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Nursing service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1초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Affecting Continuity of Cancer Care: Iranian Women's Perceptions

  • Fouladi, Nasrin;Ali-Mohammadi, Hossein;Pourfarzi, Farhad;Homaunfar, Nasr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호
    • /
    • pp.133-137
    • /
    • 2014
  • Background: Today, breast cancer is increasing in nearly all societies. Currently, cancers are the third leading cause of death in Iran after cardiovascular diseases and accidents. Of the cancers, breast cancer is spreading particularly rapidly among Iranian women. Negative effects of discontinuation of care on patient survival have been well documented. Inhibiting or facilitating factors affecting continuity of care at different stages of the patient care continuum should be identified. Materials and Methods: The current study implemented a qualitative method that provided tools to examine factors in detail.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2 women, undergoing surgery and chemotherapy after being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Content analysis was the technique adopted. Results: The effective factors in continuity of care from the patients' perception, based on the participant statem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f evaluation of symptoms, psychological reactions, and care triggers with several subcategorie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the current study, it can be noted that, the patient experiences can be brought into use by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assist them in providing patient sand their families with adequate consulting services. It can also provide an opportunity for making interventions tailored to the community culture, and closer adherence of patients to the prescribed treatments.

일 대학병원 외래환자의 적정진료에 대한 환자경험평가 연구 (A Study on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of Appropriate Outpatient Medical Services of a University Hospital)

  • 허은경;안상윤;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51-357
    • /
    • 2019
  •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을 이용한 외래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경험평가를 시행하여 외래진료의 전반적인 과정에 있어 환자가 경험한 의료서비스를 확인하고, 환자경험 및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2018년 5월 14일부터 5월 28일까지 일개 대학병원에서 외래진료 경험이 2회 이상 있는 환자 10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결과 성별로는 여자가 60.0%, 남자가 40.0%로 여자가 더 많은 분포를 보였고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53.0%, 59세 이하가 47.0%로 60세 이상 그룹이 59세 이하 그룹보다 더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병원을 이용하게 된 동기는 "병원이 가까이 있어서"가 42.0%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의료진의 실력이 좋아서" 36.0%, "타 병원에서 권유받아서" 7.0% 순이었고 "주위사람 소개로"가 1.0%로 가장 적은 분포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문제점 파악과 환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의료서비스 및 차별화된 의료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의 노인 응급상황 인식 및 대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Emergency Coping Ability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325-336
    • /
    • 2020
  •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에서 서비스를 총괄하고 있는 시설장을 대상으로 노인 응급상황에 대한 인식 및 대처능력을 파악하여 시설장의 응급상황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정책자료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노인요양시설 및 재가센터 시설장 192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3.15~4.20,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시설장의 응급상황 경험은 97.4%로 높았고, 응급상황 인식도 6.16점, 정답률 62%로 중간정도 수준이였고, 응급상황 대처능력은 평균 69.61±13.537점 이었다. 응급상황 경험과 응급상황 대처능력(r=-.202, p=.005)은 음의 상관관계, 응급상황 대처능력 영향 변수는 장기요양기관 유형(β=8.253, p<.001)이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시설장 대상 응급교육 적용 시 장기요양기관 유형을 고려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1인 가구원의 정신건강 영향요인: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융합 연구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of one-person household members: A convergence study using data from the 201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한지영;박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89-400
    • /
    • 2022
  • 본 연구는 1인 가구원의 정신건강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제8기 1차연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9)를 활용한 연구로 연구대상자는 19세 이상의 1인 가구원 768명이었고,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합표본 분석을 하였다. 1인 가구원 중 스트레스 인지가 높은 경우는 29.9%, 우울감이 있는 경우는 16.2%, 자살생각이 있는 경우는 8.2%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연령과 주관적 건강상태이었고(p<.001), 우울감 영향요인은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및 스트레스 인지로 나타났으며(p<.001), 자살생각 영향요인은 연령,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인지 및 우울감이었다(p<.001). 본 연구결과는 1인 가구원의 정신건강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인식에 따른 교육 활성화 방안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Plan for Activation of CPR by Laypersons)

