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anent Lesion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2초

감압술을 이용한 치성 낭종의 치료 (TREATMENT OF ODONTOGENIC CYST USING DECOMPRESSION)

  • 최병재;서문선;김성오;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18-422
    • /
    • 2002
  • 낭종이란 액체 또는 반유동액 물질을 함유하는 병적인 상피로 둘러싸인 공동을 말하며 악골에 발생하는 치성 낭종은 치배, 치관의 잔존 법랑상피, Malassez의 상피잔사 및 구강상피의 기저세포층에서 기원한 낭종을 말한다. 이러한 낭종 발생시 적출술, 조대술, 감압술 및 외과적 절제술의 방법으로 치료가능하며 이는 낭종의 특성, 크기, 주변조직과의 관계, 환자의 나이와 성별 및 협조도와 전암 여부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게 된다. 본 증례는 미성숙 영구치가 매복되어 치성 낭종이 발생한 환아에서 감압술을 이용하여 낭종이 제거되고 골조직으로 치유되었으며 매복되었던 영구치가 맹출하였고 낭종이 재발되지 않아 양호한 결과를 얻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어린이의 악골에 발생한 $Garr{\grave{e}}'s$ osteomyelitis ([ $GARR{\grave{e}}'s$ ] OSTEOMYELITIS IN CHILDREN)

  • 김신;정태성;김홍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3-538
    • /
    • 1998
  • [ $Garr{\grave{e}}'s$ ] osteomyelitis is a chronic form of osteomyelitis in which periosteum is thickened with peripheral reactive bone formation. Carl $Garr{\grave{e}}$ first reported localized periosteal thickening as a response to mild stimuli. In dental literatures, Pell et al. first reported $Garr{\grave{e}}'s$ osteomyelitis in jaws. This disease frequent occurs in youngsters and usually in mandible. It usually results in hard swelling over the jaws with little or no pain. Palpation reveals a localized bony swelling lesion. In radiographic findings, it usually reveals laminated periosteal thickening on lesion. The treatment of $Garr{\grave{e}}'s$ osteomyelitis usually consists of elimination of the sources of infection, i.e., either extraction of an infected teeth or root canal therapy. Two children were admitted with the chief complaint of intraoral swelling on lower deciduous molar areas which was diagnosed as $Garr{\grave{e}}'s$ osteomyelitis. The root canal therapy and antibiotic therapy were performed and prognosis was checked. From these case studies, som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With the aid of root canal therapy and antibiotic administration, the size of periapical lesions was reduced, the mandible with bony swelling recovered its normal shapes radiographically, and the permanent tooth germs resumed sound development.

  • PDF

QLF-D를 활용한 국내 시판 불소 바니쉬의 재광화 효과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mineralizing Effect of Domestically Sold Fluoride Varnish Using QLF-D)

  • 곽민서;이수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89-9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임상에서 불소 바니쉬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정보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 사용하는 모든 불소 바니쉬를 선정하여 초기우식병소의 재광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7종의 불소 바니쉬를 무작위 배분하여 영구치(56)는 7종(CS, MI, CW, VV, EP, FP, FN)을, 유치(20)는 그중 CS, MI, CW, FP를 사용하였다. 시편은 네일바니쉬로 $3{\times}3mm^2$ 윈도우 형성 후 4일간 탈회시키고, 영구치와 유치로 구분하여 불소 바니쉬 도포 후 1주간 인공타액에서 교반하였다. QLF-D을 이용하여 우식 병소크기 변화를 분석한 결과, 영구치에서 바니쉬 도포전에 비해 도포 후 CS(4,64), MI(4.86), CW(4.50), EP(5.50)바니쉬가 ${\Delta}F$값이 감소하였고, 유치에서 FP(3.00), MI(3.00)바니쉬에서 재광화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MI바니쉬는 치과임상에서 성인과 아동 모두에게 우식예방을 위한 불소도포 제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 and plasticity of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 following permanent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 Cho, Kyung-Ok;Kim, Seul-Ki;Kim, Seong Y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6호
    • /
    • pp.643-650
    • /
    • 2017
  • Vascular dementia (VaD) is a group of heterogeneous diseases with the common feature of cerebral hypoperfusion. To identify key factors contributing to VaD pathophysiology, we performed a detailed comparison of Wistar and Sprague-Dawley (SD) rats subjected to permanent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BCCAo). Eight-week old male Wistar and SD rats underwent BCCAo, followed by a reference memory test using a five-radial arm maze with tactile cues. Continuous monitoring of cerebral blood flow (CBF) was performed with a laser Doppler perfusion imaging (LDPI) system. A separate cohort of animals was sacrificed for evaluation of the brain vasculature and white matter damage after BCCAo. We found reference memory impairment in Wistar rats, but not in SD rats. Moreover, our LDPI system revealed that Wistar rats had significant hypoperfusion in the brain region supplied by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 (PCA). Furthermore, Wistar rats showed more profound CBF reduction in the forebrain region than did SD rats. Post-mortem analysis of brain vasculature demonstrated greater PCA plasticity at all time points after BCCAo in Wistar rats. Finally, we confirmed white matter rarefaction that was only observed in Wistar rats. Our studies show a comprehensive and dynamic CBF status after BCCAo in Wistar rats in addition to severe PCA dolichoectasia, which correlated well with white matter lesion and memory decline.

