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 Cent Hatchabilit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Embryonic Growth, Hatching Time and Hatchability Performance of Meat Breeder Eggs Incubated under Continuous Green Light

  • Shafey, T.M.;Al-mohsen, T.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2호
    • /
    • pp.1702-1707
    • /
    • 2002
  • The effects of dark-control (D) and continuous green light (GL) exposure of incubated meat-type breeder eggs (Hybro) on embryonic growth from 5 to 15 days of age, hatching time, hatchability per cent and chick hatching weight were investigated in three consecutive experiments at 33, 38, and 41 weeks of age. A total of 798 eggs were used in this study. Eggs were set in an incubator on trays either in the D or under two tubes of 20-watt green fluorescent light during the first 18 days of incubation. Eggs from both treatments were transferred to the dark hatching compartment at 19 days of incubation. The light intensity was in the range of 1,340 to 1,730 lux at the surface of the eggs. GL incubation of eggs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weight (expressed as an absolute value) and daily weight gain of embryos at 11 and continued to 15 days of age, hatchability per cent by 4.8%, reduced dead embryos per cent and chick weight at hatch by 37 and 2%, respectively and accelerated hatching time by about 24 h when compared with the D-control incubation. Chicks hatched at 504 h of incubation had significantly (p<0.01) higher body weight, expressed as an absolute value or as a percentage of egg weight, than those hatched earlier at 456 h of incuba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GL incubation of meat breeder eggs reduced incubation period and chick weight at hatch and increased embryonic growth and hatchability per cent.

Effects of Egg Size and Eggshell Conductance on Hatchability Traits of Meat and Layer Breeder Flocks

  • Shafey, Tarek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1-6
    • /
    • 2002
  • Eggs obtained from 46 and 42 weeks old meat (Hybro) and layer (Leghorn) breeders flocks, respectively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enetic type of birds and egg size (small, medium and large) on variables of eggshell characteristics and hatchability traits. The variables measured were egg weight (EW), egg surface area (ESA) and eggshell characteristics (shell conductance (EC), per cent shell (PS), shell thickness (ST), shell volume (SV), shell density (SD) and hatchability traits (per cent hatchability (HP), early dead embryos (ED), late dead embryos (LD), pips with live embryos (PL) and pips with dead embryos (PD)). Genetic type of bird influenced all egg characteristics and HP of eggs. Eggs produced by the small Leghorn bird had lower EW, ESA, EC, ST, SV and HP than those produced by the heavy Hybro bird. The reduction of HP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ED and PL. Egg size influenced all variables measured except ST. Small size eggs had lower EW, ESA and EC and higher PS and SD than those of large eggs. Medium size eggs produced a higher HP when compared with that of large size eggs. The reduction of HP in large eggs was associated with higher percentage of ED, LD and PL.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genetic group of birds and egg size on LD and HP. Large egg size of Hybro birds had higher LD and lower HP than those of small size eggs produced by the same flock.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HP and LD among the different egg sizes produced by Leghorn birds. It was concluded that genetic make up of birds and egg size influence eggshell characteristics and HP. The type of bird (heavy or small) influences the optimum egg size for successful hatching.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size and eggshell characteristics of eggs of breeders' flocks for achieving maximum HP.

화학적 불임유기물질 Hempa가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 L.)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 및 불임성의 전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logical Effects of Chemosterilant, Hempa, on the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 1.) and Transmission of Sterility)

