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4초

차조기 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의 항균활성 (Growth inhibition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 이은숙;서부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3-89
    • /
    • 200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s on growth inhibition of Streptococcus pyogenes KCTC 3208. Methods : Measured growth inhibition of Streptococcus pyogenes KCTC 3208 by concentration of the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and collection periods of the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nd picking region of the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Results : The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is effective on retarding growth of Streptococcus pyogenes KCTC 3208. At 3% the growth of Streptococcus pyogenes KCTC 3208 was suddenly retarded. The stem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in a sunny place on June is more effective then its leaf.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is effective in growth inhibition of Streptococcus pyogenes KCTC 3208.

  • PDF

차조기 추출물의 면직물에 대한 염색성과 항균기능성 평가 (The Dyeing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Function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on Cotton)

  • 김성숙;박영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05-112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er dyeing conditions, fastness and functionality of cotton fabrics dyed with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Repeat dyeing, combination dyeing of persimmon juice and fermentation dyeing were conducted as dyeing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ΔE and the K/S value of cotton fabrics dyed with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s depending on repeat dyeing and combination dyeing slightly increased. Furthermore, the fastness to washing of persimmon combination dyeing and fermentation dyeing was very good. The fastness to rubbing was shown to be above grade 4 in all methods, and the fastness to light was not as good as grade 3 or lower. The persimmon juice dyeing,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repeat dyeing 4 times and combination fermentation dyeing showed very good antimicrobial abilities. Thereafter,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improve the fastness to light and alternatives to further improve the dyeing properties.

자소(紫蘇)의 조직배양에 관한 연구(I) (Studies on Tissue Culture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I))

  • 신순희
    • 생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0-213
    • /
    • 1985
  • Callus was derived from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which is commonly cultivated in Korea. It has been found that the light decreased the growth rate of the callus but rather increased the contents of essential oils. The addition of one ppm of 1-naphthyl acetic acid and 5ppm of kinetin in the medium caused the increased production of essential oils.

  • PDF

천연물질을 활용한 웰빙기법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1) - 소엽을 이용한 면직물의 염색 - (A Study on the Well-being Technique Natural Dyeing with Natural Resources (1) - Natural Dyeing of Cotton Fabric using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

  • 김상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771-778
    • /
    • 2008
  • The natural dyeing of cotton fabric with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was investigated. The proper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were $100^{\circ}C$ and 120 minutes. The proper temperature, time and colorant powder concentration for the dyeing of cotton fabric with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powder were $90^{\circ}C$, 60 minutes and 15%(o.w.b.), respectively. In various mordanted methods, the K/S values of simultaneous-mordanted methods were higher than those of pre-and post-mordanted methods. And the Cu-and Fe mordant showed higher K/S values than those of other mordants. Light colorfasness of mordanted cotton fabric was poor, but the other colorfasnesses were shown to be good. The cotton fabric mordanted with Cu mordant was showed effective bacterial reduction.

SPME에 의한 소엽의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9-74
    • /
    • 2003
  • 우리나라의 고유한 향신료로 활용되고 있는 소엽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에 적합한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 fiber를 선정하기 위하여 carboxen/polydimethylsiloxane(CAR/PDMS)과 polydimethylsiloxane(PDMS)의 2종류 fiber를 이용하여 향을 추출한 후 GC/MS로 분석하였다. CAR/PDMS fber에 소엽의 향을 흡착시켜 분석한 결과, 39종의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PDMS fiber를 이용하였을 때는 20가지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특히 PDMS fiber를 사용하였을 때 CAR/PDMS fber를 이용하였을 때 보다 perillaldehyde (40.50%), limonene (27.32%), E,E-,${\alpha}-famesene$ (10.22%) 및 ${\beta}-caryophyllene$ (8.02%)의 소엽의 주요 향기성분이 선택적으로 많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방향성 식용식물인 소엽의 향기를 SPME법으로 추출할 때는 PDMS fiber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소엽의 휘발성 향미성분 분석 및 향신료로서의 관능적 평가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nd Sensory Evaluation as Natural Spice)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1-225
    • /
    • 2000
  • 건조된 소엽의 정유를 초임계유체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GC/MS로 분석한 결과 24가지의 휘발성 향미성분이 확인되었다. 탄화수소류는 4종, 알데히드류는 전체 peak area의 19.95%로 3종이 확인되었다. 알콜류 8종, 산류 3종, 에스터류 4종 및 기타 2종 확인되었다. 소엽의 주요 휘발성 향미성분은 L-perillaldehyde로 여겨진다. 소엽가루가 누린내 및 비린내에 미치는 영향을 관능검사 하였다. 소엽을 0.05%, 0.1% 및 0.2% 첨가하였을 때 돼지고기대조군과 후추 0.1%첨가군에 비하여 돼지고기의 누린내가 감소되었다. 소엽의 독특한 향기는 0.2% 첨가하였을 때 가장 강하였고 전체적인 선호도는 3가지 소엽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닭고기대조군에 비하여 후추 0.1%첨가군과 소엽 0.05%, 0.1% 및 0.2%첨가군에서 닭고기의 누린내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닭고기에 소엽을 0.1% 및 0.2% 첨가하였을 때 향이 강하게 감지되었으며, 전체적인 선호도는 후추 0.1%첨가군과 3가지 소엽첨가군 모두 좋게 평가되었다. 고등어의 비린내는 후추 0.1%첨가군과 소엽 0.2%첨가군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소엽 0.1%첨가군도 고등어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소엽을 첨가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다.

