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icillium verruculosum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Penicillium verruculosum의 Acicelase 생성에 대한 Cellobiose Octaactate와 Avicel 및 KC-flock 의 영향 (Effect of Cellobiose Octaacetate, Avicel, and KC-flock on Production of Avicelases from Penicilliurn verruculosum)

  • 조남철;김강화;전순배;정기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3-389
    • /
    • 1990
  • Penicillium verruculosum 섬유소 분해효소의 유도물질인 KC-flock 및 cellobiose octaacetate(COA)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포함하는 배지에서 21일간 배양하면서 배양여액 중의 섬유소 분해효소 각 성분의 활성도와 전기영동상의 단백질 양상을 검토하였다. 배양여액의 중의 총단백질 생성 및 섬유소 분해활성의 유도 효과는 COA 배지가 다른 두 배지의 3배 이상이었다. 배양기간의 증가에 따라 배양여액 중의 총단백질량이 증가되었는데 CMC 분해활성이나 $\beta$-glucosidase 활성의 증가보다는 avicel 분해활성도의 증가가 총단백질량의 증가와 유사하다.

  • PDF

Purification of carbosymethyl cellulase from hybrid between aspergillus niger and penicillium verruculosum

  • Yang, Young-Ki;Lee, Jung-Sup;Park, Hyung-Nam;Moon, Myung-Nim;Kim, Hong-Sub;Kim, Jong-Se;Lim, Chae-Young;Rhee, Young-Ha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4권1호
    • /
    • pp.90-94
    • /
    • 1996
  • The carboxymethyl cellulase (CMCase) was purified from the induced culture filtrate of hybrid TAPW15703 between Aspergillus niger and penicillium verruculosum made by nuclear transfer. The enzyme was purified 80 fold with an overall yield 17% from the culture medium by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Sephadex G-75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nd DEAE-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MCase has estimated to be 32,000 daltons on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Sephadex G-150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purified enzyme functions optimally at pH 4.0 and 4$0^{\circ}C$ The Km value for carbosymethyl cellulose was 68 mM. The enzyme activity was increased by the presence of $Mg^{2+}$and Mn$^{2+}$.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ta}-Glucosidase$ from Penicillium verruculosum

  • Chun, Soon-Bai;Kim, Dong-Ho;Kim, Kang-Hwa;Chung, Ki-Ch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188-196
    • /
    • 1991
  • The ${\beta}-glucosidas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the culture filtrate of P. verruculosum by column chromatography. The enzyme was a glycoprotein with a relative size of approximately 220 kDa with an isoelectric point of 4.8, which was composed of dimeric protein of 105 kDa. The enzyme was stable up to $60^{\circ}C$ and the presence of glycerol significantly increased its thermostability. The enzyme was found to hydrolyze both ${\beta}-aryl$ and ${\beta}-alkyl-glucosides$ in addition to ${\beta}-glucosyl$ glucose and catalyzed glucosyl transfer to cellobiose. The enzyme attacked laminarin in an exotype-like fashion. The apparent Km's of the enzyme toward cellobiose, laminaribiose, laminarin were 0.53 mM, 0.35 mM and 1.11 mM, respectively. Glucose and glucono-${\delta}-lactone$ were competitive inhibitors for the enzyme. Copper ($Cu^{2+}$), mercury ($Hg^{2+}$) and p-chloromercuribenzoate were strong inhibitors of the enzyme. The immunoblotting result revealed that one form of ${\beta}-glucosidase$ was biosynthesized, irrespective of carbon sources used.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the in vitro translated product of total RNA from avicel grown mycelium established that the P. verruculosum ${\beta}-glucosidase$ precursor was approximately 95 kDa in size.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are given.

  • PDF

섬유소분해효소 생산증진을 위한 Penicillium verruculosum의 균주개량 (Strain Improvement of Penicillium verruculosum for High Cellulase Production by Induced Mutation)

