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luorinated Compound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8초

미량 및 신종유해물질의 국내 방류 환경에서의 위해성 평가: 환경부 지정 1순위 80종 대상으로 (Risk Assessment of Micro and Emerging Contaminants in Domestic Effluent Environment: Targeting on 80 First-class substances assign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 이재엽;박새롬;김일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01-509
    • /
    • 2021
  • In 2018, total 263 micro and emerging contaminants were selected as target substance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80 of them were first-class substance including endocrine disruptors, residual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residual organic pollutants, pesticides and heavy metals. In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Hazard Quotient (HQ) of the 80 types in the domestic water environment the concentration of discharged effluent and nearby water environment reported by Korean institutes since 2010 was investigated. There were 45 substances reported to be detected, and Measurement Environment Concentration (MEC) were obtained by collectively converting them into water environment concentration. For biotoxicity, half maximal Effective Dose (EC50) to Daphnia magna, a water fleas species widely adopted in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was applied. As for the biotoxicity level, the Predicted No-Effect Concentration (PNEC) was obtained by applying the Assessment Factor (AF) and the HQ was derived by dividing it from the MEC.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HQ, more than 1 substances were Cabamazepine, Mefenamic acid, Acetaminophen, Ibuprofen, Nonylphenol, Nickel, Erythromycin, Acetylslic acid, etc. Meanwhile, perfluorin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hazardous substances in the water env ironment, with 5 out of 14 species included in the 20 ranks of first-class substance.

수도작 작물의 과불소화합물 흡수이행성 (Bioconcentration factor of perfluorochemicals for each aerial part of rice)

  • 최근형;이득영;배지연;노진호;문병철;김진효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2호
    • /
    • pp.191-194
    • /
    • 2018
  • 국내 주요 식량작물인 벼에서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잔류평가는 인체 위해성 평가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불소화합물 중 perfluorooctanoic acid (PFOA)와 perfluorooctane sulfonic acid (PFOS)의 잔류평가를 벼의 부위별 흡수이행성을 조사하여 수행하였다. 벼는 저농도 오염처리구($1mg\;kg^{-1}$)와 고농도 오염처리구($5mg\;kg^{-1}$)에서 재배 후 현미, 왕겨, 볏짚으로 나누어 잔류량을 조사하였고, 시험결과 현미의 과불소화합물 흡수이행성(0.002-0.006)이 다른 부위에 비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잔류수준은 볏짚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왕겨와 현미 순이었고, 볏짚의 PFOA와 PFOS의 생물농축계수는 최대 1.474와 4.700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주요 하천수 및 퇴적토에 축적된 과불화화합물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erfluorinated compounds in major river water and sediment)

  • 여민경;황은혜;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25권5호
    • /
    • pp.313-32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erfluorobutanesulfonate (PFBS), perfluorohexanesulfonate (PFHxS), perfluorooctanesulfonate (PFOS), perfluoroheptanoate (PFHpA), perfluorooctanoate (PFOA), perfluorononanoate (PFNA) 및 perfluorodecanoate (PFDA) 등 과불화화합물 7 종의 분석방법을 정립하고 우리나라 주요 하천수 및 퇴적토에 대한 과불화합물의 축적 정도를 분석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낙동강, 섬진강, 남강을 따라 총 21 개 지점에서 물 시료를, 13 개 지점에서 퇴적토 시료를 채취하였다. 물 시료는 HLB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전처리하였고, 퇴적토 시료는 초음파 추출을 거친 후 농축하였으며 모두 LC-MS/MS로 분석하였다. 검정곡선의 결정계수($R^2$)는 0.99 이상, MDL은 물 시료에서 0.09~0.63 ng/L, 퇴적토 시료에서 0.013~0.020 ng/g을 얻었고, 회수율은 물 시료에서 74~98%, 퇴적토 시료에서 87~111%로 나타났다. 하천수에서는 PFOA가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PFHpA, PFOS가 그 다음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퇴적토에서는 PFOA, PFOS 및 PFDA가 비슷한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하천수와 퇴적토 모두 낙동강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PFCs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