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kinsus sp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45초

Report on the Occurrence of Perkinsus sp. in the Manila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rean

  • Choi, Kwang-Sik;Park, Kyung-Il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7-237
    • /
    • 1997
  • Five species of intertidal clams including Ruditapes philippinarum, Tegillarca granosa, Solen strictus, Heteromacoma irus, and Coecella chinensis were tested for the presence of the protozoan parasite, Perkinsus sp. using fluid thioglycollate medium (FTM) fortified with antibiotics and histological techniques. Each individual clam was placed in a test tube filled with 10ml FTM, placed in totally dark place, and incubated over a week. After incubation the clam tissues were stained with Lugol's iodine solution and examined under a light microscope to find out any hypnospores of Perkensus sp. in the tissues. Cross-sections of the clams were also embedded in paraffin, sliced to 3um, and stained with Harry's hematoxylene and Picro eosine to observe the presence of tomont or trophozoites. Perkinsus sp. were found in the presence of tomont or trophozoites. Perkinsus sp. were found in the tissues of R. philippinarum collected from Kangjin and Wando, along the south coast of Korea. However, Perkinsus sp. was not found in four other species of clams nor R. philippinaurm collected from Kimnyong and Waido in Cheju. A size-dependent Perkinsus sp. infection was found in R. philippinarum collected rom Kangjin and Wando the clams smaller than 15mm in shell width do not exhibit and Perkinsus sp. while other clams greater than 20mm in shell width exhibit almost 100% infection. To determine the number of Perkinsus sp. in the clams, FTM cultured clam tissues were digested with 2M NaOH solution and the number of hypnospores in the tube were counted. The number of hypnospores counted from the tissues indicated that each Manila clam contains 100,000 to 3,500,000 Perkinsus cells or 20,000 to 1,000,000 cells per gram tissue wet weight. The results of cell counts also suggests that such a high occurrence of Perkinsus sp. in the clam may cause mortality, as already reported from other studies of Perkinsus spp.

  • PDF

Study on the monthly changes of Perkinsus infection in Komsoe Bay, Chullabukdo, Korea

  • Park, Kwang-Sik;Park, Kyung-Il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05-505
    • /
    • 2000
  • Perkinsus sp. has been identified as responsible organism for the decrease in Manil clam production along the west and south coast of Korea. Monthly investigation on infection intensity and pathology of Perkinsus infected Manila clam population was carried out in Komsoe Bay located in the west coast during February and December 1999. About one hundred clams were collected each month for the analysis. Infected clams were incubated in fluid thioglycollate media over a week, stained with iodine solution, digested with 2M NaOH and the number of Perkinsus present in an individual recorded. Histological slides were also prepared from infected clams and their pathologic symptoms were examined using a microscope. Trophozoites of Perkinsus sp. were dominantly distributed on gills and epithelia of digestive glands however a few numbers could be detected at siphons and foot tissues. Heavily infected clams often exhibited white spots on mantle and foot tissues due to the inflammatory reaction of the hemocytes, forming nodules. Trophozoites were also found along the connective tissues of follicles during spawning season indicating that Perkinsus sp. may disturb reproduction of the clam. Total number of Perkinsus sp. in an individual clam varied from none to 9, 550, 000 with a monthly mean of 279, 663 to 2, 198, 558 during the course of study. The number of Perkinsus sp. in the clam was found to lowest durin July and August when unusually low salinity was recorded in this area due to the heavy rain. Highest monthly infection intensity in terms of total number of Perkinsus sp. i clam was observed in February, when water temperature recorded as lowest during the study. Small size of clams with shell length of ten mm or less were not infected with Perkinsus sp. It was concluded that Perkinsus infection in Manila clam is in pa controlled by changes in salinity and clam growth; low salinity environment minimize infection intensity while tile clams get more Perkinsus as they grow.