  • 정기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388-395
    • /
    • 1987
  • 천연섬유소 분해활성이 우수하고 그 효소 유도기구도 Trichoderma reesei와는 다른 Penicillium verruculosum F-3을 모균주로 사용하여 돌연변이 처리에 의한 유전적 개량을 시도함으로써 cellulase 생산성이 증진된 조절변이주를 얻고자 변이주 유도조건 변이주에 의한 cellulase 생성조건을 검토하였다. 한천평판상에서의 변이주의 선택분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 colony 소형화제의 영향을 검토한 바 Oxgall을 배지에 1.5% 첨가하였을 때가 가장 좋았다. Cellulase 고생산성 변이주 선정의 한 지표로서 대사산물 억제의 해제를 선택했다. P. verruculosum F-3은 glucose 또는 glycerol 농도 1% 이상에서 본 효소생성이 억제되었다. 변이주 유도조건으로서 UV조사의 경우는 19분 처리로 약 0.2%, NTG 처리의 경우는 200$\mu\textrm{g}$/$m\ell$ 농도로 1시간처리로 48%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변이처리 한 균주를 여지붕괴도, cellulose agar plate에서의 clear zone의 크기, cellulose powder 배지로 배양한 조효소액의 여지분해활 성을 조사하여 우수균주로서 UV-9, UV-10 및 NTG-3을 최종 선발했다. 각종 탄소원을 함유하는 배지에서의 cellulase 생산성을 조사한 바 KC-M-W 배지로 배양한 UV-9, UV-10 및 NTG-3의 여지분해 활성은 친주보다 각각 34%, 55%, 41% 증가되었으나, UV-9 및 NTG-3은 COA 자화능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변이주 UV-10은 COA-4 배지로 배양했을 때 친주에 비해 단백질량 30%, Avicel 분해활성 30%, 여지분해활성 20%, salicin 분해활성 50% 증가가 인정되었고, 비록 역가는 낮았지만 glucose 및 cellobiose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CMC 및 salicin 분해활성을 구성적으로 생산하였다.

  • PDF

한국 논 토양중의 균류에 관한 연구 II. 토양균류상 (Fungus flora of paddy fields in Korea. II. Fungal flora of paddy fields.)

  • Kyung Hee MIN;CHUN Kyung Sook;Tadayoshi ITO;Tatsuo YOKOYAMA
    • 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51
    • /
    • 1982
  • 한국의 논에서 나타나는 토양균류상을 서울근방 두곳 즉 역곡동과 신월동에서 4계절을 통해 채취한 토양표본을 희석평판배지법에 의해 분리했다. 총 85개 순수배양균을 분리했고, 그중 13속, 30종을 동정했다. 동정된 30종중 6종은 불완전 균류로 한국에서 처음으로 이 논문에 기재하였다. 불완전균류중 논토양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은 대부분이 Penicillium 속이다 그 중 한국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종류로는 Penicillium funiculosum, P. piceum, P. roqueforti 그리고 P. verruculosum 등이었다. P. piceum의 경우는 가문비나무같은 상록수와 유사한 전형적인 원추형 분생자루가 현저한 특징을 나타낸다. P. roqueforti는 penicilli가 부정형으로, 빽백하게 분기된 metulae와 밀착 또는 분산상의 phialide를 가지며 stipes는 두텁고 많은 입자를 가진 벽을 형성하고 있다. 그외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Paecilomyces variotii도 분리되었으며, Zygomycete 중에서는 Zygorhynchus moelleri가 가장 우세하게 분포되어 있는 종으로써 난형 Columella를 가지고 있는 아구형포자낭과 직경 $35\mu\textrm{m}$의 암색인 접합포자를 형성한다.

  • PDF

Penicillium verruculosum으로부터 Cellobiohydrolase의 정제 및 특성

  • 조남철;김강화;전순배;정기철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199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7-199
    • /
    • 1991
  • Penicillium verruculosum 배양액으로부터 소단위체 분자량이 60,000(cellobiohydrolase I)과 66,000(cellobiohydrolase II) 및 76,000(cellobiohydrolase III)인 cellobiohydrolase를 분리 정제하여 그들의 일반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들 세 효소들은 모두 당단백질로서 cellobiohydrolase I, II 그리고 III는 각각 $8.6\%$, $4.2\%$ 그리고 $8.5\%$의 당함량을 나타냈으며 세 효소 모두 pH 4.5 - 5.0, 온도 $50 - 60^{\circ}C$에서 최적조건을 나타냈다. Cellobiohydrolase I, II 및 III는 모두 Avicel, cotton, 여지 등의 결정성 섬유소 뿐만 아니라 carboxymethyl cellulose에도 활성도를 나타냈다. 정제된 cellobiohydrolase I, II 및 III의 Avicel에 대한 비 활성도는 각각 0.07, 0.10, 그리고 0.07 unit per mg. of protein 이었으며 Avicel 분해 생성물은 거의 cellobiose였다. 또한 p-Nitrophenyl-$\beta$-D-cellobioside를 기질로 하였을 때 이들 세 효소 모두 포도당에 의해 활성도가 저해되지 않은 반면 cellobiose에 의해서는 저해되었다. 아미노산조성, 트립신에 의한 펩타이드들의 용출양상 그리고 항체를 이용한 Immunoblotting 결과로부터 cellobiohydrolase II와 III는 동일 유전자산물이거나 1차 구조가 거의 유사한 단백질로 추정된다. Cellobiohydrolase II로부터 분리한 2 개의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Trichoderma cellobiohydrolase I과 상동성을 보였으며 또한 이 두 호소의 아미노산조성은 매우 유사하였다.

