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stence of the Life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2초

모두를 위한 플랫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기반 일상 아카이브 설계 (Archival Platform for Everyone : Archival Design with Social Media Platform Based on User Experience Design)

  • 양인호
    • 기록학연구
    • /
    • 제66호
    • /
    • pp.157-201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기록의 전통적인 수집 프로세스에서 벗어나 일상기록의 수집과 소통의 방안으로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소셜 아카이브'를 제안하였다. 소셜 아카이브는 다양한 사람이 모여 소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광장'을 지향한다. '기록'을 매개체로 일상을 기록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기초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연구자와 연구자, 연구자와 생산자 등 다양한 이용자 간의 소통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일상 아카이브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창의적인 방법론',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연구자를 위한 서비스', '지속성을 위한 유지방안'으로 정리하고,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중심으로 소셜 아카이브 플랫폼으로서 소셜미디어의 가능성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를 살펴보면서 소셜 아카이브의 일부 기능을 설계하고, UX 디자인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유선상피세포 이식편으로부터 생성된 유선구조물 내의 상피간세포 지속성 연구 (Persistence of Stem-like Cells in Glandular Structures in Mammary Cell Grafts)

  • 백기주;이지현;;김남득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2-36
    • /
    • 2000
  • The mammary gland contains a subpopulation of epithelial cells with large proliferative potentials which are the likely targets for carcinogens. These clonogenic cells can proliferate and differentiate into functional glandular structures. Multicellular secretory alveolar units (AU) develop from these clonogens in grafts of monodispersed rat mammary epithelial cells (RMEC) in gland-free mammary fat pads in intact recipient F344 rats co-grafted with mammotropic hormone-secreting pituitary tumors (MtT F4). Multicellular nonsecretory ductal units (DU) develop in grafts of monodispersed RMEC in gland-free fat pads in adrenalectomized recipient WF rats co-grafted with MtT W10. However, this effect were reversed by hydrocortisone replacement therapy. RMEC were isolated from appropriate donor rats as monodispersed mixed cells or, alternatively, RNA+ cells were sorted by flow cytometry of mixed RMEC stained with FITC-RNA and PE-anti-Thy-1.1 monoclonal antibody. We grafted mixed or sorted PNA+ cells in gland-free mammary fat pads in recipient rats that were endocrinologically manipulated to induce AU or DU. Cells were also isolated from these AU or DU as mixed or sorted RNA+ cells and sub-transplanted in recipient rats treated appropriately to induce AU or DU, respectively. Cells obtained from AU in grafts gave rise to clonal AU and from DU in grafts to DU on sub-transplantation in appropriate recipients. When adrenalectomized recipient WF rats co-grafted with MtT W10 received daily subcutaneous injections of hydrocortisone for periods of 21 days following the PHA+ cell transplantation, AU, instead of DU, were developed. The histologies of these secondary AU and DU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imary AU and DU. Casein and laminin proteins were demonstrated by immunocytochemical staining of primary and secondary AU. Electron micrographs also demonstrated that AU were composed of secretory cells with milk protein in the cytoplasm. DU were composed of little or non-secretory ductal epithelial cells. These AU and DU also secreted large amounts of lipids. Clonogenic cells were more common in DU than in AU. Thus, AU and DU contain persistent subpopulations of clonogenic stem-like cells.

  • PDF

웹-기반 Tangible Space (Webized Tangible Space)

  • 고희동;서대일;유병현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77-85
    • /
    • 2017
  • 사물인터넷 기반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AR/ VR등 실감 컴퓨팅과 실제 물리 공간의 이음새 없는 하나의 인터랙션 공간을 Tangible Space라고 명하고자 한다. 이 공간에서는 물리 공간에 가상의 물체나 객체가 증강되고 몰입형 가상공간에 물리공간이 투영되고 증강된 형태로 인터랙션의 확장이 가능하다. 인터넷과 웹이 컴퓨팅 환경을 하나의 공유 인터랙션 공간으로 이어주면서 물리공간에서의 우리 삶 자체가 로깅되고 공유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인터랙션 공간을 기존 웹의 표현 기법과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Tangible Space의 웨바아징 방법론을 제안하고 개발 구현 사례를 소개하겠다. 앞으로 정보 중심의 웹에서 우리 경험을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담고 공유하는 웹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

