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nman-Monteith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in a Forest Watershed in Central Korea (중부(中部) 산림(山林) 지역(地域)의 증발산량(蒸發散量) 추정(推定))

  • Kim, Je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8 no.1
    • /
    • pp.86-92
    • /
    • 1999
  • Evapotranspiration is one of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ecosystem processes such as vegetation distribution and growth. It acts as a limiting factor for natural water resource management. The transpiration of vegetation is mainly determined by climatic factors. The lower slope of the study area was densely forested with Pinus densiflora S. et Z. of 8 m height, and the upper slope was covered with poorly grown Pinus densiflora S. et Z. and Quercus trees.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was estimated to 590.3 mm/yr by annual water budget method. The canopy resistance of Penman-Monteith model was determined as 99 s/m. Seasonal evapotranspiration can be estimated with the calculated evaporation and the canopy resistance.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peaked in May. That is considered from both the direct evaporation of intercepted rainfall and the transpiration of vegetation during the dry spring season.

  • PDF

Calibration of the Hargreaves Equation for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on a Nation-Wide Scale (우리나라 기준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Hargreaves 계수 산정)

  • Lee, Khil-Ha;Park, Jae-Hye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6B
    • /
    • pp.675-681
    • /
    • 2008
  • In this study, the daily-base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was evaluated with Hargreaves equation at the 23 meteorological stations for the time period of 1997-2006. The Hargreaves coefficient was self-calibrated to give the best fit with Penman-Monteith evapotranspiration, being regarded as a reference. On the basis of the estimated parameter set, a generalized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Hargreaves evapotranspiration by just using temperature data.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water resources planning, irrigation schedule,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Comparis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ethods with limited data in South Korea

  • Jeon, Min-Gi;Nam, Won-Ho;Hong, Eun-Mi;Hwang, Seonah;Ok, Junghun;Cho, Heerae;Han, Kyung-Hwa;Jung, Kang-Ho;Zhang, Yong-Seon;Hong, Suk-You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46 no.1
    • /
    • pp.137-149
    • /
    • 2019
  • Accurate estimati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RET) is important to quantify crop evapotranspiration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hydrological,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fields. It is estimated by different methods from direct measurements with lysimeters, or by many empirical equations suggested by numerous modeling using local climatic variables. The potential to use some such equations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the necessary meteorological parameters for calculating the RET in specific climatic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per RET equations using limited climatic data and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trends of the RET in South Korea. We evaluated the FAO-56 Penman-Monteith equation (FAO-56 PM) by comparing several simple RET equations and observed small fan evaporation. In this study, the modified Penman equation, Hargreaves equation, and FAO Penman-Monteith equation with missing solar radiation (PM-Rs) data were tested to estimate the RET. Nine weather stations were considered with limited climatic data across South Korea from 1973 - 2017, and the RET equations were calculated for each weather station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mean error (ME), mean absolute error (MAE),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The FAO-56 PM recommended by the Foo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showed good performance even though missing solar radiation,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data and could still be adapted to the limited data conditions. As a result, the RET was increased, and the evapotranspiration rate was increased more in coastal areas than inland.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the Hargreaves Equation for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in Gyeonggi Bay Watershed (경기만 유역의 기준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Hargreaves 공식의 보정 및 검정)

  • Lee, Khil-Ha;Cho, Hong-Yeon;Oh, Nam-S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4
    • /
    • pp.413-422
    • /
    • 2008
  • It is essential to locally adjust the Hargreaves parameter for estimating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with short data as a substitute of Penman-Monteith equation. In this study, evaluation of daily-base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is computed with Hargreaves equation. in Gyeonggi bay area including Ganghwa, Incheon, Suwon, Seosan, and Cheonan station for the time period of 1997-2004. Hargreaves coefficient is adjusted to give the best fit with Penman-Monteith evapotranspiration, being regarded as a reference. Then, the preferred parameters are validated for the same stations for the time period of 2005-2006. The optimization-based correction in calibration for 1997-2004 shows improved performance of the Hargreaves equation, giving 0.68-0.77 to 0.92-0.98 in Nash-Sutcliffe coefficient of efficiency (NSC) and 14.63-23.30 to 5.23-11.75 in RMSE. The validation for 2005-2006 shows improved performance of the Hargreaves equation, giving 0.43-0.85 to 0.93-0.97 in NSC and 14.43-26.81 to 6.48-9.09 in RMSE.

A Study on Evaporation Estimation of Tank Model (Tank 모형의 증발산량 산정에 관한 연구)

  • Jung, Il-Won;Koo, Bo-Young;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46-1750
    • /
    • 2006
  • 다양한 목적의 장기유출분석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4단 Tank 모형의 증발산관련 입력자료는 증발접시자료를 이용하거나 또는 장기간의 유량과 강수량의 차이로 정의되는 월별 손실량을 계산한 결과를 사용하고 있다. 증발접시자료는 자료 구득문제와 신뢰성 문제 등으로 인해 적용사례가 적고 통상 인근 관측지점의 손실량을 계산하고 이를 전이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증발산량 산정방법은 장기적인 유량 자료를 보유한 인근 관측지점이 있어야 적용할 수 있다는 점과 관측지점의 자료 신뢰성에 따라 유출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수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Hamon 방법과 Jensen-Haise 방법 및 FAO Penman-Monteith 방법을 검토하여 Tank 모형 계산에 필요한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유역별 실제손실량은 지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잠재증발산량을 실제증발산량으로 보정하는 월별보정계수를 지형인자로부터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Spatial Evapotranspiration Using satellite images and SEBAL Model in Chungju dam watershed (위성영상과 SEBAL 모형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공간증발산량 산정 및 평가)

