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n Communication

검색결과 966건 처리시간 0.03초

Radiation risk percept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residents living near nuclear power plants: A nationwide survey in Korea

  • Sung, Hyoju;Kim, Jung Un;Lee, Dalnim;Jin, Young Woo;Jo, Hyemi;Jun, Jae Kwan;Park, Sunhoo;Seo, Songw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1295-1300
    • /
    • 2022
  • There has been increased interest in researching risk perception of radiation to implement successful risk communication, particularly given the recent worldwide nuclear policy movement regarding nuclear energ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risk perception among residents living near normally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in South Korea by identifying factors associated with risk percep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face-to-face interviews for 1200 residents aged 20e84 years by gender- and age-stratified random sampling. Risk perception was associated with trust perception in nuclear safety, but was not highly correlated with benefit perception for utilizing nuclear power. Relatively high risk perception was observed in women, older age groups, and residents not having experience of nuclear-related education or work. This association remained after adjusting for other factors including benefit perception, trus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addition to thes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isk perception was also associated with a residential district's own unique context, indicating that a strategy of risk communication should be developed differently for residents facing nuclear-related circumstances. Given that risk perceptio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social values such as safety culture and economic setting,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radiation risk perception.

Educators' Perception on the Use of Robots in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 Choi, Wonkyung;Stantic, Bela;Jo, 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138-144
    • /
    • 2019
  • Understanding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crucial as it can not only affect the quality of children's education but also cause many critical problems such as child abuse. A significant amount of research work has been made on the use of robots in childcare classrooms. The finding from the research has shown many advantages such as the improvement of learning performance, social/emotional skills, creativity, concentration period,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However, most of the study has been implemented at the K-12 classrooms but not much has been focused on the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s. Importantly, it is very crucial to understand teachers' perception, demands and technical competence about the new teaching tool, in order to maximize its educational effect. This paper investigates some critical issues existing in both teaching and managing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will als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n the use of robots to identify some dilemmas that exist in their working and teaching environment.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with 119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South Korea. It analyzed the educators' perception of using robots to improve their teaching performance and to make better outcomes for children, investigated job satisfaction and difficulties that they have in the current work environment. This paper concludes with several guidelines for integrating and setting robotics in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in order to engender productive outcomes for the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신체상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남녀 중학생의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Adolescents' Body Image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on the Alienation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 김경화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5호
    • /
    • pp.121-13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adolescents' body image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on the alienation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253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8.0 using Cronbach's ${\alpha}$,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and stepwise regres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problematic communication with the father was the strongest factor in explaining the alienation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econd strongest factor was the middles school student's open communication with the mother, and the third strongest factor was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hysical health. Unlike male students, open communication with the father was the strongest factor in explaining the alienation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Problematic communication with the mother was the second strongest factor. Perception of physical appearance was the third strongest, and perception of physical health was the fourth strongest fact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alienation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위험이슈 노출과 사회자본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isk Issue Exposure and Social Capital on Risk Perception in Social Media)

  • 곽은아;최진호;한동섭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8권
    • /
    • pp.7-34
    • /
    • 2016
  •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수용자의 현실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텔레비전, 인터넷, 페이스북)를 통한 위험이슈 노출 및 결속적, 교량적 사회자본이 사회적 개인적 현실 위험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전염성 질병, 성범죄, 방사능 오염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위험이슈별로 미디어 유형과 사회자본에 따라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염성 질병과 방사능 오염 이슈에 대해 교량형 사회자본은 사회적 위험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결속형 사회자본은 개인적 위험인식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성범죄 이슈에 대해서는 결속형 사회자본이 사회적 개인적 위험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노출량과 사회자본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위험이슈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 위험인식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미디어 변인과 소셜 미디어 연구에서 중요하게 취급되는 사회자본 변인을 함께 고려하여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 박소정;강지연;이영옥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4-5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hospital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afety care activity. Methods: A total of 399 nurses working at secondary or tertiary hospitals in B city were participated in.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on Patient Safety' and 'Safety Care Activity Questionnaire'. Results: The mean score of patient safety culture was 3.41 out of possible 5. The mean score of safety care activity was 4.40 out of possible 5.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safety care activity. Through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ith 22.4% of account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safety care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process, a sub-domain of safety culture, marital status, experience of incidence reporting, and level of patient safety. Conclusion: The findings show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mong nurses to improve the safety care activity. To provide high quality of care for patients, it is necessary to educate nurses on fire safety, patient education, and medication safety and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 PDF

위험인식의 특성과 의미: 한국인의 기술위험 인지도에 대한 Psychometric 분석 (A Study on Risk Perception and Policy Implication : A Psychometric Analysis of Korean Perception for Technological Risks)

