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stent identification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2초

가족집적성을 보이는 B형간염 바이러스 만성보유자에서 바이러스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주조직접합체 양상 - 질병발현 형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Hepatitis B Virus DNA Mutation, Pattern of Major Histocompatibility Class-I among Familial Clustered HBV Carriers in Relation to Disease Progression)

  • 정승필;이효석;김정룡;안윤옥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3권3호
    • /
    • pp.323-333
    • /
    • 2000
  • Objectives : Chronic HBsAg carriers are the principal source of infection for other susceptible people, and are themselves at high risk of developing serious liver diseases. In Korea, it has been estimated that 65-75% of the HBsAg positives remained as persistent carriers. Additionally, familial clustering of MBV infection has frequently been observed among carriers. Some would become progressive, chronic hepatitis patients, and others would no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duration of infection, type of virus, mutation of precore/core region in HBV, major histocompatibility class-I, and developing chronic liver diseases among familial HBV carriers. Methods : Chronic carrier status was identified by repeated serological tests for HBsAg at intervals of six months or more. A familial chronic carrier was defined when the disease was observed in a family member over two generations. Two families were recruited, among which a total of 20 chronic HBsAg carriers(11 carriers in No.1, and 9 in No.2 family) were identified. Data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iver disease status were collected. Identification of the HBV-DNA was successful only for 13 subjects among the 20 carriers. Analysis of viral DNA in terms of subtype, pre-core and core region mutations was carried out. The type of major histocompatibility class-1 for the 13 subjects was also analysed. Results & Conclusions : Seven of 10 chronic HBV carriers of the 1st generation and one of 10 of the 2nd generation were clinical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the others, three of the 1 st and nine of the 2nd generation, were asymptomatic carriers. This data indicates that the duration of HBV carriag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for disease severity. The subtype of HBsAg analysed using MBV-DNA identified in 13 carriers were adr, and the pattern of precore nonsense mutation in HBV-DNA was identical among family members, which meads that the same virus strains were transmitted between the family member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ecore or core mutations in HBV-DNA and the disease severity was not observed. While it was suggested that a specific type of MHC class-I may be related to disease progression.

  • PDF

Acidic Pelvic Drainage as a Predictive Factor For Anastomotic Leakage after Surgery for Patients with Rectal Cancer

  • Yang, Liu;Huang, Xin-En;Xu, Lin;Zhou, Xin;Zhou, Jian-Nong;Yu, Dong-Sheng;Li, Dong-Zheng;Guan, X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441-5447
    • /
    • 2013
  • Purpose: To demonstrate the value of sequential determinations of pelvic drainage in the identification of increased risk of anastomotic leakage (AL) after anterior resection for rectal cancer with a double stapling technique. Patient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11, data for the daily postoperative pH of pelvic drainage fluid in 753 consecutive patients with rectal cancer who initially underwent anterior resection with a double stapling technique were reviewed. All patients experienced a total mesorectal excision. Patients with anastomotic leakage (Group AL, n=57) were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leakage (Group nAL, n=696). Patients with perioperatively abdominopelvic implants that were likely to affect pH value (determined at $25^{\circ}C$) other than leakage were excluded. Mean postoperative values were compared. Results: Anastomotic leakage was noted in 57 (7.6%) of 753 patients with rectal cancer. The diagnosis of AL was made between the $6^{th}$ and $12^{th}$ postoperative day (POD; mean $8^{th}$ POD). There was no significance of the daily average values of pH on POD1 & 2 in group AL while a significantly sharp declining mean pH value reached its diagnostic point of AL (p<0.001) on POD3. A cut-off value of 6.978 on the $3^{rd}$ POD maximized the sensitivity (98.7.0%) and specificity (94.7%) in assessing the risk of leakage.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an early and persistent declining of pH value of pelvic drainage fluid after rectal surgery with anastomosis, is a marker of AL. A cut-off value of 6.798 determined at $25^{\circ}C$ on POD3 maximize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MPEG-21 터미널 (MPEG-21 Terminal)

  • 손유미;박성준;김문철;김종남;박근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10-426
    • /
    • 2003
  • MPEG-21은 디지털 객체를 디지털 아이템으로 정의하고 이를 네트워크 깡에서 생성, 변형, 전달, 소비를 위한 통합적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제공을 위한 국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적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아이템에 범용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소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통합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를 위한 요소 기술 표준으로서 MPEG-21에서는 디지털 아이템의 선언, 식별, 권리 표현 언어, 권리 서술 사전 및 적응 방법 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안전하고 투명한 디지털 아이템의 전달 및 거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표준으로서 디지털 아이템 처리, 리소스에 대한 영속 관계 기술 및 지적 자산 관리 및 보호 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EG-21의 디지털 아이템 선언, 적응 및 처리에 기반한 MPEG-21 터미널(단말) 아키텍쳐를 설계하고 MPEG-21 터미널을 구현한다. 또한 구현된 MPEG-21 터미널을 검증하기 위해 비디오 요약 서비스에 대한 응용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PC 및 PDA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각각의 MPEG-21 터미널 특성에 맞게 디지털 아이템을 가공한 후 특정 형태로 디지털 아이템을 처리하고 이를 상호 호환적 형태로 터미널에서 처리하여 소비되는 일련의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본 논문은 MPEG-21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 및 처리를 위해 디지털 아이템이 표준화 된 형태로 제안된 MPEG-21 터미널에 상호 호환적 형태로 소비될 수 있는 터미널 구조 및 구현, 그리고 실험 결과를 처음으로 제시 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만성 B형 간질환에서 간염 B virus 표식자 발현에 따른 DNA의 검출 (Detection of Serum Hepatitis B Virus DNA According to HBV Markers in Chronic Hepatitis B Liver Disease)

  • 이동준;최진수;김준환;이헌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55-167
    • /
    • 1997
  • 본 연구는,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표지자로 알려진 HBV DNA를 최근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PCR법을 사용해 검출함으로써 기존의 dot blot법과 PCR법을 비교하고,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HBV의 e항원, 항체체계에 따른 HBV DNA의 검출율을 PCR법을 이용하여 알아봄으로써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고자 무증상 HBsAg 보유자 17명(HBeAg 양성 9명, anti-HBe 양성 8명), 만성 B형 간염 환자 91명(HBeAg 양성 50명, anti-HBe 양성 41명), 간경변증 한자 57명(HBeAg 양성 21명, anti-HBe 양성 36명),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 27명(HBeAg 양성 10명, anti­HBe 양성 17명)을 대상으로 HBV DNA의 검출빈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ot blot법의 경우 HBeAg 양성인 환자군, anti-HBe 양성인 환자군에서의 HBV DNA의 검출율은 각각 58.9%, 34.3% 이었고, PCR법에 의한 검출율은 상기군에서 각각 72.2%, 53.9%였다. HBeAg 음성인군에서의 PCR법에 의한 HBV DNA 검출율은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경우 25.0%, 만성 B형 간염 환자군의 경우 61.0%, 간병변증 환자군의 경우 52.8%,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군의 경우 52.9%였다. 무증상 HBsAg 보유자에서 HBeAg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은 각각 77.8%, 25.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군에서는 HBeAg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PCR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dot blot보다 훨씬 예민하게 HBV DNA를 검출할 수 있고, HBsAg 양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대부분에서는 HBeAg 및 anti-HBe 표식자 체계와는 무관하게 바이러스의 증식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PCR법이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예후를 알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성에 대한 가능성을 의미하나 확실한 의의를 알기 위하여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