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mmon Classifica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혼합 2단계 합성 신경망을 이용한 단감 분류 (Sweet Persimmons Classification based on a Mixed Two-Step Synthetic Neural Network)

  • 노승희;박동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358-1368
    • /
    • 2021
  • A research on agricultural automation is a main issues to overcome the shortage of labor in Korea. A sweet persimmon farmers need much time and labors for classifying profitable sweet persimmon and ill profitable produc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ixed two-step synthetic neural network model for efficiently classifying sweet persimmon images. In this model, we suggested a surface direction classification model and a quality screening model which constructed from image data sets. Also we studied Class Activation Mapping(CAM) for visualization to easily inspect the quality of the classified products. The proposed mixed two-step model showed high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imple binary classification model and the multi-class classification model, and it wa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weak parts of the classification in a dataset.

객체 탐지 기법과 기계학습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단감 등급 선별 알고리즘 (A Sweet Persimmon Grading Algorithm using Object Detection Techniques and Machine Learning Libraries)

  • 노승희;강은영;박동규;강영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769-782
    • /
    • 2022
  • A study on agricultural automation became more important. In Korea, sweet persimmon farmers spend a lot of time and effort on classifying profitable persimm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an efficient grading algorithm for persimmons before shipment. We gathered more than 1,750 images of persimmons, and the images were graded and labeled for classifications purpose. Our main algorithm is based on EfficientDet object detection model but we implemented more exquisite method for better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the precision of classification, we adopted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which was proposed by PyCaret machine learning workflow generation library. Finally we acquired an improved classification model with the accuracy score of 81%.

초위성 마커를 이용한 감(Diospyros kaki Thunb.)의 유연관계 분석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among Persimmon Cultivars (Diospyros kaki Thunb.)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황지현;박여옥;김성철;이용재;강점순;최영환;손병구;박영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32-638
    • /
    • 2010
  • 총 20개의 감 SSR primer set을 사용하여 완전단감(PCNA) 12품종, 불완전단감(PVNA) 13품종, 불완전 떫은감(PVA) 15품종, 완전 떫은감(PCA) 8품종 등, 총 48개 유전자원의 유전적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획득된 114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UPGMA 방식으로 유사도 및 집괴분석을 수행한 결과 48개 품종들은 크게 2개의 그룹(cluster)으로 나뉘어졌으며, 제 1 cluster는 다시 4개의 subcluster를 형성하였다. 이는 탈삽의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한 품종군과 대체로 일치 함을 알 수 있고, 품종군간의 유연관계에 있어서는 완전단감군은 불완전 단감군과, 그리고 완전 떫은감은 불완전 떫은감군과 유연관계가 더욱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평균 유사도의 값은 0.499였고 품종간 가장 높은 유사도 값(0.954)를 나타낸 것은 '청도반시'와 '함안반시'였고, 가장 낮은 유사도 값(0.192)를 나타낸 것은 '대마반'과 '애탕'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2SSR primer 들은 유럽 감품종으로부터 개발되어 보고되었지만, 일본 및 국내 품종의 연구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고, 이들 마커들을 통해, 48개 품종 중 청도반시(Cheongdo-Bansi)와 경산반시(Gyeongsan-Bansi)를 제외한 모든 품종간 구별이 가능하였다. 이는 향후 신품종 개발시 품종보호를 위한 품종 특이적 마커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과수, 전작물 및 잡초의 노린재에 관한 국내 연구 현황 (Review on True Bugs Infesting Tree Fruits, Upland Crops, and Weeds in Korea)

  • 강창훈;허혜순;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9-277
    • /
    • 2003
  • 최근 들어 벼, 田作物, 과수 등에서 노린재류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 이루어진 연구내용을 조사$.$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우리 나라에서 출판되는 각종 학술지에 게재되어 있는 벼를 제외한 작물, 과수, 잡초를 가해하는 노린재류에 관한 논문을 수집하여 분야별(\circled1 분류 및 형태, \circled2 발육과 성장, \circled3 곤충상, \circled4 피해수준, \circled5 발생소장, \circled6 방제, \circled7식물병 매개)로 정리하였다. \circled1에서는 한국산 노린재류의 종류와 명아주노린재과에 속하는 Piesma spp.의 난과 약충의 형태, 억새노린재의 외부생식기의 형태, 홍줄노린재와 주둥이노린재의수정방의 형태에 관한 연구를 간략히 정리하였다. \circled2에서는 명아주노린재, 장수허리노런재, 큰허리노린재의 온도별 발육과 성장분석에 대한 보고를 요약하였다. \circled3에서는 콩, 단감, 유자, 감귤, 포도, 국화, 백하수오 등의 작물과 참쑥, 망초 등의 잡초에 발생하는 노린재류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고, 계룡산과 경기도 수원시 여기산 지역의 노린재류 상에 관한 조사보고를 소개하였다. \circled4에서는 콩, 단감, 유자, 포도 등에서 노린재류에 의한 피해정도를 정리하였고, \circled5는 단감원에 발생하는 노린재류, 국화의 주요 해충인 애긴노린재,한약재인 백하수오에 발생하는 십자무의긴노린재, 콩 포장에 발생하는 수종의 노린재류의 발생소장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였다. \circled6에서는 단감원, 포도원 및 콩밭에서 실시한 약제방제 효과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였으며, 몇 가지 살충제의 실내 생물검정에 대한 논문도 정리하였다. \circled7마지막으로 오동나무빗자루병의 병원체인 micoplasma-like organism이 썩덩나무노린재와 담배장님노린재에 의해서 일일초로 전파된다는 논문을 소개하였다.