  • PDF

서해안 양식 바지락에 발생한 Perkinsus sp. 감염증과 신속검출 (Infection and Rapid Detection of Perkinsus sp. In Cultured Babyneck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Western Coast of Korea)

  • 최동림;권정노;박성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9-76
    • /
    • 1998
  • 매년 폐사가 발생해 온 서해안 연안의 고창과 태안에서 채집한 양식 바지락에서 복합포자충류인 Perkinsus sp.가 관찰되었다. 기생충에 감염된 바지락은 육안적으로 아가미와 육질의 표면에서 유백색의 결절이 나타났다. 기생충의 영양체는 편재된 핵을 가지고 있으며, 아가미와 외투막, 간 췌장, 생식소 조직에서 이분열에 의해 증식하며, 육아종의 형성과 혈구의 침윤을 유발하였다. 감염된 바지락을 FTM에 배양한 결과 영양체의 크기가 커지면서 루골용액에 의해 검게 염색된 구형의 유주자낭들 형성하였다. Perkinsus sp.의 평균 감염율은 9개월의 조사 기간 동안 고창이 73.1%, 태안이 94.8%로 나타났으며, 감염율은 각장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emacolor kit는 바지락의 대량폐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Perkinsus sp.의 영양체의 신속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iagnosis, Pathology, and Taxonomy of Perkinsus sp. Isolated from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rea

  • Choi, Kwang-Sik;Park, Kyung-Il;Cho, Moon-Jae;Soudant, Philippe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7-214
    • /
    • 2005
  • We report on the diagnosis, pathology, and taxonomy of Perkinsus sp. infection in Manila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Korean waters. Amplimers were designed from internal portions of the non-transcribed spacer (NTS) of P. atlanticus for molecular diagnosis of Perkinsus infection. PCR-based identification methods and an in situ hybridization assay were developed for detection of Perkinsus sp. in live tissues as well as in histological preparations. Hybridization signals were observed around the nucleus of trophozoites. Positive results from PCR and in situ hybridization indicated that Korean Perkinsus sp. is genetically identical with P. atlanticus reported in Europe, which is currently synonymous with P. olseni reported from Australia. Microscopic morphological features of different lift stages of Perkinsus sp. appeared very similar to those of P. atlanticus. Severely infected clams often exhibited white nodules on their mantles and gills as a consequence of inflammation. In lightly to moderately infected clams, Perkinsus sp. was mainly found in gill tissues, whereas the protozoan parasites were found in digestive tracts, gonadal tissues, and foot tissues of heavily infected clams. It is likely that the gills are the portal of the infection and that P. olseni spreads to other tissues as the infection advances. In conclusion, by considering the taxonomic priority of P. olseni, Korean Perkinsus sp. is accepted as P. olseni. P. olseni appears to be common on tidal flats on the western and southern Korean coasts and is considered to be a pathogen capable of causing mass mortality of clams.

양식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Perkinsus sp. 검출현황과 현장조사 (Prevalence and Detection of Perkinsus sp. infection in the Manila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 박성우;이경희;최동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9-58
    • /
    • 2005
  • 2002년 3월부터 2003년 9월까지 태안과 고창 지역에서 채취한 바지락을 Hemacolor 염색, 병리조직학적 방법 및 FTM 배양법으로 Perkinsus sp.의 감염율을 조사하였다. 검출방법에 따라 감염율에 차이가 있었지만, 고창 지역은 100%로 계절적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태안 지역은 동계에는 낮아지고 하계에는 감염율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20-70%의 감염율을 나타내었다. 조사 방법 중에서 병리조직학적 검사방법이 감염율이 가장 높아 효과적인 조사 방법이었으며, 검사 조직으로는 아가미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감염율이 높았다.2004년 4월부터 7월까지 태안과 고창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동죽, 바지락, 굴 및 피뿔고둥의 아가미에서 DNA를 추출하여 PCR 반응을 시킨 결과 모든 패류에서 Perkinsus sp.가 검출되었다. 2 지역의 평균 감염율은 바지락 95.0%, 동죽 62.5%, 피뿔고둥 46.9%, 굴 10.0%로 갯벌에 서식하는 종이 암반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종보다 감염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서해안에 서식하는 거의 모든 패류에 Perkinsus sp.가 감염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PCR법의 경우 다른 패류에서도 감염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PCR 기법을 이용한 바지락포자충 Perkinsus 진단 기술개발 (Development of a PCR Assay for Detection of the Protozoan Parasite Perkinsus)