폴리에틸렌 멀칭재배시(栽培時) 농약(農藥)의 토양(土壤) 및 작물체중(作物體中) 잔류(殘留)에 관한 연구(硏究);제(第)4보(報) 제초제(除草劑) Alachlor, Pendimethalin, Diphenamid의 잔류성(殘留性) (Studies on Persistence of Pesticides in Soils and Crops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ure;IV. Persistence of Herbicides Alachlor, Pendimethalin and Diphenamid)

  • 양환승;문영희;김낙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4-20
    • /
    • 1988
  • 폴리에틸렌필름(P.E)멀칭이 제초제(除草劑) alachlor, pendimethalin, diphenamid의 토양(土壤) 및 수확물중(收穫物中)의 잔류성(殘留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對)하여 고추, 땅콩, 참깨포장(圃場)에서 로지조건(露地條件)을 대조(對照)로 하여 조사(調査)하였다. 토양중(土壤中)에 있어서 3종제초제(種除草劑)의 로지조건(露地條件)에서의 반감기(半減期)는 alachlor의 경우 땅콩과 참깨포장(圃場)에서 $3{\sim}4$ 일(日), pendimethalin은 고추포장(圃場)에서 30일(日), diphenamid는 고추, 땅콩, 참깨포장(圃場)에서 $24{\sim}46$ 일정도(日程度)였다. 분해(分解)가 빨랐던 alachlor의 반감기(半減期)는 로지조건(露地條件)과 P.E.피복조건(被覆條件)에서 거의 차(差)가 없었다. 분해(分解)가 느렸던 pendimethalin과 diphenamid는 로지조건(露地條件)에서보다 P.E.피복조건(被覆條件)에서 각각(各各) 30일(日)과 $20{\sim}90$ 일간(日間) 더 길었다. P.E.피복(被覆)의 유무(有無)에 관계(關係)없이 pendimethalin은 최종적(最終的)으로 수확(收穫)된 고추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며 alachlor도 땅콩과 참깨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diphenamid의 땅콩중(中) 잔류량(殘留量)은 0.147ppm(투명(透明) P.E. 피복조건(被覆條件))${\sim}0.071ppm$(로지조건(露地條件))이었고, 참깨중(中) 잔류량(殘留量)은 0.022ppm(투명(透明) P.E. 피복조건(被覆條件))${\sim}0.129ppm$(로지조건(露地條件))이었는 바, 이는 양조건(兩條件)에서 잔류허용량(殘留許容量)(0.2ppm) 이하(以下)였다.

  • PDF

Chlorothalonil의 참깨 및 토양중 잔류소장에 관한 연구 (Residue Determination of Chlorothalonil in Sesame and Soil)

  • 이강봉;조일규;심재한;서용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2
    • /
    • 1990
  • Chlorothalonil의 참깨 재배중 살포횟수 및 처리시기에 따른 잔류정도와 토양에 처리한 후의 경시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hlorothalonil의 잔류분석 회수율은 참깨시료를 사용하였을 경우 0.1ppm과 1.0ppm에서 각각 평균 91.2%, 89.6%를 보였고 검출한계는 0.01ppm이었다. 토양시료에서는 0.05ppm과 0.5ppm의 처리에 대한 회수율이 각각 평균 92.8%와 95.4%이었으며 검출 한계는 0.002ppm이었다. 2. Chlorothalonil의 참깨에서의 잔류분석은 Mills등의 방법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얻을수 있었고 그 결과 수확 3일전 6회 처리는 0.06ppm, 수확 7일전 5회처리는 0.05ppm이 잔류되어 있음을 확인했으며 chlorothalonil의 참깨에 대한 안전사용은 수확 7일 전한, 5회 이내의 사용으로 추천할수 있었다. 3. Chlorothalonil의 토양에서의 잔류분석 결과 처리 0일째 평균 12.95ppm이던 잔류량이 처리후 10일째는 3.28ppm으로 감소되었고 100일이 경과한 후에는 0.03ppm만이 잔류되어 있었으며 곡선회귀식에 의한 chlorothalonil의 토양중 반감기는 8.9일 이었다.