유기산 완충용액의 불소농도가 상아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FLUORIDE CONCENTRATION OF ACIDULATED BUFFER SOLUTIONS ON DENTINE REMINERALIZATION)

  • 한원섭;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6호
    • /
    • pp.526-536
    • /
    • 2009
  • 상아질의 재광화에 적당한 불소농도에 대하여는 서로 다른 주장이 존재하므로 불소가 병소 내 무기질의 분포와 수산화인회석 결정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치아절편을 유산완충 탈회용액에 넣어 인공 치아우식을 형성한 후, 재광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불소농도가 각각 1, 2, 4 ppm인 유산완충 재광화용액에서 7일간 유지시켰다. 우식 진행과 재광화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탈회 2일, 재광화 7일 등 총 9일간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수산화인회석결정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서는 정상상아질, 탈회 2일군, 재광화 7일군의 파절시편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병소상부의 무기질침착과 병소하부의 무기질소실이 동시에 일어났다. 2. 불소농도가 증가하면 우식 병소의 무기질침착이 증가하였다. 3. 수산화인회석결정이 커졌다. 본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상아질의 우식과 재광화과정이 단순히 탈회 또는 재광화만이 독립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이 아니고 이 두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는 동력학적인 과정이다. 또한 불소농도의 증가와 함께 재광화 양상도 증가하였고, 이러한 재광화는 유기기질망 주위의 수산화인회석결정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pH 5.5에서 유기산 완충용액의 포화도 변화에 따른 법랑질의 재광화 양상 (THE REMINERALIZATION ASPECT OF ENAMEL ACCORDING TO CHANGE OF THE DEGREE OF SATURATION OF THE ORGANIC ACID BUFFERING SOLUTION IN pH 5.5)

  • 박진성;박성호;박정원;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2호
    • /
    • pp.96-10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lactic acid를 이용하여 인공 탈회용액을 제조하여 우식이 없는 치아로 시편을 만들고 법랑질 부위에 인공 우식 병소를 생성 시키고 유기산 농도 0.01 M, pH 5.5로 고정한 상태에서 유기산 완충용액의 포화도를 달리하여(0.507, 0.394, 0.301, 0.251) 재광화를 시키고 편광 현미경하에서 관찰 및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상에서 탈회 깊이의 변화, 우식 표면층 폭의 변화, 무기질의 양적 변화를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 통계 분석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재광화 전에 비하여 재광화 후 모든 군에서 10-30% 재광화 양이 증가 하였다. 2. 재광화 후 4군에서는 우식 표면층과 심부 모두에서 재광화가 일어나는 양상이 나타난 반면 1군에서는 심부 보다 우식 표면층 부위의 재광화가 더 일어난 양상이 관찰되었다. 3. 재광화 후 시편의 탈회된 깊이의 변화는 탈회시킨 후와 비교할 때 모든 군에서 유의할만한 변화는 없었으며 군간의 통계적 유의차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유기산 0.01 M, pH 5.5로 고정한 상태에서 포화도가 가장 낮았던 군(0.251)에서는 우식 표면층에서 심부까지 재광화가 일어난 반면, 포화도가 가장 높았던 군(0.507)에서는 우식 표면층에서 재광화가 주로 일어났다.

Formocresol에 의한 치조골 괴사의 치험례 (NECROSIS OF ALVEOLAR BONE BY FORMOCRESOL : CASE REPORT)