금기식(禁忌食)이 식생활(食生活) 양식(樣式)에 미치는 영향(影響) 및 의의연구(意義硏究) (A Study on Effect and Significance of Food Taboo on Korean Food Life Style)

  • 박모라;황춘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45-258
    • /
    • 1988
  • A food life style itself is substrative relations with culture, and is concerned with our daily life. Especially a food taboo comes from the intelligence which resulted from an ancestor's life experience. Accordingly, we can say a food taboo began with human appearance, settled in convention of folklore society, and forms it's own boundary todays. Since a practice of a food taboo is combinded firmly with various sociological factors such as religion, custom, and so on, it is very hard to change, even though the belife of a food taboo is not true.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significant factors effecting on a practice of a food taboo was a level of age, a level of education, religion, family pattern, behavior of subject and her mother for food life management, education of subject and her mother, and religion of subject and her mother. Second, in analysis of factor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food taboo a practice of a food taboo which classified to food of animal, food of plant and the other fo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ing religion of subject with her mother. Third, a result examined practice frequency and review of science, non science indicated that foods such as Egg of Globefish, Lettuce, Coffee, Persimmon, dried Persimmon, Soybean and Sugar are tabooed on the basis of science, and foods such as Vinegary food, Thieved food, Soup of Tangle and Dogmeat tabooed on the basis of non science. But in the case of Puja, it's basis of science is not identified. These food taboos are tabooed by more then 50% of subjects including who answerd 'there is some case to practice it' Therefore, we should continue analysis of science for the reason of a food taboo, at the same time, provide the origin and try to have a rational food life.

  • PDF

과일류의 명칭 및 분류: 국내와 코덱스 비교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Fruit Commodities in South Korea and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 이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2-167
    • /
    • 2018
  • 본 연구는 과일류의 국내 명칭에 상응하는 코덱스 명칭과 코드번호, 그리고 변경 또는 검토가 요구되는 국내 명칭과 분류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 명칭과 분류에 대해서는 식품공전과 식품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발간물을 그리고 코덱스에 대해서는 'Codex Classification of Foods and Animal Feeds'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구기자, 무화과, 석류, 오미자에 대한 분류가 국내와 코덱스가 다르므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 감귤, 구기자, 금귤, 나무딸기, 대추, 대추야자, 리치, 매실, 머루, 모과, 복분자, 산딸기, 산수유, 앵두, 오미자, 유자, 으름, 자두, 코코넛, 키위, 탱자의 경우 국문 또는 영명을 국내에서 조차 달리 사용하고 있거나 코덱스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들 식품 명칭에 대한 개정이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숭아의 경우 천도복숭아를 포함하는 지가 명확하지 않고 라즈베리와 나무딸기 둘 모두가 국내 영명이 Raspberry 이므로 이들 식품 명칭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주(尙州)의 자연지리 (Physical Geography of Sangju, Korea)

  • 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81-294
    • /
    • 2002
  • 인간은 그들의 문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독특한 문화경관을 만들어낸다. 본 연구는 상주 지방에 분포하는 문화경관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주시역을 자연적인 지표(지세 및 수계)예 따라 구분한 후 인문적인 지표(조선시대의 행정구역, 방언, 정기시장권역)로서 고찰하여 6개 소지역을 설정하였다. (1) 낙양지역은 병성천과 동천 주변의 충적지와 사벌의 구릉지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중심지역이며 (2) 낙동지역은 낙동강의 수운과 영남대로의 육로가 교차하는 교통 중심지역이고 (3) 병성천 상류지역은 낙양지역에서 이어지는 농협지역이며 (4) 중모 지역은 산간분지의 독특한 기후를 기반으로 포도재배가 성한 지역이고 (5) 화령 지역은 속리산지, 용유계곡의 수려한 경치와 견훤 유적을 기반으로 한 산악관광지역이며 (6) 함녕지역은 삼백(명주, 곶감, 쌀)이 풍부한 고령가야 지역이다.

  • PDF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년, 2011년) 자료를 이용한 뇌졸중 유병 경험자들의 과일 및 채소 섭취 관련 요인 분석 (Factors Associated with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f Subjects Having a History of Stroke: Using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2011))

  • 김성제;최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68-478
    • /
    • 2014
  • Objectives: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stroke attack.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status of consuming fruits and vegetables and to find out which factors may influence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in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stroke. Methods: The data of 208 subjects from 5th (2010,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who reported a stroke diagnosis was used for analysis. To identify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 classification-tree analysis was carried out. Results: Among those who reported a stroke diagnosis, the frequencies of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influenced by their age, place of residence (urban or rural), economic statu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number of family members, frequency of eating out, and having meals (breakfast or lunch) with family members. Two factors from fruits and three factors from vegetables were genera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es. Urban residents ate fruits and vegetables more frequently in all factors than rural residents. Eating frequencies of 'seasonal fruits (orange, apple, strawberry, melon, pear and watermelon)', 'easily-accessible fruits (persimmon, tangerine, grape, peach, banana)', and 'Western-style vegetables (cabbage, mushroom, carrot, tomato, spinach)' were influenced by the socioeconomic status. Eating frequencies of 'Korean-style vegetables (bean sprout, radish leaves, pumpkin/squash, sea weed)', 'preserved vegetables (Korean cabbage, radish, laver, cucumber)' were influenced by having breakfast with family membe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by eating more fruits and vegetables, more preventive effects against secondary stroke attack are expected in stroke patients who live in the rural areas and who do not eat breakfast with family members. In addition, more outreach and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for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