  • PDF

상추의 생산단계별 Chlorpyrifos 및 Procymidone의 잔류허용기준 설정 (Persistence and Dislodgeable Residues of Chlorpyrifos and Procymidone in Lettuce Leaves under Greenhouse Condition)

  • 김영숙;박주황;박종우;이영득;이규승;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9-155
    • /
    • 2002
  • 상추의 생산단계에서의 잔류허용기준 설정과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안전성 평가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상추수확물에서의 잔류수준과 검출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살충제 chlorpyrifos 및 살균제 procymidone의 포장상태에서의 생물학적 반감기, 보관상태에 따른 잔류량 변화 그리고 세척형태에 따른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시설재배포장에서 상추중두 약제의 살포농도별 생물학적 반감기를 측정한 결과 기준량 살포의 경우 chlorpyrifos 1.2일 및 procymidone 1.3일 배량살포의 경우에는 chlorpyrifos 1.5일 및 procymidone 2.6일로 나타났다. 유통과정중에서 일어날 수 있는 두 가지 농약의 잔류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온(20$^{\circ}C$) 및 냉장(4$^{\circ}C$) 상태로 보관하면서 두 약제의 잔류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반감기는 실온저장시 chlorpyrifos 3.8일, procymidone 20.9일이었고, 냉장저장시에는 chlorpyrifos 12.4일 procymidone 20.9일로 나타나 두 약제 모두 실온저장보다 냉장저장시 잔류량의 감소가 훨씬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방법에 의한 잔류농약의 감소량을 조사한 결과 세제 사용시의 평균 제거율은 chlorpyrifos 48.3%, procymidone 52.6%로 나타났고, 물 사용 시에는 chlorpyrifos 31.3%, procymidone 38.1%로 나타났다.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층의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연다색풍뎅이(Phyllopertha diversa) 유충에 대한 병원성과 골프장에서 지속성 (Pathogenicity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on Larva of Popillia quadriguttata, Ectinohoplia rufipes and Phyllopertha diversa (Coleoptera: Rutelidae) and Persistence in Golf Courses)

  • 최우근;하판정;이상명;추호렬;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7-116
    • /
    • 2006
  •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의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및 연다색풍뎅이(Phyllopertha diversa)에 대한 병원성을 실내에서 검정하였으며 아울러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을 이용하여 굼벵이 방제효과와 지속성을 조사하였다. 실내실험 결과 녹색콩풍뎅이 3령충에 대하여 H. bacteriophora Hamyang 계통은 95%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며 주황긴다리풍뎅이 3령충에 대해서도 H. bacteriophora Hamyang 계통과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이 80% 이상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연다색풍뎅이는 병원성이 가장 높은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 처리 시에도 60%의 치사율을 보였다. 골프장에서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을 $2.24{\times}10^9$ Ijs $ha^{-1}$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굼벵이의 밀도는 39%까지 감소되었고, 골프장 페어웨이에서 지속성은 $5{\sim}10$ cm 깊이의 토양에서 두 달까지 지속되었으나 $0{\sim}5$ cm 깊이에서는 치사되는 미끼곤충(꿀벌부채명나방)이 없어 지속성이 낮았다.

이모작(二毛作) 답(畓)에서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이 보릿짚 분해(分解)와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mount of Nitrogen Application on Decomposition of Barley Straw and Growth & Yield of Rice in Paddy Field of Double Cropping)

  • 유철현;양창휴;이상복;강승원;한상수;김성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7-174
    • /
    • 2000
  • 본 연구는 2년간('97~'98) 벼 2모작 재배시 질소시용량별 보릿짚의 분해정도(分解程度)와 벼 생육(生育) 및 수량성(收量性) 변이(變異)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북통(全北統)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릿짚의 탄소잔존률(炭素殘存率)은 질소시 용량이 많을수록 적어졌으나 질소잔존률(窒素殘存率)은 증가하였고 C/N율(率)은 낮아졌다. 보릿짚시용시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은 방사선(放線菌)>셀룰로오스분해균(分解菌)>세균(細菌)>사상균(絲狀菌) 순으로 많았다. 보릿짚시용에 의한 질소기아현상(窒素飢餓現象)은 분얼기(分蘖期)에 나타났으나 질소 $144kg\;ha^{-1}$시용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보릿짚시용으로 초장(草長), 간장(稈長), 수장(穗長)이 짧아졌으나 질소 $103kg\;ha^{-1}$ 시용구에서는 보릿짚무시용과 큰차이가 없었다. 보릿짚시용시 쌀수량(收量)은 질소 $108kg\;ha^{-1}$ 시용구에서 보릿짚무시용구와 같았으며 질소 90, $144kg\;ha^{-1}$ 시용구에서는 보릿짚무시용구(無施用區) 대비(對比) 감소폭(減少幅)이 컸다.