  • 박경일;박영미;이제희;최광식
    • 환경생물
    • /
    • 제20권2호
    • /
    • pp.109-117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해산 연체동물의 폐사를 유발하는 기생성 원생동물인 Perkinsus를 신속하고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PCR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Perkinsus 속 4종을 공통적으로 증폭하거나 P. atlanticus만을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두 가지의 primer를 제작하였다. PCR분석은 기존 Perkinsus 진단법인 fluid thioglycollate medium (FTM) 방법과 2 M NaOH 기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구로서 전라남도 완도산, 제주도 김녕산, 제주도 서귀포산, 제주도 성산산 바지락과 in vitro 배양된 바지락포자충이 이용되었으며, 대조구로서 전라남도 강진에서 채집된 꼬막, T. granosa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Perkinsus특이성 DNA band가 전남 완도산과 제주도 성산산 바지락, in vitro 배양된 바지락 포자충에서 확인되었으나, 대조구였던 꼬막과 제주도 서귀포산, 제주도 김녕산 바지락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같은 진단 결과는 FTM과 2M NaOH 진단 결과와 일치하였다. 한편 P. atlanticus에 특이적인 primer에 의해 증폭된 band가 확인됨에 따라 국내산 바지락에서 검출되는 바지락포자충은 P. atlanticus와 동일 종임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PCR을 이용한 진단법은 해산 연체동물내 Perkinsus 속 기생충과 P. atlanticus의 감염을 신속하고도 종 특이적으로 진단할 수 있어 수ㆍ출입 수산물의 검역과 바지락 포자충의 생태학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CR 기법을 이용한 바지락포자충 Perkinsus 진단 기술개발 (Development of a PCR Assay for Detection of the Protozoan Parasite Perkinsus)

  • 박경일;박영미;이제희;최광식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109-109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해산 연체동물의 폐사를 유발하는 기생성 원생동물인 Perkinsus를 신속하고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PCR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Perkinsus 속 4종을 공통적으로 증폭하거나 P. atlanticus만을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두 가지의 primer를 제작하였다. PCR분석은 기존 Perkinsus 진단법인 fluid thioglycollate medium (FTM) 방법과 2 M NaOH 기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구로서 전라남도 완도산, 제주도 김녕산, 제주도 서귀포산, 제주도 성산산 바지락과 in vitro 배양된 바지락포자충이 이용되었으며, 대조구로서 전라남도 강진에서 채집된 꼬막, T. granosa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Perkinsus특이성 DNA band가 전남 완도산과 제주도 성산산 바지락, in vitro 배양된 바지락 포자충에서 확인되었으나, 대조구였던 꼬막과 제주도 서귀포산, 제주도 김녕산 바지락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같은 진단 결과는 FTM과 2M NaOH 진단 결과와 일치하였다. 한편 P. atlanticus에 특이적인 primer에 의해 증폭된 band가 확인됨에 따라 국내산 바지락에서 검출되는 바지락포자충은 P. atlanticus와 동일 종임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PCR을 이용한 진단법은 해산 연체동물내 Perkinsus 속 기생충과 P. atlanticus의 감염을 신속하고도 종 특이적으로 진단할 수 있어 수ㆍ출입 수산물의 검역과 바지락 포자충의 생태학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도 바지락에 기생하는 바지락포자충, Perkinsus sp.의 공간적 분포 및 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rotozoan Parasite, Perkinsus sp. Found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Distributed in Cheju, Korea)

  • 최광식;박경일
    • 환경생물
    • /
    • 제19권1호
    • /
    • pp.79-86
    • /
    • 2001
  • 바지락포자층 Perkinsus는 Apicomplexa 문에 속하는 기생성 원생동물로서 유럽에서는 바지락의 대량폐사 원인 생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90년대 초반부터 나타나고 있는 바지락 폐사의 원인생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바지락포자충 감염분포 조사의 일환으로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바지락포자충 감염 현황과 감염도, 조직병리학적 현상, 유주자 형성 그리고 서식지의 퇴적물 조성에 따른 감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Ray의 Fluid Thioglycollate Medium (FTM) 방법과 Choi의 NaOH lysis 방법을 이용한 진단결과 김녕항과 용머리 지역의 바지락은 비감염 상태였으며, 이들 지역을 제외한 지역의 바지락포자충의 발현율은 표선 100%, 성산항 70%, 금능 63%, 종달리 33%, 이호 21%, 모슬포 17%,서귀포 14%, 순으로 나타났다. 바지락 습중량 1g당 표선 98,430 세포, 성산 78,553 세포, 금능 18,980 세포, 종달리 4,290 세포, 이호 1,527 세포, 모슬포 1,069 세포, 서귀포 853 세포의 바지락포자충이 검출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 직경 5-10$\mu\textrm{m}$인 원형의 trophozoite가 바지락의 소화맹낭과 아가미에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숙주의 혈구집중 현상도 관찰되었다. 유주자는 FTM에서 2일동안 배양된 hypnospore를 $25^{\circ}C$의 해수에서 2일간 배양하였을 때 세포분열을 거쳐 방출관을 통하여 방출됐다. 이상의 조사 결과 제주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대부분의 바지락이 바지락포자충에 감염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남ㆍ서해안에서 보고된 바지락 포자충 감염율이나 감염도 보다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 PDF

