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노인들의 인식을 통한 한국적인 성공적 노화의 개념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mong Korean Elderly)

  • 최혜경;백지은;서선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2호
    • /
    • pp.1-10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Korean elderly perceive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and to explore the meanings of a successful life in the contexts of the life experiences of the Korean elderly. From life-contextual perspectives, this study explored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successful aging by gender and by class (economic status). Forty elderly persons aged 65 and ov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on the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in their own life context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key theme of successful aging by class (economic status), because cultural and economic contexts influenced the elderly person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This study will help researchers, educators, and practitioners to understand successful aging experience as well as establish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among Koreans.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인식과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s for the Later Life Among the Baby Boom Cohort)

  • 강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60-472
    • /
    • 2016
  •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 인식과 노후 준비 정도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성공적 노화 인식이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국에서 814명의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2015년 5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설문지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SPSS WIN18.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인식은 학력, 주관적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준비 정도는 학력, 직업, 주관적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 노화 인식이 높을수록 노후를 위한 준비에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들의 성공적 노화와 노후 준비에 관한 정책과 서비스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동시에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이론적 교육 및 노후 준비에 관한 실천적 프로그램이 함께 병행되어질 필요가 있다.

베이비부머세대의 성공적 노화 : 중산층을 중심으로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class Baby Boomer Generation)

  • 홍성희;곽인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69-9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baby boomers' perception of and preparation for their successful aging. Seven women and three men were interviewed with the use of an unstructured questionnaire. Their perceptions of their likelihood of future successful aging were not negative, and were influenced by a range of considerations that included health, leisure, finance, volunteer services, family relationships, and elderly life without children's supports. They tried to prepare several kinds of sports, leisure activities, and volunteer services for their elderly life. However, their reasons for preparing these activities varied, and the background of their differences consisted of the family background, personal values, and experiences. Moreover, men and women responded differently to their personal experiences as they related to their elderly life. Women were likely to match their family relationship with their perception and preparation for successful aging, and men were not.

  • PDF

『한국노년학(韓國老年學)』의 심리학 분야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f Psychology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 정태연;윤가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767-782
    • /
    • 2018
  •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학술적인 측면에서도 노년기의 심리를 다룬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노화의 심리적 과정을 다루는 심리노년학이나 노년기의 심리학을 다루는 노년심리학의 가장 근본적인 관심은 남은 생애 동안 높은 삶의 질과 안녕감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난 10년 간 "한국노년학"에 실린 심리학 분야 논문 중 자살(우울)의 문제를 다룬 91편의 논문과 노화 및 성공적 노화에 대한 문제를 다룬 31편의 연구를 분석하여 그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또 이를 초기 30년의 연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이 자살이나 일상생활에 미치는 직접적 혹은 매개적인 효과를 다룬 연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노인/노화에 대한 인식이나 그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여준 연구, 그리고 성공적 노화 및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룬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이러한 주제를 다룬 연구가 첫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노년기 여생의 삶의 질의 제고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in Middle-aged Women)

  • 김보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91-99
    • /
    • 2018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개 도시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 189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7년 7월부터 2017년 8월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s,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 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의 평균 값은 128.49점(범위 33-165점)이었다. 성공적 노화인식은 우울(r=-.20, p=.005)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가족탄력성(r=.49, p<.001) 및 삶의 만족도(r=.54, p<.001)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ss}=-.15$, p=.013), 가족탄력성 (${\ss}=.24$, p=.002), 삶의 만족도 (${\ss}=.37$, p<.001)가 주요 영향요인이었으며, 이 모델은 33.9%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 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요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 인식 수준에 따른 노년 여성의 연령주의, 노화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 비교 연구 (Ageism, Attitudes Toward Aging, and Body Satisfaction by Subjective Socioeconomic and Health Status Among Older Women)

