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pheral visual field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1초

Audio-visual Spatial Coherence Judgments in the Peripheral Visual Fields

  • 이채봉;강대기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5-39
    • /
    • 2015
  • Auditory and visual stimuli presented in the peripheral visual field were perceived as spatially coincident when the auditory stimulus was presented five to seven degrees outwards from the direction of the visual stimulus. Furthermore, judgments of the perceived distance between auditory and visual stimuli presented in the periphery did not increase when an auditory stimulus was presented in the peripheral side of the visual stimulus. As to the origin of this phenomenon, there would seem to be two possibilities. One is that the participants could not perceptually distinguish the distance on the peripheral side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accuracy perception. The other is that the participants could distinguish the distances, but could not evaluate them because of the insufficient experimental setup of auditory stimuli. In order to confirm which of these two alternative explanations is valid, we conducted an experiment similar to that of our previous study using a sufficient number of loudspeakers for the presentation of auditory stimuli. Results revealed that judgments of perceived distance increased on the peripheral side. This indicates that we can perceive discrimination between audio and visual stimuli on the peripheral side.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근시안과 정시안에서 중심부 및 주변부의 굴절력 비교 (Comparison of Central and Peripheral Refraction in Myopic Eyes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and Emmetropes)

  • 김정미;이군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7-165
    • /
    • 2015
  • 목적: 근시성 굴절교정수술안에서 수평경선에 따른 중심부 및 주변부의 굴절력 변화를 정시안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수술안 120 안(평균: $23.56{\pm}2.54$세, 범위: 20~29세)과 정시안 40 안(평균: $22.50{\pm}1.74$세, 범위: 20~25세)을 대상으로 개방형 자동굴절력계를 사용하여 중심시야를 기준으로 코 쪽과 귀 쪽의 수평방향 $5^{\circ}$, $10^{\circ}$, $15^{\circ}$, $20^{\circ}$, $25^{\circ}$의 굴절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수술안은 수술 전 등가구면 굴절이상에 따라 -6.00 D 미만은 수술안 그룹 1, -6.00 D 이상은 수술안 그룹 2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안 그룹 1의 수술 전 등가구면 굴절이상은 $-4.56{\pm}0.92D$(범위: -2.50 ~ -5.58 D)였고, 수술안 그룹 2는 $-7.09{\pm}0.96D$(범위: -6.00 ~ -9.00 D)로 나타났다. 정시안의 등가구면 M 평균값의 범위는 $-0.20{\pm}0.22D$(중심)에서 $-0.64{\pm}0.83D$(귀 방향 $25^{\circ}$)와 $-0.20{\pm}0.67D$(코 방향 $25^{\circ}$); 수술안 그룹 1의 M 평균값의 범위는 $-0.16{\pm}0.29D$(중심)에서 $-5.29{\pm}1.82D$(귀 방향 $25^{\circ}$)와 $-4.48{\pm}1.88D$(코 방향 $25^{\circ}$); 수술안 그룹 2의 M 범위는 $-0.20{\pm}0.32D$(중심)에서 $-7.98{\pm}2.08D$(귀 방향 $25^{\circ}$)와 $-7.90{\pm}2.26D$(코 방향 $25^{\circ}$)로 나타났고, 세 그룹 사이의 M 굴절력은 중심(p=0.600)과 귀 방향 $5^{\circ}$(p=0.64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주변부 방향으로 갈수록 M 굴절력은 큰 차이를 보였다(p=0.000). 결론: 정시안은 망막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상대적으로 일정한 굴절이상을 보였고, 수평경선에서 주변부 근시흐림의 형태가 나타난 반면, 근시 굴절교정수술안에서는 중심부와 주변부 굴절이상이 정시안과는 다르고 중심부와 주변부의 굴절력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밀러-피셔 증후군 환자의 안근 마비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Miller-Fisher Syndrome with Ophthalmoplegia)

  • 김서희;이주현;강은정;박지원;홍석훈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0-139
    • /
    • 2020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patient with ophthalmoplegia in Miller-Fisher Syndrome. Methods : A patient with ophthalmoplegia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cupping therapy and acupuncture(including pharmacopuncture, electroacupuncture). We used photographs of eye movement to evaluate the changes in symptoms, Scott and Kraft score of left eye, visual field test for measuring peripheral visual field, subjective symptom, and VAS for headache, subjective symptom. Results : After treatment, Scott and Kraft score increase from -4 to -2. Visual field of left side improved from 45° to 80°. Also, other symptoms such as diploma, dizziness, headache, gait disturbance was also improved. There are no adverse effects and no relapse of ophthalmoplegia after 20 days of discharge. Conclusions : This case report suggests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can be effective for patient with ophthalmoplegia in Miller-Fisher Syndrome.

