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leaves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2초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ration in Lung Inflammation by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Its Constituents

  • Lim, Hun Jai;Woo, Kyeong Wan;Lee, Kang Ro;Lee, Sang Kook;Kim, Hyun Py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1호
    • /
    • pp.62-67
    • /
    • 201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some potential natural products and/or constituents inhibiting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ration in lung inflammation, since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6 (IL-6) are pivotal for provoking airway inflammation. In our preliminary screening procedure, the 70% ethanol extract of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PFE) was found to clearly inhibit TNF-${\alpha}$ production in the lung at 100 mg/kg, after intranasal lipopolysaccharide treatment of mice. Based on this result, ten constituents including phenylpropanoids (allyltetramethoxybenzene, caffeic acid, dillapiole, elemicin, myristicin, nothoapiole, rosmarinic acid methyl ester, rosmarinic acid) and monoterpenes (perilla aldehyde and perilla ketone) were successfully isolated from the extract. Among them, elemicin and myristicin were found for the first time to concentration-dependently inhibit IL-$1{\beta}$-treated IL-6 production from lung alveolar epithelial cells (A549) at concentrations of $10-100{\mu}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henylpropanoids including elemicin and myristicin have the potential to be new inhibitory agents against lung inflammation and they may contribute, at least in part, to the inhibitory activity of PFE on the lung inflammatory response.

꽃게액비 엽면시비가 추부 들깻잎의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Fertilizer of Portunus trituberculatus Foliar Application on the Proximate Components of Chubu Perilla frutescens Leaves)

  • 안갑선;조전권;안승원;조현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583-158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content of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fatty acids and organic acids in perilla leaves. (1) As compared to the controlled with Ammonium sulfate fertilizer, the yield of Perilla frutescens leaves increased by 7.3% and 12.8% of biomass at 2000 and 1000 times liquid respectively, but decreased by 7.6% at 500 times. The lipid and protein contents of perilla leaves were higher than those of Portunus trituberculatus liquid at 1000 times. The average contents of minerals (mg/100g) were as follows; K (638.4) > Ca (561.6) > P (145.4) > Mg (133.5) > Fe (36.2) > Zn (1.9) > Mn (1.6) > Na (1.4 mg).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olled with P. trituberculatus liquid was relatively low. (2) The fat-soluble vitamin E content of P. frutescens leaves was 3.4, 3.9, 3.3, and 3.9 mg in the controlled with liquid by 500, and 1000, 2000 times respectively; Vitamin A contents were 6.4, 8.9, 10.9, and 8.5 mg respectively, which was more than twice as much as the corresponding vitamin E content. The water soluble vitamin C contents were 177.9, 172.6, 195.2, and 163.5 mg respectively. (3) Amino acid contents of P. frutescens leaves in 100 g of fresh weight were 3821.7 mg in the controlled with Ammonium sulfate fertilizer and 3918.8, 4054.0, and 4005.4 mg in the controlled with P. trituberculatus liquid at 2,000, 1000, 500 times respectively. Amino acid contents of each controlled group with P. trituberculatus liquid above were as small as 2.5~6.1%, and these contents of amino acid were as follows: Glutaminic acid > Aspartic acid > Leucine > Arginine > Phenylalanine. In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microorganism and a variety of amino acid fertilizer to supplement the study on new manufacturing.

깻잎에 있어 Ca, Mg의 존재형태와 수확후의 변화 (Chemical Forms of Ca, Mg Compounds Occuring in Perilla Leaves and Their Changes after Harvest)

  • 최영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4-280
    • /
    • 2001
  • 깻잎에 있어 칼슘의 생리작용을 밝히기 위하여 조직 중의 칼슘의 존재형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즉 조직 중의 칼슘을 물(F-I), IN 소금(F-II), 2% 초산(F-III), 그리고 5% 염산(F-IV)의 각 용매를 이용하여 차례로 추출하여 각 분획의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이 중 칼슘 분획이 저장기간과 저장온도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검토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령에 따른 칼슘의 존재형태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엽령에서 F-I (28.41~39.52%)과 F-II(34.44~47.39%) 비율이 높았으며 F-IV는 15.6~21.57%로 수산칼슘으로의 존재가 많지 않았다. 마그네슘의 존재형태는 F-I과 F-II가 9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F-IV는 4%에 불과하였다. 2. 깻잎의 F-IV 칼슘비율을 시금치 및 차조기의 그것과 비교한 결과 깻잎은 16.75, 시금치는 42.4, 자소는 22.26%가 수산칼슘 형태로 존재하여 깻잎에서의 비율이 가장 낮음이 확인되었다. 마그네슘의 존재형태는 칼슘과는 다르게 시금치에서 수산과 결합한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수용성 분획인 F-I칼슘이 90.6%를 차지하였으며 깻잎과 자소는 각각 62.89, 16.8%로 조사되었다. 3. 수확 후 7일간 5$^{\circ}C$와 2$0^{\circ}C$에서 저장하면서 비타민 C와 F-IV 칼슘의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비타민 C는 저장 1일 째는 감소가 완만하나 4일째에 급격히 감소를 보였다. F-IV 칼슘의 경우는 저장 1일 째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역시 4일째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이로써 비타민 C가 감소할수록 수산칼슘의 비율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5$^{\circ}C$보다는 2$0^{\circ}C$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