  • 정지연;심정신;신상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3-161
    • /
    • 2007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develop CPR training program for layperson by looking into layperson's recognition and attitude of execution of CPR and to prepare for underlying data in drawing up training policy and suggesting relevant legislation so that trained laypersons can positively perform rescue activities. The survey was done from August 20 to September 20, 2007. Total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 First, to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recognition or performance of CPR is universal within the country, 82.1% of respondents gave a negative answer as 'No', The most reason was found to be 'Poor training and P.R. of CPR' accounting for 50.1%, 94.8% of the whole respondents answered that CPR training is necessary. As plan for activatin of CPR training, they answered that top priority shall be given to compulsory school training(79.5%). Secondly, when respondents observed their family's cardic 84.6% of them answered that they would conduct CPR but when they observed other's cardiac arrest, just 41.7% of them answered it. As an effective CPR activation plan, the most answer was training and P.R. of CPR as 79.5%. This study suggests that laypersons high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PR and that they wound be willing to provide CPR in a medical emergency.

  • PDF

아동사고에 대한 어머니의 예방행위 영향요인 (Maternal Behavior to Preventing Childhood Accident in the Home)

  • 김귀분;손인아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7-102
    • /
    • 2002
  • Injury has now replaced disease as the biggest single cause of death in children after their first birthday. Each day child dies from preventable, unintentional injury and the medical cost of these injury is increasing remarkably. It is necessary to develope injury prevention models to explain, predict, manage, evaluate and analyze the information about accid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ly, to investigate parent's actions regarding safety measures at home and secondly,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parents' safety behaviors. The selection of such factors is guided by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Method ;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other investigations, through pilot testing, peer review, and review by field health workers.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31 mothers of young children. Data was collected between April and May 2002. Variable Use of three different domains of safety behavior, safety habits, supervision and perception of safety devices, were listed. Mothers were self reported on internal locus of control, mother & child relationships, and marital intimacy. Also the elements of the Health Promotion Model: perceived benefit, barrier, threat, and self-efficacy, were surveyed. Results & discus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parents take considerable action to reduce household hazards. The constructs derived from the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 small part of the variables on parental behavior to reduce hazards in the home, such as age, education, economic status,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 internal locus of control. Future studies ought to include social influences, such as expectations, perceived norms, knowledge, and child-related variables, relevant to parental safety measures in their home.

  • PDF

도시보건소 직원의 보건소 업무에 대한 인식 및 견해 (A Study on Perception and Attitudes of Health Workers Towards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Urban Health Centers)