  • 유혜경;이민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86-596
    • /
    • 2019
  • Ageism, attitudes toward aging, and body satisfaction play significant roles in determining older women's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In addition, subjective socioeconomic and health status can act as major identifiers in determining the overall level of physical and social well-being in old age. Research for this exploratory study includes: 1) exploring the overall levels of ageism perception, attitudes toward aging, and body satisfaction among older women and 2)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ageism, attitudes toward aging, and body satisfaction between high and low subjective socioeconomic and health status of older women.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of 221 older women. The results revealed that older women's perceptions of ageism, aging attitudes, and body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subjective socioeconomic and health status. In general, older women with higher levels of subjective socioeconomic and health status reported more posi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aging along with higher levels of body satisfaction. The results implie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a more powerful indicator differentiating the aging-related perceptions of older women than the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This study supports the need for a conscious effort to reduce ageism that ultimately improves the overall well-being of all members in society.

성공적 노화에 대한 세대별 인식 조사연구: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The Survey Research on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 An Emphasis on the Social Relationships)

  • 정병은;이기홍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2호
    • /
    • pp.45-69
    • /
    • 2010
  • 한국사회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기 때문에 세대별로 노화에 대한 경험과 기준이 다르고 성공적 노화의 의미도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성공적 노화의 의미를 조사하여 세대별로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면접조사로 수집된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1,000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사회관계의 영역은 부부 관계, 부모-자녀 관계, 직계가족외 관계, 자녀에 대한 기대로 구분되었고, 세대는 식민지 전쟁 세대, 복구 부흥기 세대, 민주화 세대, 정보화 세대로 구분되었다. 분석결과, 성공적 노화에서 자녀에 대한 기대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부모-자녀 관계 및 자녀에 대한 기대를 중심으로 세대별 인식차이가 발견되었다. 주로 식민지 전쟁 세대, 복구 부흥기 세대와 민주화 세대, 정보화 세대의 차이로 대비되며, 세대효과는 세대의 구성적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러한 세대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세대 간 이해를 높이고, 세대의 특성에 따른 고령화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PDF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이 노화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Family Function on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among Middle-aged Women)

  • 권유림;전해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6-184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by middle-aged women in the community, and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their expectations about aging.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urvey for this study were 303 middle-aged women from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religious faciliti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bu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 to April 17, 2012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were the Health Perceptions,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Family APGAR,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ERA-1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IBM SPSS/WIN 20.0 program. Results: Perceived health status (${\beta}$=0.16, p=.009) and self-esteem (${\beta}$=0.20, p=.001) of middle-aged women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after adjusting for age, education, occupation, monthly income and menstrual statu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rses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expectations about aging among middle-aged women. Ultimately, community health programs for middle aged women need to be developed to achieve successful aging.

Self-portrait of Obese and Overweight Korean Women based on Lifetime Phase

  • Shin, Nah-Mee;Park, Eunyoung;Choi, Jiwon;Park, Young-Joo;Jung, Sunyoung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01-708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women in between age 30 to 60 who were obese or overweight in order to explore their self-perception based on lifetime phase.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performed four times with six to eight participants in each group (a total of 27). Data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 thematic analysis. Results: The data analysis from the interviews revealed recurring common themes: heavy heart, heavy body, resigned acceptance of their own condition, and compromise. The study also found that each age group had different concerns: concerning others' gaze on their obese appearances (30s), realizing their aging obese appearances (40s), recognizing red flags of their health with obesity (50s), and becoming ambivalent about their obese appearances (60s). Overall, their perceptions of being overweight were negative and stressful. Women in their 30s and 40s were more interested in their appearances, and thus were more obsessive about weight gain. In contrast, women in their 50s and 60s were more accepting of their physical appearances, and thus were more concerned about living healthy than losing weight.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be useful to consider when developing tailored weight-control programs for obese and overweight Korean women. Additionally, strategic approaches for successful and effective programs targeting healthy weight should be based on better understanding about women's self-perceptions and motiv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