들깨 생산단지 시설재배지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류 잔류량 조사 (Investigation of Resiud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reen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Greenhouse Soil and Its Leaves)

  • 임성진;오영탁;노진호;양지연;최근형;류송희;문병철;박병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1-2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들깨 시설재배지 토양 및 작물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토양 및 작물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분석을 위한 추출 및 정제는 QuEChERS 방법을 다소 개선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들깨 시설재배지 토양 및 농산물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의 회수율은 각각 76.3-113.4 및 79.4-107.3%, 정량한계는 각각 0.03-0.24와 $0.33-0.50{\mu}g/kg$ 수준이었다. 들깨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dieldirn 및 endosulfan sulfate 2 성분만이 각각 1.6-9.2 및 $22.0-87.8{\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들깻잎의 모든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들깨 시설재배지 토양이 농산물 안전성을 위협할 정도로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으로 오염되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잎들깨에서 차먼지응애의 발생특성 (Incidence of Polyphagotarsonemus latus (Banks) (Acari: Tarsonemidae) on Green Perilla(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 서윤경;안승원;최용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145-152
    • /
    • 2020
  • 충남 금산지역 잎들깨 시설하우스에서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는 5월 하순 최초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순에 1차 최대 발생양상을 보인 후 7월 상순부터 급격히 밀도가 증가하여 7월 중순 가장 밀도가 높은 2차 최대 발생양상을 보였다. 방제방법에 따라 발생양상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밀도에는 차이를 보여 화학약제를 사용하는 하우스에서 가장 높았고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는 하우스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크기가 작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차먼지응애를 방제하기 위해 화학약제를 사용할 경우, 농약 잔류 문제로 지속적인 사용을 못하므로 밀도가 높아지고,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농약잔류에 대한 걱정 없이 유기농업자재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방제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잎들깨 주간내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차먼지응애는 접종 25일 후 최대 발생밀도를 보였고, 중엽, 성엽, 신초의 순으로 알과 약성충의 총밀도가 조사되었다. 그러나 엽장과 차먼지응애 밀도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 상관성이 없어 차먼지응애 발생예찰시 어떤 샘플을 채취해도 정확한 예찰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고기능성 들깻잎을 이용한 침출차의 품질 극대화를 위한 최적 볶음조건 연구 (Optimal Roasting Conditions for Maximizing the Quality of Tea Leached from High Functional Perilla frutescens Leaves)

  • 윤웅재;양성용;이현순;홍충의;이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4-40
    • /
    • 2012
  • 본 연구는 고기능성 들깻잎을 사용한 침출차 제조의 품질 극대화를 위한 최적볶음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볶음조건을 볶음온도($120-200^{\circ}C$)와 볶음시간(15-35 min)을 달리하면서 들깻잎 차의 항산화력과 생리활성성분을 분석하여 들깻잎의 품질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실험구간 내 볶음조건 별 종합적인 품질비교를 통하여 최적 볶음조건을 선정하였다. 볶음조건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대체적으로 $160^{\circ}C$ 이하에서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였고 $160^{\circ}C$ 이상에서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높은 볶음조건에서 자유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모두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Caffeic acid 및 rosmarinic acid는 실험구간 내 낮은 온도에서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다가 대체적으로 온도가 상승할수록 감소하였다. 실험구간 내 볶음조건별 들깻잎의 품질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고기능성 들깻잎을 이용한 침출차의 품질을 극대화하는 최적 볶음조건은 $180^{\circ}C$, 20 min로 선정되었다.