  • PDF

RP-HPLC를 이용한 백소엽(白蘇葉)과 자소엽(紫蘇葉)의 카페익산과 로즈마린산 분석 (Determination of Rosmarinic Acid and Caffeic Acid from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and var. acuta by Reversed-Phase HPLC)

  • 김병연;정지선;권하정;이제현;홍선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7-72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presents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rosmarinic acid (RA) and caffeic acid (CA) in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and var. acuta. Methods : Chromatographic separation was performed using a mixture of methanol, water and formic acid (35 : 64.2 : 0.8) with a reversed-phase column (Gemini C18, 4.6 ${\times}$ 150 mm, 3 ${\mu}m$). The analyses were detected at UV (280 nm). Results : The samples were extracted with 50% EtOH under reflux for 1 h,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for RA and CA in hyang-so-san and haeng-so-san was possible without interference peaks Conclusions : According the results, we developed a determination method for RA and CA in Perillae Folium. Owing to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and var. acuta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s of RA and CA, both Perilla frutescens could be available as herbal medicine.

  • PDF

들깨류사 종.속 수집 유전자원의 잎품질 및 지방산 조성 (Leaf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ollected Perilla Related Genus and Species Germplasm)

  • 곽태순;이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8-333
    • /
    • 1995
  • 들깨관련 종·속 수집 유전자원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자소(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축면자소(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Decaisne), 청자소(Perilla frutescens var. Kudo for viridis Makino), 들깨풀(Mosla punctulata Nakai), 산들깨(Mosla japonica Maxim) 및 쥐깨풀(Mosla dianthera Maxim)에 대한 잎품질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집한 들깨관련 종·속 가운데 Perilla속 유전자원이 Mosla속 유전자원보다 주경엽수가 많았고 길이에서 3배 정도, 폭에서 약 5배 정도 컸었다. 2. 들깨관련 종·속 모든 수집 유전자원이 들깨보다 방향성 정도가 높아 방향성 개량육종의 교배재료로서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3. 잎의 유연성 면에서는 Perilla속 유전자원이 Mosla 속 유전자원보다 부드러웠다. 4. 종실성분함양에서 들깨에 비하여 들깨관련 수집 종·속의 기름과 단백질함량이 낮았으나 리놀렌산 함량이 높아서 공업용 또는 의약용을 위한 고리놀렌산 들깨품종개량의 교배재료로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5. 수집 Perilla속 유전자원의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렌산과 기름함량, 단백질함량 그리고 포화지방산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gainst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Vibrio and Salmonella Species

  • Lim, Hye-Rim;Shin, Seung-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296-302
    • /
    • 2011
  • We determin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 obtained by steam distillation from the fresh and dried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gainst some pathogenic Salmonella and Vibrio spp. The activiti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the essential oils, apiol and myristicin, were also tes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 The Perilla essential oil fraction and its main components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against antibiotic-susceptive and antibiotic-resistant strains of the tested Salmonella and Vibrio strains. Synergistic or additive effects were identified by combing the oils with ampicillin by checkerboard-titer tests. We conclude that essential oils from P. frutescens can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Salmonella and Vibrio infections and as safe additives to food materials for the prevention of contamination of food by these bacteria.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of the rapid increase in antibiotic-resistant strains, which could cause severe symptoms in humans.

몇가지 식물에 있어서 어린순의 식품학적 가치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Research of Development for Food of Seedling in Some Plants)

  • 박석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5-339
    • /
    • 1995
  • 최근 소비자들의 신선한 채소 요구에 따른 수요증가로 볼 때 어린순의 소비는 크게 늘어 날 것으로 보나 국내에서는 무순외에는 거의 개발이 안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중에서 어린순을 채소로 개발할 수 있는 것을 선발하고자 기초연구로써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실험에 사용된 12종의 식물중에서 가걱은 들깨, 메밀, 무등이 낮은 값을 보였다. 2. 발아율은 전체적으로 낮았으나 그중 무, 소엽, 메밀, 항금 및 들깨가 상대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3. 발아세는 발아율보다 낮으며 그중 소엽, 무, 메밀 및 황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발아세를 보였다. 4. 식미특성중 외관상으로 무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5. 맛은 황금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6. 조직감은 메밀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7. 기호도는 소엽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