  • 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
    • /
    • 1973
  • 본 실험은 Hempa 처리가 쌀바구미 (Sitophilus oryzae L.)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과 부분불임성의 유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우화후 1-3일된 숫컷을 $0.0625\%,\;0.125\%,\;0.25\%,$$0.5\%$의 Hempa로 처리된 소맥에서 2일간 섭식처리하여 당대의 치사율, 수명 및 산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F_l,\;F_2,\;BC_1,\;F_3\;BC_2$ 세대에 미치는 처리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처리웅충의 평균수명은 대조구에 비하여 차가 없었으며 당대 치사율도 $0.5\%$ 처리시 보정 치사율은 $7.07\%$로 유의차가 없었다. (2) 처리웅충과 교배된 정상 자충의 3일간 평균 산란수는 무처리구 3.60에 비하며 $0.0625\%,\;0.125\%,\;0.25\%,\;0.5\%$구에서 각각 3.78, 4.05, 3.75 및 3.61개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비교배자충 구에서는 1.91로 현저한 산란수의 감소를 보였다. (3) 처리웅충과 무처리자충의 교배에서 얻은 $F_l$대의 처리후 27일간 총평균 부화율은 대조구 $86.82\%$에 대하여 $0.0625\%,\;0.125\%,\;0.25\%,\;0.5\%$구에서 각각 $64.77\%,\;53.47\%,\;40.33\%,\;24.78\%$로 처리농도의 증가에 따라 부화율이 감소되었다. (4) 처리후 산란 시기별로 산하된 란의 부화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처리후 10-12일까지는 부화율이 감소하다가 그후 다시 증가하는 회복현상을 보였다. (5) 고농도 처리구인 $0.5\%$구에서는 처리후 1-3일에 산하된 란의 부화율이 낮았고 10-12일 이후에도 회복의 속도가 느렸다. 이와같은 현상은 배우자 형성 과정에서 영향을 받는 시기의 범위가 넓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6) 유충기 치사율은 대조구 $6.55\%$에 비하여 $0.0635\%,\;0.125\%,\;0.25\%,\;0.5\%$구에서 각각 $17.89\%,\;27.40\%,\;35.43\%,\;52.17\%$로 처리농도의 증가에 따라 치사율의 증가를 보였다. (7) 난기 치사율과 유충기 치사율의 관계는 $0.125,\;0.25,\;0.5\%$ 처리구에서 상관계수가 각각 r=+0.89, +0.83 및 +0.85로 난기 치사와 유충기 치사는 동일형의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8) 치사인자 발현에 대한 난기와 유충기의 감수성은 각각 $SC_{50}=0.133\%$$LC_{50}=0.565\%$초 난기가 유충기보다 감수성이 쳤다. 또한 미우화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 둘의 공동작용의 결과임으로 $LC_{50}=0.09\%$로 더욱 감수성이 컸다. (9) $F_1$대의 우화 성충은 $0.125\%,\;0.25\%\;,\;0.5\%$ 처리구에서 암컷대 숫컷의 비율이 100 : 125, 100 : 108 및 100 : 124로 숫컷의 출현빈도가 높은 듯 하였으나 우화 개체수가 적은 관계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10) $P_1$이 처리후 16-18일에 산하한 난에서 우화한 $F_l$ 웅충을 무처리 자충과 교배하였을 때 $0.0625\%$구에서는 $13.88\%,\;0.125\%$ 구에서는 $33.04\%$의 난기 치사율을 나타내었고 $F_2$도 각각 $31.01\%$$38.73\%$의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어 염색체 이상의 결과라고 생각되었다. (11) $F_2$ 세대의 유충기 치사율은 자충 퇴교배구가 웅충 퇴교배구 보다 높았고 $F_l$ 형매교배에서 가장 높았다. (12) $F_2$$BC_1$ 세대의 유충발육은 산난후 제17일에 1-2영충이 대조구 $10.98\%$에 비해 자충 퇴교배구, 웅충 퇴교배구 및 $F_2$구에서 각각 $7.26\%,\;32.98\%$$15.73\%$로 분화의 지연작용을 나타내는 듯하였다. (13) $F_3$ 세대에서도 난기 및 유충기 치사율이 형매교배구가 퇴교배구 보다 높았다. 이는 열성치사인자가 영향한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14) Hempa 처리에 의하여 유기된 불임은 주로 전좌나 결실과 같은 염색체 이상로 유기되는 우성치사돌연변이에 기인된 것이라고 생각되었으며 이들 인자의 영향은 처리 후 제3세대에까지 전달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온도와 습도가 벼멸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Temperatures and Relative Humidities on the Development of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Zugens (Stal))

  • 박창규;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2-270
    • /
    • 1983
  • ${\cdot}$습도가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30, 25, $20^{\circ}C$의 세 수준의 온도구 내에 습도를 95, 75, 65, $35\%$의 네 수준으로 하여 2세대까지 개체사육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5^{\circ}C$에서 벼멸구의 발육과 비교해 볼 때 $30^{\circ}C$에서는 난기간, 약충기간, 성충수명이 단축되었고 약충의 사망률은 증가하였으며 산란수는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산란된 난은 수정이 되지 않았거나 배자발육도중 죽음으로서 부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2. $25^{\circ}C$와 비교하여 $20^{\circ}C$의 저온에서는 난과 약충 발육기간이 상당히 지연되었고 성충수명이 짧아졌으며 산란수가 크게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부화율도 감소하였다. 3. 약충의 치사율은 RH $75\%$ 이상의 비교적 높은 습도조건에서 높았으며 또한 다습조건에서는 성충의 수명이 단축된 결과 산란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