  • 정익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0-85
    • /
    • 2014
  • A survey of risk perception in South Korea was conducted in 2007 to evaluate relative riskiness of typical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risks. This article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risk perception using psychometric analyses. The survey with a sample size of 1,194 reviews the perceived level of 25 risk items in the areas of transportation, chemicals, environment, industry,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newly-introduced risks. Six categories of risk identified by a factor analysis show that the level of perceived risk does not correspond to the statistical level. Psychometric analyses including voluntariness, severity, effect manifestation, exposure pattern, controllability, familiarity, benefit and necessity demonstrate that voluntary, familiar and immediate risks are perceived as less risky than involuntary, unfamiliar and delayed ones. Risk communication is critical in reducing the discrepance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level of risk. However, the amount of risk information does not always justify a successful risk communication. A safety policy, risk communication strategy in particular, should take into account diverse dimensions of risk reviewed by psychometric analyses in the study. Social policy toward safety can be improved by integrating policy, human, and social factors as well as technological advances.

휴대전화 전자파 위험인식과 리스크커뮤니케이션 - 여성의 위험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isk Communication and Percep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from Cellular Phones - Focus on Risk Perception of Women -)

  • 김경희;송대종;최재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065-1074
    • /
    • 2013
  • 본 연구는 휴대전화 전자파의 인체유해 가능성에 대한 위험인식을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심리적 요인이 어떻게 차이가 발생하는지 원인을 분석하였다. 위험인식의 측정은 전국 6대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20대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위험인식의 차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휴대전화 전자파에 대한 위험인식이 높았으며, 여성의 경우 50대의 위험인식이 가장 높았다. 특히 연령 및 성별에서의 위험인식 차이는 심리적 요인의 영향에서 발견하였고 그 중요성을 실증했다는데 이론적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일반인은 위험인식을 심리적 요인과 같은 일상의 경험 등의 축적을 통해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위험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일반인이 어떻게 위험을 인식하는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기초한 위험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해야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우리사회가 어떻게 휴대전화 전자파에 대한 위험을 판단하고, 의사소통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개입전략연구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관련 정보이해력, 위험인식 및 위기소통이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Risk Perception and Crisis Communication Related to COVID-19 on Preventive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 정영주;박진희;김희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66-7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rona Virus Disease-19, COVID-19)에 대한 정보이해력, 위험인식 및 위기소통이 COVID-19 관련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3,4학년 187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25일부터 7월 3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위기소통(β=0.30 p<.001), 정보이해력(β=0.29, p<.001), 위험인식(β=0.19 p=.004) 순으로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모델 설명력은 27%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COVID-19 예방행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시에 COVID-19와 관련하여 개인, 가족 및 사회 간의 위기사건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소통과정을 활성화하고, 정보접근 및 이해력 수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질병에 대한 위험인식을 높여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미디어, 관계성과 이미지회복전략이 공중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문과 트위터(Twitter) 비교 분석 중심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s crisis communication via social media on the public's crisis perception)

  • 김민지;김영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1권
    • /
    • pp.134-158
    • /
    • 2013
  • 위기 상황에서 다수의 공중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자 측면에서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가 조직의 위기관리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유형에 따라 조직-공중 관계성과 조직이 위기 상황에서 내세우는 이미지회복전략의 차이가 공중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신문과 트위터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위기상황을 제시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삼원변량분석(3-way ANOVA) 결과, 미디어 유형과 이미지회복전략 변인은 공중의 위기인식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 유형, 조직-공중 관계성, 이미지회복전략 세 변인은 공중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수용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유형에 따라 공중의 위기인식과 수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의 위기관리에서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이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조직의 차별화된 전략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 PDF

그래픽 영상에서 테두리 밝기에 따른 색채 인지 연구 (A Study on Colour Perception according to the Edge Brightness in Graphic Images)

  • 홍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1-36
    • /
    • 2021
  • 색채 속성으로는 색상, 명도, 채도로 구분 지을 수 있으며 색채 속성 각각에 따라 색채를 인지하는 특성이 달라진다. 색채를 인지하는 데 있어서 한 가지 색채를 독립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주변 색채를 함께 보게 되며 주변의 색채 특성에 따라 원본 색채 인지 특성은 달라질 수 있다. 선행된 색채 인지 및 감성 연구는 단일 색채를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는 실생활에서 색채를 인지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주변 색채를 고려한 색채 인지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픽 영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테두리 밝기에 따른 색채 인지 특성을 알아보고자 정신물리학 실험을 진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밝기에 가장 민감한 시각적 특성을 기반으로 테두리 밝기를 변수로 설정하고 실험 자극색상으로는 먼셀 색채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행된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테두리 밝기에 따라 색채를 인지하는 시지각적 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써 유의미 여부를 정의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