  • PDF

Acute and repeated dose 26-week oral toxicity study of 20(S)-ginsenoside Rg3 in Kunming mice and Sprague-Dawley rats

  • Li, Chunmei;Wang, Zhezhe;Li, Guisheng;Wang, Zhenhua;Yang, Jianrong;Li, Yanshen;Wang, Hongtao;Jin, Haizhu;Qiao, Junhua;Wang, Hongbo;Tian, Jingwei;Lee, Albert W.;Gao, Yongl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222-228
    • /
    • 2020
  • Background: 20(S)-ginsenoside-Rg3 (C42H72O13), a natural triterpenoid saponin, is extracted from red ginseng. The increasing use of 20(S)-ginsenoside Rg3 has raised product safety concerns. Methods: In acute toxicity, 20(S)-ginsenoside Rg3 was singly and orally administrated to Kunming mice and Sprague-Dawley (SD) rats at the maximum doses of 1600 mg/kg and 800 mg/kg, respectively. In the 26-week toxicity study, we used repeated oral administration of 20(S)-ginsenoside Rg3 in SD rats over 26 weeks at doses of 0, 20, 60, or 180 mg/kg. Moreover, a 4-week recovery period was scheduled to observe the persistence, delayed occurrence, and reversibility of toxic effects. Results: The result of acute toxicity shows that oral administration of 20(S)-ginsenoside Rg3 to mice and rats did not induce mortality or toxicity up to 1600 and 800 mg/kg, respectively. During a 26-week administration period and a 4-week withdrawal period (recovery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signs, body weight, food consumption, urinalysis parameters, biochemical and hematological values, or histopathological findings. Conclusion: The mean oral lethal dose (LD50) of 20(S)-ginsenoside Rg3, in acute toxicity, is above 1600 mg/kg and 800 mg/kg in mice and rats, respectively. In a repeated-dose 26-week oral toxicity study,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for female and male SD rats was 180 mg/kg.

한국 소아에서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기초 예방 접종 후 항체 지속과 추가 접종에 대한 반응 (Antibody persistence after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primary vaccination and response to boosters in Korean children)

  • 이현주;박소은;임수영;최경민;이환종;김경효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5호
    • /
    • pp.449-456
    • /
    • 2007
  • 목 적 : 우리나라에서 Hib 백신을 기본 예방접종에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Hib 질환의 역학, 우리나라 소아의 Hib 백신에 대한 면역 반응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아에서 면역원성에 근거한 추가접종의 필요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6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동대문 병원, 강남 차병원, 관동대 명지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위해 혈액 채취의 기회가 있었던 12-23개월 사이의 소아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리된 혈청으로 항 PRP 항체가를 효소면역법으로 측정하였고, 혈청 살균 능력 측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추가접종까지 완료한 군의 항 PRP 항체의 기하평균은 기초접종을 완료한 군이나 접종하지 않은 군의 기하평균보다 높았다(P<0.05). 항 PRP 항체가가 $1.0{\mu}g/mL$ 이상인 비율은 추가접종까지 완료한 군은 96.5%로 다른 세 군에 비해, 기초접종을 완료한 군은 68.6%로 접종하지 않은 군의 30.0%에 비해 양성률이 높았다(P<0.05). 평균 살균 역가는 추가접종까지 완료한 군이 11,205로 기초접종을 완료한 군의 3,946보다 높았다(P<0.05). 항 PRP 항체가와 살균 역가는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R=0.60). 결 론 : 우리나라 소아는 Hib 백신의 기초 접종 후 12-23개월의 나이에 많은 경우에서 방어 농도 이상의 항체가를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추가접종에 대한 면역 기억 반응도 좋아 추가 접종 받은 소아의 항체가는 받지 않은 소아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 우리나라에 Hib 백신의 도입과 접종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