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Stigma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7초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에 대한 지각된 낙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igma against epilepsy on quality of life among parents with epileptic child)

  • 김노은;조성민;김동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1005-1014
    • /
    • 2009
  • 목 적:간질아동의 치료과정에서 이들을 돌보는 부모들은 스트레스, 사회적 낙인 등으로 인한 정신사회적 곤란으로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질아동 부모들의 간질에 대한 지각된 낙인과 삶의 질을 평가하고 지각된 낙인이 간질아동의 질병관련 변수들과 삶의 질 사이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경기, 부산, 대구, 경북 소재 5개 대학병원의 소아간질클리닉에서 간질로 진단받고 치료중인 간질아동의 부모 26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낙인과 삶의 질 측정도구 등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부모들의 삶의 질 수준은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지각된 낙인이 간질아동의 질병관련 변수들과 삶의 질 사이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낙인, 고용 여부, 월수입, 종교 유무, 여가시간은 간질아동 부모의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질아동의 질병관련 변수들인 동반장애 유무 및 경련의 빈도는 매개변수인 지각된 낙인을 통해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인과 효과는 동반장애 유무, 지각된 낙인, 고용여부, 월수입 순으로 크게 나타나 지각된 낙인의 매개효과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 론:간질아동 부모들의 삶의 질이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 및 아동의 의학적 요인에 의해 영향 받으며 간질에 대한 지각된 낙인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다학문간의 공동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센병력자의 낙인,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Stigma,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Hansen's Disease)

  • 유양숙;김복연;조옥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2-28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vels of perceived stigma, self-esteem, quality of life and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Hansens' disease. Methods: The subjects were 128 people in Sorokdo National Hospital, two nursing homes, and three settlements. The stigma scale, self-esteem scale,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s quality of life instrument were us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July to August, 2010 and analyzed by t-test, ANOVA, Du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SAS. Results: The level of perceived stigma was 3.93, self-esteem was 26.2, quality of life was 2.78. Self-estee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job were factors influencing of quality of life with 43% of predictability.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job were important for people with Hansen's diseas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Hansen's disea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stering self-esteem and decreasing perceived stigma.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장애인에 대한 낙인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on Perceived Stigma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 김미진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9-7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esteem on perceived stigma in high school student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0 high school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during May 2013.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by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19.0 program.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igma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lf-esteem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r=-.205, p=.01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s with friends (r=.291, p<.001), health statement (r=.400, p<.001) and self-esteem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explained 3.5% of the variance in high school students' stigma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F=6.041, p=.015).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a need to develop education to increase self-esteem as a strategy to decrease high school students' stigma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lso,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repeated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tigma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adults.

일개 농촌 지역 노인의 자살 리터러시 수준과 자살 낙인 인식 및 자살 위기대처 능력의 관계: 부정적 정서 경험에 대한 사회적 기대의 조절된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Rural Elderly's Suicide Literacy, Suicide Stigma and Coping Advice for Suicide Preventi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Expectations for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 안순태;이하나;조정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4-174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ural elderly suicide literacy level upon suicide stigma and coping advice with suicidal crises (recommending professional help for a suicidal person).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cultural norms (perceived social expectations for the experience of negative emotions) on suicide stigma and coping abilit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ddressing elderly people (N=119) living in rural areas.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ey variables. Results: Participants with higher suicide literacy showed lower suicide stigma, and this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their coping advice with suicidal crises. Also, perceived social expectation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stigma and coping advice. With lower levels of social expectations, the mediating effect of suicide stigm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literacy and recommending professional help did not exist whereas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when it pertained to high levels of social expectations. Conclusion: This result signifies that suicide stigma serves as a barrier deterring Koreans from reaching out for professional help regarding their mental health. Moreover,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ultural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erceived social expectations in terms of developing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stigma on Self-care in People with Diabetes