시축 변화와 홍채 편심에 따른 정밀모형안의 광학적 성능 분석 (An Analysis of Optical Performance of the Finite Schematic Eye According to Iris Eccentricity and Visual Axis change)

  • 김봉환;한선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1-154
    • /
    • 2010
  • 목적: 시축과 홍채의 편심에 따른 정밀모형안의 광학적 성능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기존에 설계되어진 Radial GRIN과 Spherical GRIN 형태의 수정체를 갖는 정밀모형안을 이용하여 홍채의 위치를 코 방향으로 0.5 mm 편심시키고 시축은 절점을 기준으로 코방향으로 $5^{\circ},$ 아래로 $2.5^{\circ}$ 기울여 중심와의 위치에 상측초점이 위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실제의 눈과 동일하도록 광학계를 구성하여 광학적 성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적인 수차 분포가 실안의 성능과 비교하여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광학계의 중앙 부위를 통과하는 영역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구면수차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주변부 굴절력 오차와 상면만곡은 (+) 방향으로 수차분포가 치우쳐져 있었다. 결론: 시축과 홍채 편심을 고려한 실안과 유사한 정밀모형안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가장 유념해야 할 부분은, 광학계의 중앙 부위를 통과하는 영역에서의 수차 보정이다. 먼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구면수차를 보정하고,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주변부 굴절력 오차와 상면만곡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시각작업시 등반응시간영역의 생성 (Generation of lsoresponse Time Regions in Visual Tasks)

  • 정의승;정민근;기도형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3-64
    • /
    • 1993
  • Successful completion of a visual task in a predetermined time is very crucial to many operations such as piloting an aircraft. Although existing ergonomic interface models often provide a function of vision tests, it determines only the visibility at any given location. To complement this problem in existing models, the isoresponse time region considering the factors related to visual tasks is present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model, equal response time regions were obtained within which mean response time is expected to be the same and is asymmetrical in shape. Among the factors considered, expectancy significantly decreased response time, and when cued, the effects of field heterogeneity, target uncertainty, density, size contrast and peripheral position on search time were less significant than those in unexpected cases. Response time and error rate, gender and visual acuity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response time and 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directly applicable to designing various visual tasks in real-life situations.

  • PDF

시각과 청각에 의한 공간적 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patial perception by audio-visual information)

  • 이채봉;강대기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2-1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청각 자극의 공간적 차이가 지각 공간에 있어서 사물과 영상의 배치에 주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심리적 실험을 하였다. 실험에서는 시각자극과 청각자극을 동시에 제시하고 두 개의 자극이 공간적으로 어느 정도 차이를 느끼는가를 판단하였다. 시각자극은 정면에 있는 스피커를 중심으로 $-70^{\circ}$, $-40^{\circ}$, $-20^{\circ}$, $0^{\circ}$, $20^{\circ}$, $40^{\circ}$, $70^{\circ}$의 7방향, 청각자극은 시각자극을 중심으로 하여 $-20^{\circ}{\sim}20^{\circ}$까지 $5^{\circ}$ 간격으로 9방향을 제시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시각자극과 청각자극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라고 느낀 것을 1에서 5까지 5단계 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회답하였다. 그 결과 시각자극의 제시 각도가 $0^{\circ}$의 경우는 청각자극의 제시 각도가 시각자극의 제시 각도에서 멀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제시 각도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나타났다. 정면에서 우측에 시각자극이 제시된 경우는 청각자극의 제시 각도가 시각자극의 제시 각도에서 멀어짐에 따라 평가치가 크게 되었다. 이것은 시각자극의 제시 각도가 $0^{\circ}$의 경우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대로 좌측에 시각자극이 제시된 경우는 평가치가 작게 나타났다. 이것은 제시 각도가 멀어짐에도 불구하고 같은 방향에서 제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거리를 짧게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주변부 상의 왜곡을 보정한 모바일 광각 카메라의 광학적 설계 (The Design of Wide Angle Mobile Camera Corrected Optical Distortion for Peripheral Area)

  • 김세진;정혜정;임현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03-507
    • /
    • 2013
  • 목적: 4매의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여 optical distortion과 TV distortion을 감소시켜 주변부 상의 왜곡을 줄인 광각의 모바일 카메라를 설계하였다. 방법: 광학적 설계는 화각 $95^{\circ}$에서 ${\pm}1%$내의 optical distortion을 만족하도록 하였으며, 광학계 전체길이는 모바일 카메라의 두께를 고려하여 4.5 mm 이내로 하였다. 센서는 1/3.2"의 5M급 CCD를 사용하였으며 MTF는 140 lp/mm에서 20% 이상을 만족하도록 설계 조건을 설정하였다. 결과: 최적화 설계된 모바일 광각 카메라는 화각 $95^{\circ}$의 full field에서 optical distortion은 모든 field에서 ${\pm}1%$내의 결과를 보였으며 TV distortion도 0.46%로 주변부 상의 왜곡이 감소되었다. MTF 성능은 모든 field에서 20%이상으로 나타났다. 광선수차와 비점수차 모두 적은 양으로 안정된 성능을 보였다. 결론: 기존의 모바일 카메라의 화각보다 더 큰 화각을 갖는 광각의 모바일 카메라의 distortion을 광학적으로 개선하여 주변부의 상의 왜곡을 감소시켜 보다 쾌적한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소프트웨어로 보정할 때 발생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이는 안경과 접목되는 카메라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Vision and Aging