  • 이재무;강복수;이경수;김천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347-365
    • /
    • 1995
  • 도시 보건소 직원의 보건소 업무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구직할시 7개 보건소 직원 310명을 대상으로 1994년 8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52명(회수율 81.3%)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대상은 남자가 95명(37.3%), 여자가 157명(62.3%)이고, 60.3%가 대졸이상자였다. 현재 근무부서의 시설이 보건사업을 수행하는데 적합하다고 한 의견이 28.6%, 적합하지 않다가 51.1%였고, 보유 기자재가 사업수행에 적합하다가 19.4%, 적합하지 않다가 39.0%였으며, 보건소의 인력수가 적정하다가 28.6%, 적합하지 않다가 44.8%였다. 근무부서의 예산이 보건사업 수행에 적합하다고 한 의견이 13.1%, 적합하지 않다가 38.5%였다. 지방자치제 실시후 사업내용이 바뀌어야 한다고 한 의견이 51.9%, 지방자치제의 실시가 자신의 근무부서의 업무에 도움이 된다고 한 의견이 25.4%, 도움되지 않는다가 24.6%였다.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보건소의 조직과 기능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78.6%였다. 사업 목표량의 설정이 해당 부서나 지역의 실정에 비추어 맞게 책정되어 있다는 의견이 11.1%, '그렇지 않다'가 43.3%였다. 업무 수행을 위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에 대한 교육을 더 받아야 한다고 한 의견이 57.5%, 더 받을 필요없다가 20.6%였고, 자신의 업무수행에 자율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견해가 35.7%, 자율성이 없다가 25.8%였으며, 현재 하고 일에 만족한다가 39.3%, 만족하지 못한다가 16.3%였다. 보건소의 인사관리에 대해서는 11.5% 합리적이라고 하였고, 47.3%가 불합리적 이라고 하였으며, 보건소가 주민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다는 의견이 41.3%,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13.1%였다. 보건소에서 지역주민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잘 시행되고 있는 사업은 결핵관리, 일반진료, 모자보건사업의 순이었으며, 부족한 사업은 보건교육, 치과진료, 위생, 통합보건사업의 순이었다. 향후 보건소에서 주민에게 제공해야 할 서비스로는 노인보건사업, 가정의료사업, 재활보건사업, 당뇨병관리, 고혈압관리, 학교보건사업, 정신보건사업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보건소 근무자들은 시설, 기자재, 인력, 예산, 인사관리, 사업목표량의 설정 및 평가, 인사관리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으며, 업무수행을 위한 보수교육, 지방자치제 실시를 통한 업무의 변화, 업무의 자율성, 업무의 만족도 면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제공 실태 (An Analysis of Infrastructure and Provis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 이인숙;김성재;방경숙;이윤정;김미주;문효정;연평식;하이얀;진영란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69
    • /
    • 2018
  •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서비스 실태, 관련 인식을 조사하여 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전국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한 달간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23개 기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응답자는 대부분 원장 혹은 사무국장이었다(75.0%). 복합건물의 일부 층을 사용 중인 노인요양시설(16.3%)은 시설 내에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를 갖추기 힘들 것으로 사료되고, 인근에 숲이 없는 경우(약 30%)와 숲이 있더라도 휠체어나 경사로가 없는 경우가 많아 이용에 제약이 많았다. 노인요양시설 운영자들도 산림복지서비스가 노인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지만, 장기요양보험 급여의 필수항목은 아니고, 비용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면서도 낙상, 이식증 등 사고위험이 있어 수행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노인요양시설을 평가할 때, 숲 등 산림치유적 요소를 갖추었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시설 내 정원에 화장실 접근성을 높이고, 시설 인근 숲에 휠체어 진입이 가능한 통로와 리프트 이동로,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산림복지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는 노인요양시설 산림복지서비스 가이드라인을 개발 보급하여 시설 내외부에서 간편하게 따라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편안함과 적절한 인지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관련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영향 요인 (Explorations of Dating Violence Related Factors that Affect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 김영은;윤미선;이현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58-269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데이트폭력의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에 부합하여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을 포함한 다양한 영향 요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탐색하고 그 상대적 설명력의 크기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충청권 소재 1개 대학교의 508명의 대학생이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응답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심리적 불편감 노출 및 상담에 대한 유용성기대는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연인 간의 비합리적 폭력인식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상담에 대한 위험기대, 및 도움 요청 장애 요인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부적 관계로 나타났다. 위 변인들의 총 설명량은 46.1% 으로 상담에 대한 유용성기대가 가장 큰 설명력을 지니고 위험기대와 도움요청 장애요인이 그 다음으로 큰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데이트폭력 연구 주제의 확장 및 대학생의 전문적 도움 서비스 활용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 제시를 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권옹호행동, 직무만족의 구조적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Human Rights Behavior,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 김근홍;송지원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747-762
    • /
    • 2017
  • 본 연구는 서비스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치매관련(장기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및 인권옹호행동과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노인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 방문요양센터 등에 근무하는 치매관련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후 210부를 회수하였고 부실응답 설문지 13개를 제외한 후 197명의 응답자료를 AMOS와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인 영향(-.276)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사회적 지지도 역시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315)을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옹호에서도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175)을 미치고 간접적인 영향(.102)을 미치므로 .277의 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사회적 지지가 인권옹호와 직무만족을 부분매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217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095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122의 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부분매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놓고 볼 때 치매관련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인식할 수 있는 환경에서 인권옹호행동을 증대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