feature Extraction)

  • 최선형;조성원;정선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68-173
    • /
    • 2012
  • 본 논문은 얼굴인식 시스템 상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변장이미지가 입력 감지될 경우 나머지 노출된 부분의 특징만을 가지고 가려진 사람의 신원을 추정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얼굴영역 검출 후에 마스크상단의 눈 주변 이미지만을 가지고 특징점 추출을 실시하여 등록된 얼굴 인증 데이터 베이스와의 특징점 비교를 통해 사람의 신원을 추정한다. 매칭에 쓰일 특징점 추출에는 조명에 강인하고 영상의 크기와 회전에도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특징점 매칭을 통해 정확한 매칭률은 전체 실험결과를 통해 평가한다.

국가 개인식별번호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독립적 난수기반 개인식별번호체계로 전환 (A Study on Reforming the National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System : The Unconnected Random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System)

  • 한문정;장규현;홍석희;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721-737
    • /
    • 2014
  • 주민등록번호 제도가 도입된 이래 주민등록번호는 효과적인 국가 개인식별체계의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도래로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가 대규모로 수집됨에 따라 개인정보 유출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주민등록번호는 모든 영역에서 개인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강력한 개인식별값이자 본인확인 수단으로 유출될 경우 큰 피해로 이어질 위험이 있으나, 주민등록번호는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 이러한 피해를 경감할 수 있는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개인정보가 주민등록번호를 중심으로 하여 기록 및 관리되는 것이 일반이므로, 유출된 주민등록번호와 개인정보의 연결성을 끊음으로써 국민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등록번호의 종속성을 제거함으로써 주민등록번호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독립적인 난수기반 개인식별번호 체계를 제안하고, 체계의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쟁점사항을 식별하고 해소방안을 제시한다.

맞춤형 수면케어 서비스를 위한 EOG 기반의 실시간 개인식별 알고리즘 (Realtime Individual Identification based on EOG Algorithm for Customized Sleep Care Service)

  • 홍기현;이병문;박양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8-16
    • /
    • 2019
  • 사람마다 수면장애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개인별로 각기 다른 맞춤형 수면케어 서비스가 필요하다. 뇌파 데이터는 사람마다 고유한 파형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이 특성을 이용하면 개인을 식별할 수 있다. 개인식별은 맞춤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제공한다. 눈을 깜박일 때 전두엽 부위를 측정하면 뇌파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맞춤형 수면케어 서비스를 위한 눈 깜빡임 EOG(Electrooculography) 기반의 실시간 개인식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평가를 위해 10명을 대상으로 개인식별 정확도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최대 93%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향후 외부 환경 변화와 같은 특성을 반영하여 알고리즘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M2M 기반의 지능형 보행보조시스템 (A Machine-to-machine based Intelligent Walking Assistance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 강창순;조화섭;김병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3B호
    • /
    • pp.287-296
    • /
    • 2011
  • 시각장애인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백색 지팡이(White Stick)는 지상의 부유장애물에 대한 감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행중인 시각장애인에게 현재 위치정보와 응급상황 발생시 효과적인 보호 조치를 제공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을 할수 있는 사물지능통신(M2M : Machine-to-Machine) 기반의 지능형 보행보조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보행보조지팡이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보행보조지팡이 사용자를 원격 지원하는 서버로 구성된다. 보행보조지팡이는 초음파센서와 문자-음성 변환기술 등을 이용한 장애물 감지 및 인지 가능뿐만 아니라, 서버에서 제공하는 지리정보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장치 등을 이용한 현재위치 알림 및 확인, 위급상황 대처 기능 등을 제공한다. 서버는 지리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보호자나 구호기관에 위급상황 발생위치 알림, 보행 동안의 주요 정보(장소 시간 및 횟수 등)를 제공한다. 제안 시스템의 시제품을 통한 기능 및 성능 시험 결과 만족스런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Impact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and Axiology o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Institution of Human Rights

  • Buglimova, Olga V.;Goncharov, Igor;Malinenko, Elvira;Matveeva, Natalya;Stepanenko, Yuri;Chernichkina, Gali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7호
    • /
    • pp.327-331
    • /
    • 2022
  • The article aims at studying the institution of human rights in an ever-evolving world in the context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main scientific method was deduction that allowed examining the specific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relation to the institution of human rights on the global scale. To solve the issue set, it is necessary to study legal foundations and features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institution of human rights in the modern world. The article proves there is no theoretical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institution of human rights.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appeal to anthropological jurisprudence requires the identification of the initial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rinciples, parameters and axioms of cognition, the integration of a person into the subject field of legal science, linking jurisprudence with the chosen external environment (philosophy, sociology, theology, etc.), predetermining the existence (understanding) of a person, causing qualitative differences and the structure of subject-methodological phenomena.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such hypotheses, prerequisites and axioms, the basic method (principle) of cognition and its heuristic potential are also being searched (defined). The terminological designation of the formed subject-methodological phenomenon (legal anthropology, anthropology of law, anthropological approach, etc.) reveals its role in the system of interdisciplinary relations of legal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