  • 김인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3
    • /
    • 2002
  • 연령증가에 따라(노안) 최대 조절력은 감소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노안 단 시력(single vision)은 단지 멀리 보는 것을 교정할 수 있다. 노안 누진렌즈 도수는 확실한 시야를 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연령과 함께 시각계 내의 다른 변화는 안경만으로 교정할 수는 없다. 동공직경은 감소하고 양안 매체의 빛 투과가 감소한다. 그러므로 노인은 더 많은 빛을 필요로 하고 더 밝은 조명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단지 망막내 추체의 밀도가 감소하는 등 감각계 변화의 한 예로, 이러한 변화는 시각계 내의 시기능 변화를 유발한다. 즉 80세의 시력은 반으로 감소한다. 주로 높은 공간주파수내 회절격자의 대비감도 감소는 양안 매개체내 비스듬한 빛을 증가시킴으로 인하여 눈부심이 증가된다. 베일휘도는 대략 4배 증가한다. 암순응은 느려지게되고 눈이 완전히 암순응에 적응되었을 때 빛감도는 대략 2(log unit) 보다 적다. 또한 특히 낮은 조명에서 칼라 비젼이 더 나빠지게 된다. 연령이 높은 사람은 황반부와 주변부 시력간의 분리를 요하는 시각적 작업에 문제가 있다. 유용시야 측정이 한 예이다. 이러한 유용시야는 시기능 훈련에 의해 개선되어질 수 있다.

  • PDF

Polydeoxyribonucleotide Improves Peripheral Tissue Oxygenation and Accelerates Angiogenesis in Diabetic Foot Ulcers

  • Kim, Seoyoung;Kim, Junhyung;Choi, Jaehoon;Jeong, Woonhyeok;Kwon, Sunyou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6호
    • /
    • pp.482-489
    • /
    • 2017
  • Background Polydeoxyribonucleotide (PDRN) is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angiogenic effects and to accelerate wound heal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DRN could improve peripheral tissue oxygenation and angiogenesis in diabetic foot ulcers.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Twenty patients with a non-healing diabetic foot ulcer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a control group (n=10) and a PDRN group (n=10). Initial surgical debridement and secondary surgical procedures such as a split-thickness skin graft, primary closure, or local flap were performed. Between the initial surgical debridement and secondary surgical procedures, 0.9% normal saline (3 mL) or PDRN was injected for 2 weeks by the intramuscular (1 ampule, 3 mL, 5.625 mg, 5 days per week) and perilesional routes (1 ampule, 3 mL, 5.625 mg, 2 days per week). Transcutaneous oxygen tension ($TcPO_2$) was evaluated using the Periflux System 5000 with $TcPO_2/CO_2$ unit 5040 before the injections and on days 1, 3, 7, 14, and 28 after the start of the injections. A pathologic review (hematoxylin and eosin stain) of the debrided specimens was conducted by a pathologist, and vessel density (average number of vessels per visual field) was calculated.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PDRN-treated group showed improvements in peripheral tissue oxygenation on day 7 (P<0.01), day 14 (P<0.001), and day 28 (P<0.001). The pathologic review of the specimens from the PDRN group showed increased angiogenesis and improved inflamm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PDRN group in terms of vessel density (P=0.094). Complete healing was achieved in every patient. Conclusions In this study, PDRN improved peripheral tissue oxygenation. Moreover, PDRN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inflammation and angiogenesis in diabetic foot ulcers.

Therapeutic effect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on vigabatrin-induced retinopathy in adult male albino rat

  • Ayat Mahmoud Domouky;Walaa M. Samy;Walaa A. Rashad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5권2호
    • /
    • pp.217-228
    • /
    • 2022
  • Vigabatrin (VGB) is an effective antiepileptic drug used mainly to treat infantile spasms and refractory complex partial seizures. However, using VGB was restricted as it was known to cause retinal toxicity that appears as a severe peripheral visual field defect.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histopathological and biochemical effects of VGB on the retina in adult male albino rats and assess the possible therapeutic role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s) against this potential toxicity.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VGB group, and VGB/MSCs group), one week after 65 days of VGB treatment ±MSCs. The right eyeball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whereas the left eyeballs were prepared for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MSCs ameliorated retinal pathological changes and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synaptophysin after VGB administration suggesting MSCs function and vascular modulating effect. Moreover, MSCs regulate retinal tissue gene expression of BAX, Bcl-2, BDNF, NGF, synapsin, interleukin (IL)-6, IL-1β, and occludin suggesting MSCs antiapoptotic and immunomodulating effect. In conclusion, MSCs administration could be a suitable therapeutic line to ameliorate VGB-induced retinopat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