  • Seo, Kawoun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6-94
    • /
    • 2021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stigma on self-care in people with diabetes. Methods: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377 patients with diabetes enrolled in university hospitals in D city and public health centers in S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 July to 31 August, 2017,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Diabetes self-ca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abetes self-efficacy, whereas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iabetes self-stigma. Participants'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type of medication, self-efficacy, and self-stigma explained 42.4% of the variance in diabetes self-car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diabetes self-efficacy and self-stigma are important factors for improving self-care in patients with diabetes. Therefore, systematic programs for enhancing self-efficacy and reducing self-stigma of these individuals should be developed.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Developing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 안순태;오현정;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309-328
    • /
    • 2017
  • 본 연구는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노인 인구에 대한 타 세대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낙인은 노인의 삶의 질 저하와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사회문화적 성격을 반영한 노인 낙인 척도개발을 위해 기존 문헌과 43명의 젊은 성인들로부터 추출한 항목들을 바탕으로 총 34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척도를 1차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자문과 내부 연구자 회의를 거쳐 총 31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를 잠정 개발하였다. 척도의 차원성,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252명의 65세 미만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지각된 노인 낙인,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 노인 태도, 노인 공경을 측정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8개의 항목으로 최종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기질', '능력', '외모', '권위주의적 의존', '자식집착'의 5개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차원의 세부 항목들은 적절한 내적 합치도를 보였다.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이론적으로 정적 관계에 있는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개념적으로 반대에 있는 노인 태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노인 공경 인식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세대통합을 위한 노인 낙인 해소 연구와 실무의 기초가 되는 척도 개발을 통해 노인 낙인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향후 효과적인 정책 변화와 홍보 전략 수립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Effects of Perceived Stigma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 with Disabilities on Adaptation of Campus Life :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 정원철;김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345-355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을 방해한다는 가설을 전제로 사회적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실증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일부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8명(남학생 61명, 여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중에서 성별과 학년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였고,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임이 드러났다. 특히 우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우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적지지 또한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여러 접근들 못지않게 장애대학생을 둘러싼 사회적지지에 대한 관심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사회적 낙인 인식이 성소수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tigma on the Life Satisfaction of Sexual Minorities)

  • 강병철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381-417
    • /
    • 2011
  • 본 연구는 성소수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서, 성소수자의 삶의 만족도 모형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성소수자가 사회적 낙인을 인식하는 정도의 효과에 주목하였으며, 사회적 낙인 인식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사회적 상황의 영향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대처 이론을 활용하여 지각된 스트레스로서의 사회적 낙인 인식이 대처자원으로서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대처방식으로서의 커밍아웃 정도와 대처결과로서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성소수자를 연구대상자로 하여,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여 총 478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측정모형 분석을 통해서 측정의 질을 평가하고,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서 이론적 모형에 포함된 변수의 영향관계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낙인 인식은 직접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그리고 커밍아웃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성애자 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성소수자 지지는 커밍아웃을 통해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성소수자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그리고 커밍아웃과 관련한 실천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코로나19 예방행위에 대한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 김혜승;김윤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6-20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ealth belief, subjective norms, social stigma, and sense of community affecting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programs to improve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The study recruited a total of 170 college students,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three online communities which are mostly used by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4 to August 9, 2021. The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impl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 simple multiple regression,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and subjective norm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These variables explained the 55.1% variance in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and subjective norms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develop COVID-19 preventive programs and strategies that increase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and subjective norms to improve the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폐결핵 환자의 지지체계와 낙인감 및 자가간호 수행도 (Support System, Stigma and Self-Care Behaviors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박은하;최소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2권4호
    • /
    • pp.288-296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self-care behaviors. Methods: The patients were 125 adults over the age of 19 who were diagnosed with pulmonary tuberculosis, receiving care at the National tuberculosis hospital. The survey questions measured family support,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stigma and self-care behaviors.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self-care behaviors was 3.91, ranging from 2.22 to 5.00.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are behaviors and support system.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are behaviors and stigma.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self-care behaviors were family support (β = .33, P< .001), smoking (β= -.23, p= .002), age (β= .22, p= .005) and experience of stopping treatment (β= -.17, p= .040). These factors explain 36%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self-care behaviors. Conclusion: Family suppor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selfcare for tuberculosis patients. However, those in their fifties, men, and those who do not have a job and have underlying diseases have low family support, so they need active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a educational and nursing programs must be designed to reduce stigma and promote support system in order to enhance self-care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