조리에 의한 깻잎의 비타민C 및 무기성분의 변화 (Changes in Vitamin C and Minerals Content of Perilla Leaves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 최영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4-180
    • /
    • 2003
  • 생식조리에 있어서의 썰기와 통으로 이용하였을 때, 가열 조리로 데치기와 찌기를 하였을 때, 식초와 레몬즙을 이용해 겉절이를 하였을 때, 그리고 자가제조 깻잎 김치와 시판깻잎 김치에 있어서 비타민 C와 무기성분은 조리에 의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깻잎을 생식하는 경우에 쌈과 같이 통째로 이용할 때와 썰어서 이용할 때 무기질은 큰 손실이 없었지만 비타민 C의 경우는 많은 손실이 있었으므로 가능한 통째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를 할 경우는 데치기보다는 찌는 방법이 비타민과 무기질의 손실이 적었다. 깻잎은 칼슘의 함량이 높아 칼슘급원식품으로서도 큰 역할이 기대되는데 산을 처리함으로써 칼슘흡수에 방해가 되는 수산칼슘의 비율은 감소하고 수용성칼슘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식초나 레몬즙을 이용한 겉절이는 깻잎을 보다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리방법이라 사료된다. 깻잎김치의 경우 비타민 C는 거의 기대할 수 없었지만 무기성분 면에서는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나트륨의 함량도 따라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므로 되도록 간을 조금 싱겁게 하여 소량씩 담아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Binding Capacity of Chitin and Chitosan to Anthocyanin Pigment Isolated from Purple Perilla Leaves

  • Chang, Eun-Ju;Park, Sang-Won;No, Hong-Ky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6
    • /
    • 2000
  • The binding capacity of chitin and chitosan to anthocyanin pigmentss isolated from purple perilla leaves was inves-tigated. The pigment binding capac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pigment concentrations and decreasing pH without being affected by reaction temperature and particle size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s between pigment binding capacity of chitin and chitosan and pigment concentration at ranges of 25-100 mg of pigment/g of sample, After 1 hr settling, release of pigment from pigmented chitin and chitosan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up to 24.9% and 17.4%, respectively, at pH 9. In general, pigment binding capacity of chitosan was higher than that of chitin. There results suggest that chitosan may be useful as a potential adsorbent capable of stabilizing anthocyanin pigment.

  • PDF

들깨잎 polyphenol oxidase의 세포내 분포 및 특성 (Subcellular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Oxidase from Perilla frutescens Leaves)

  • 김안근;김유경
    • 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09-715
    • /
    • 1999
  •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in 200×g (cell wall), 4,000×g (plastid), 100,000×g (mitochondrial) and soluble fractions of the perilla leaves was monitored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sections of the plant. In the course of plant growth, PPO activities in plastid and mitochondrial fractions were decreased, while those in cell wall fraction were maintained. During growing process, specific activities and PPO activities of each fraction were decreased, while total phenol content were decreased in middle (middle) and then increased in later stage (lower). Cell wall, plastid, mitochondrial (pellet) and soluble fraction had slightly different pH optima and substrate specificities. Isoenzyme patterns were identical in two bands for PPO activity in different subcellular fractions. Their molecular weights were 37KD and 48KD respectively.

  • PDF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Enzymatic Extract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japonica

  • Kim, Eun-Kyung;Lee, Seung-Jae;Lim, Beong-Ou;Jeon, You-Jin;Song, Min-Dong;Park, Tae-Kyu;Lee, Kwang-Ho;Kim, Bo-Kyung;Lee, Sang-Rak;Moon, Sang-Ho;Jeon, Byong-Tae;Park, Pyo-Jam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279-286
    • /
    • 2008
  •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various enzymatic extract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was evaluated by measur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and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an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meter. For this study, the leaves were enzymatically hydrolyzed by 8 carbohydrases (Dextrozyme, AMG, Promozyme, Maltogenase, Termamyl, Viscozyme, Celluclast, and BAN) and 9 proteases [Flavourzyme, Neutrase, Protamex, Alcalase, PP-trypsin (trypsin from porcine pancreas), papain, pepsin, $\alpha$-chymotrypsin, and BP-trypsin (trypsin from bovine pancrea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romozyme and Alcalase extracts were the highest, and the $IC_{50}$ values were 77.25 and $109.66\;{\mu}g/mL$, respectively. All enzymatic extracts of the leaves scavenged hydroxyl radical, and the $IC_{50}$ values of Celluclast and pepsin extracts which were the highest activity were 243.34 and $241.86\;{\mu}g/mL$, respectively. The BAN and $\alpha$-chymotrypsin extracts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ies, and the $IC_{50}$ values were 21.13 and $33.23\;{\mu}g/mL$, respectively. The pepsin extracts from the leaves showed protective effect on $H_2O_2$-induced DNA damage. In addition, the pepsin extracts decreased cell death in PC-12 cells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damage.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enzymatic extracts of the leaves possess antioxidative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