  • 박철홍;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57-661
    • /
    • 2005
  • 유치의 치수절단술에 사용되는 약제로는 formocresol, ferric sulfate, 수산화칼슘 등이 있다. 그 중에서 formocresol은 치수조직의 고정능력과 높은 임상적 성공을 보임으로써 아직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자체독성이 매우 강하여 영구 계승치 치배의 변위나 결손, 법랑질 형성부전, 전신 흡수로 인한 돌연변이 가능성과 암유발 가능성 역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formocresol의 근관내 적용시 불완전한 임시충전에 의한 미세누출로 주위 치은과 치조골의 괴사를 야기한 보고가 있으며 과잉의 formocresol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치조골의 괴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증례는 개인치과에서 formocresol을 이용한 치수치료를 받은 후 지속되는 동통으로 인해 상악 좌측 제 2유구치를 발거하였으나,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 본원에 의뢰되었다. 환아는 8세 남아로 심한 구취 및 계승 영구치 치관 주위로 환형의 치조골 괴사를 보여 부골절제술을 시행하고 1년 7개월간 관찰을 하였을 때 정상적인 치근 성장은 이루어졌으나 결손된 치조골 및 부착치은의 완전한 조직재생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Formocresol에 의한 치주조직에 대한 부작용은 비가역적이므로 formocresol의 사용에 있어 적응증 여부를 잘 판단해야 하며, 철저한 임시 가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PDF

치근단 병변이 있는 미성숙 영구치에서 Platelet-rich fibrin(PRF)를 이용한 보존적 근관치료 (REGENERATIVE ENDODONTIC TREATMENT OF IMMATURE PERMANENT TEETH BY USING PLATELET-RICH FIBRIN)

  • 김하나;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4-180
    • /
    • 2012
  • 성장 중인 아동에서는 치근의 성장이 계속됨에 따라 치수가 괴사되어 치근의 병변이 있는 미성숙 영구치에서도 치수의 재혈관화가 실제로 일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 되고 있다. 치수의 재혈관화를 위해서는 근관 내의 감염의 조절과 함께 적절한 scaffold가 필요하며, platelet-rich plasma(PRP)가 이상적인 scaffold로 제시되었다. 최근 임상에서는 PRP의 단점을 극복한 platelet-rich fibrin(PRF)가 응용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치외치의 교두 파절로 인한 치수 감염으로 치근단 병변을 가진 미성숙 영구치의 근관 내에 ciprofloxacin, metronidazole, minocycline의 세 가지 항생제 적용 후 이와 함께 PRF를 적용하였다. 정기적인 검진 결과 치근단 병변의 치유와 함께 치근 성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보존적인 근관 치료는 미성숙 영구치에서 치근단 형성술의 대안적인 치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장기간의 임상적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법랑모세포섬유종에 의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 (ERUPTION DISTURBANCE OF THE LOWER LEFT FIRST PERMANENT MOLAR CAUSED BY AMELOBLASTIC FIBROMA)

  • 김승혜;송제선;손흥규;최형준;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2-108
    • /
    • 2010
  • 매복이란 맹출로 상에 물리적 장애물이 있거나, 치아의 비정상적 위치, 또는 공간 부족 등으로 인해 맹출이 정지되는 경우이다. 이는 과잉치, 치성 종양, 또는 낭성 병소의 존재와 연관되어 나타나기도 하는데, 법랑모세포섬유종은 이러한 매복을 일으킬 수 있는 치성 종양의 한 종류이다. 법랑모세포섬유종은 많은 경우 미맹출 치아나 매복치와 연관되어 나타나며, 병소의 크기 및 양상, 그리고 환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보존적 절제술(conservative resection) 또는 완전 절제술(block resection)을 시행한다. 본 증례는 하악 좌측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외과적 노출술 및 변형된 halterman 장치를 사용한 교정적 견인을 통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매복의 원인이었던 법랑모세포섬유종의 비교적 높은 재발률 및 악성 전환 가능성을 고려하여 추후 장기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풍 환자의 배뇨장애에 대한 구료법의 효과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Moxibustion for Post-stroke Voiding Dysfunction)

  • 강경숙;정은정;문상관;고창남;조기호;김영석;배형섭;이경섭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6-241
    • /
    • 2000
  • Background and Purpose : Cerebrovascular accident is a serious neurologic event. It can have temporary or permanent effects on survivors, including memory, cognition and volitional control of voi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 of moxibustion in patients with voiding dysfunction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Methods : Twenty patients with post-stroke voiding dysfunction were studied. All patients had computerized tomography(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to localize the les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control and moxibustion group. Ten of twenty patients underwent moxibustion treatment by randomization. The moxibustion group receieved moxibustion at three points : Chung-guk (Conception Vessel CV3), Kuanwon (CV4) Kihae (CV6). Residual urine volume evaluation was undertaken in all patients. Results : 1. IIn the balanced bladder time, the moxibustion group had the shorter time than non moxibustion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iant difference between the moxibustion group and non-moxibustion group. 2. In the residual urine volume, the moxibustion group and non-moxibustion group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ut there was no significiant difference between the moxibustion group and non-moxibustion group. Conclusions : Though further study is needed, our findings suggested that the time of achieving balanced voiding was shorter with moxibustion than in the control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