곰소만에 있어 바지락포자충, Perkinsus sp.의 출현에 관하여 (Epizootiology of Perkinsus sp. Found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msoe Bay, Korea)

  • 박경일;최광식;최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3-309
    • /
    • 1999
  • 이 연구를 통하여 바지락 대량 폐사가 발생한 전라북도 곰소만에 서식하고 있는 패류, 바지락, R. philipinarium, 굴 C. gigas, 피조개, S. broughtonii, 피뿔고둥, R. venosa, 등을 대상으로 바지락포자충, Perkinsus sp. 감염 여부 및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바지락포자충의 감염 진단은 Ray(1952)의 방법에 따라 혐기성배양액인 FTM(Fluid Thioglycollate Media)을 이용하여 배양하였으며, Rugol's iodine으로 염색한 후 해부현미경 하에서 검사하였다. 바지락포자충의 감염 정도는 Mackin (1961)의 기준을 따랐으며 일부 시료는 Choi et al. (1989)의 정량적인 방법에 따라 NaOH로 처리한 후 혈구 계수기로 계수하였다. FTM 분석 결과 곰소만에서 채집된 모든 바지락 개체들은 바지락포자충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나 감염율 (prevalence)은 $100\%$였다. Mackin의 기준에 따른 감염 정도 판정에서 평균 2.87로 나타나 중간 정도의 감염 정도를 나타냈다. 바지락 육중량 1g 당 바지락포자충의 개체수는 평균 709,028 개체였으며, 바지락 1개체당 최고 4,091,667 개체의 바지락포자충이 발견되었다. 곰소만에서 채집된 패류를 대상으로한 FTM 검사 결과, 굴에서는 바지락 포자충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으며, 새로막과 피뿔고둥에 대한 조사에서는 피조개 2 개체에서만 각 각 6, 10 개의 바지락 포자충이 발견되었고 피뿔고둥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조직병리학적 관찰결과 바지락 아가미의 연결조직에서 무정형의 결절에 쌓여있는 직경 $6\~10\;\mu$m의 tropozoites를 발견하였다. 바지락의 비만도는 개체의 각장이 클수록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바지락 포자충의 감염정도는 각장이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바지락포자충은 개체에서 개체로 감염되는 관계로 바지락밀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그 전염 속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대량폐사의 원인 중 하나는 밀식으로 판단되었다.

  • PDF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al characteristics of Perkinsus sp. from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rea

  • Ahn Kyoung Jin;Huh Sung-Hoi;Kim Ki H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3권3_4호
    • /
    • pp.205-212
    • /
    • 2000
  •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al characteristics of Perkinsus sp. parasitizing in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rea were investigated. Trophozoite within the tissue was spherical or ovoid and ranged $2.5-10.5\mu m$ $(mean = 6.2\mu m)$ in diameter. Trophozoite had a nucleus with a prominent nucleolus and a large cytoplasmic vacuole within the cytoplasm. Single trophozoite was phagocytozed by host hemocyte and cluster cells were encapusulated by hemocytes aggregation within the host tissues. Hypnospores incubated in thioglycollate medium (FTM) for 1 to 15 days were also spherical or ovoid and ranged $10-132\mu m$ $(mean\pm S.D.\;:\;44.25\pm 7.91\mu m)$ in diameter. Zoospores were spherical or ovoid, had a nucleus and two flagella. Zoospores contained apical complex, which consisted of conoid, subpellicular microtubules, rhoptries and rectilinear microne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