  • Ha, Rim;Shin, Hyung-Jin;Park, Min-Gi;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7-51
    • /
    • 2009
  •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것은 자연현상과 인문현상을 이해하는 것의 기초가 된다. 이에, 최근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소개할 SEBAL (Surface Energy Balance Algorithm for Land) (Bastiaanssen, 1995) 모형은 Landsat이나 NOAA 또는 MODIS 같은 원격탐사 위성으로부터 획득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위성영상)를 이용하여, 지표에서 일어나는 증발산과 기타의 에너지 교환을 계산하는 이미지-프로세싱 모델이다. 우리나라 대상 유역에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SEBAL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여, 유역 내 증발산량 분포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은 유역 면적 약 6661.1km2의 충주댐 유역으로, Terra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였다. SEBAL 증발산량의 평가를 위해 Penman-Monteith 공식에 의해 계산된 증발산량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오차가 허용 가능한 10% 이내로 나타났다.

  • PDF

Temporal variability of Evapotranspiration simulated by different models at the croplands

  • Choi, Min-Ha;Lee, Jin-Woo;Kim, Tae-Woong;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535-539
    • /
    • 2009
  • Evapotranspiration (ET) is one of the main factor to understand the hydrologic cycle on land surfaces of entire globe. It accounts for about 65% of precipitation returning to the atmosphere. Accurate estimation of the ET is essential to many applications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hydrology, meteorology, climatology, and agriculture.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re have been extensive efforts to develop and validate a number of ET models. Priestley-Taylor (P-T) an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Penman-Monteith (P-M) models are generally recognized as simple, but great operational approaches to estimate ET over different land cover types. In this study, we compare/validate different models of increasing complexity, P-T, P-M, and Common Land Model (CLM) in croplands, IA.

  • PDF

Comparison of Two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odels Using Satellite Imagery (인공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한 두 공간 증발산 산정 모형의 비교 분석)

  • Hwang, Kyo-Taek;Sur, Chan-Yang;Kim, Hyun-Woo;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5-39
    • /
    • 2011
  • 토양과 식물의 잎에서 일어나는 증발산은 주로 증발접시, 침루계 등을 이용하여 실측하거나 에디 공분산, Bowen 비 등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이러한 지점별 실측 자료는 공간적인 변동성이 큰 수문기상인자 특성상 지역적인 대표값으로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증발산 관측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기반으로 한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Penman-Monteith (PM)와 Priestley-Taylor (PT) 공간 증발산 산정 모형을 적용, 우리나라 증발산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산정하였다. Terra 인공위성에 탑재된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로부터 제공되는 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에 연구된 증발산 모형을 이용하여 증발산을 산정하고 이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토양 및 식생이 소비하는 물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시공간적으로 파악하여 정부 차원의 수자원 관리 계획 수립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using Daily Sunshine Hour (일조시간을 이용한 기준 증발산량 추정)

  • Lee, Khil-Ha;Cho, Hongye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0 no.5
    • /
    • pp.627-640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일사량과 일조시간에 관한 통상적인 선형관계식보다 정확한 비선형 관계식에 대한 적용검토를 수행한다. 일조시간을 이용한 일사량 추정에 이어서 Penman-Monteith 방정식을 이용하여 기준 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우리나라 20개 지점의 1997년부터 2006년까지의 일사량 및 일조시간 자료를 포함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선형 그리고 수정 비선형 Angstrom 방정식을 보정하고 기준 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일조시간과 일사량 사이의 선형과 비선형 관계식을 이용한 기준 증발산량의 상대비교를 수행하였다. 선형 및 비선형 관계식을 이용한 방법 모두 RMS 오차는 5.96, NSC(Nash-Sutcliffe Coefficient)는 0.95로 추정되었고, 그 차이는 매우 미미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일사량이 기준 증발산량에 크게 기여하는 하계에는 그 차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개선된 비선형 관계식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엄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Distribution using LAI (LAI를 고려한 유역 증발산량 분포 분석)

  • Kim, Joo Hun;Kim, Kyung Tak;Park, Jung So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276-1279
    • /
    • 2004
  • 수문순환 과정에서 증발산은 물이 유역으로부터 제거되는 주요 기작으로서, 증발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식물은 지구 육지 표면의 약 $70\%$ 정도를 점유하고 있으며,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구성인자로서, 식물의 종류 및 군집의 공간적 분포유형, 생육주기 및 형태적 변화 등과 같은 정보들은 그 지역의 기후, 토양, 지질, 지리적 특성을 밝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생관련 정보 중 엽면적 지수란 단위지표면적당 총 엽면적의 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환경생태, 기상, 수문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위성영상과 DEM 등의 GIS 자료를 이용하여 지형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유역의 증발산량을 분포형으론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유역은 한강의 제1지류인 경안천유역으로 하였고, 증발산량 산정에 필요한 기상자료는 월평균기온, 수평면일사량, 상대습도를 이용하였고, 일사량비와 일조시간비 계산을 위해 위도별에 따른 총일조시간과 월평균일사량을 계산하였다. 잠재증발산량 산정은 Penman-Monteith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식생지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LAI를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