  • PDF

Penicillium verruculosum 으로부터 분생자 원형질체의 생성과 재생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Conidial Protoplast from Penicilliun verruculosum)

  • 김정호;허정원;정희종;이용규;정기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54-159
    • /
    • 1992
  • 섬유소 분해능이 우수한 P. verruculosum 의 분생포자로부터 원형질체의 생성 및 재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균의 원형질체 생성을 위한여 2-deoxy-D-glucose(2-DG) 가 첨가된 최소배지에서 분생포자를 10-12 시간 전배양 시킨후 시판 세포벽분해효소들을 작용시켜 본 결과 그중 Novozyme 234 (1%, w/v) 에서 50% 이상의 가장 좋은 원형질체 생성 수율을 보였다. 전배양 되지 않은 포자로부터는 원형질체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원형질체 생성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테로서 2-DG 의 효과가 무첨가에 비해 2배 이상의 수율을 증가시켰다. 포자 원형질체의 재생율은 49.2% 로 동 균주의 균사체 원형질체의 재생율4.6-27.8%(삼투압 조절체로서 0.6 M magnesium sulfate) 보다 높았다. 원형질체 생성 및 재생을 위한 상투압 안정제로서는 0.6M ammonium sulfate 와0.6 M magnesium sulfate가 가장 적절하였다. 광학 형미경을 통하여 부풀린 포자로부터 원형질체의 생성과정과 두 가지 각기 다른 양상의 재생과정이 관찰되었다.

  • PDF

Penicillium verruculosum의 세포융합에 관한 연구

  • 정기철;박창렬;배석;전순배;김기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8.2-528
    • /
    • 1986
  • 섬유소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P. verruculosum으로부터 유도된 영 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원형질체 융합을 위한 조건을 검토하였다. 18-20시간 배양한 각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 균사체에 Novozym 234를 처리하여 원형질체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원형질체 생성량은 각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균사체 40mg (dry weight) 당 2.4-3.0$\times$10/suo 7/수준이었고, 원형질체 재생 완전 배지상에서의 환원율은 26.6-42.4% 수준이었다. 원형질체 융합을 위한 Polyethylene glycol (PEG) 6000의 최적농도는 20%였으며, PEG 최적 처리시간은 10분, CaCl$_2$의 최적 첨가농도는 10mM, 최적 pH는 5.5였고, 원형질체 융합 최적조건 하에서의 융합율은 1.8$\times$$10^{-3}$ 수준으로 나타났다. 모균주와 융합체로부터 측정된 DNA 양의 차이로 보아 융합체의 염색체는 aneuploid 상태임을 알 수 있었으며, filter paper를 기질로 한 Cellulase 활성측정에서 융합체가 야생형 균주보다 2배이상, 모균주 보다는 1-3배 이상 향상되었다.

  • PDF

Distribution of Alcohol-tolerant Microfungi in Paddy Field Soils

  • Choi, Soon-Young
    • Mycobiology
    • /
    • 제31권4호
    • /
    • pp.191-195
    • /
    • 2003
  • Ethanol treatment method was attempted for the selective isolation of ethanol-tolerant fungi from two sites of rice paddy fields around Seoul area. The vertical and seasonal fluctuation of the fungal population were also investigated. The ethanol-tolerant fungi were Talaromyces stipitatus, T. flavus var. flavus, T. helicus var. major, Eupenicillium javanicum, Emericellopsis terricolor, Pseudourotium zonatum, Aspergillus flavus,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Penicillium frequentans, P. janthinellum, and P. verruculosum. The most dominant species isolated by this method was T. stipitatu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s of fungal species and colony forming units(CFUs) of ethanol-tolerant fungi were higher in Ascomycota than in Deuteromycota. A particular tendency appeared the highest CFUs in autumn, but lower in spring and winter. T. stipitatus was the dominant species of ethanol tolerant microfungi. This result would suggest that membrane lipid composition of ethanol-tolerant fungi isolated from the soils may play on important role in the ethanol tole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