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icillium funiculosu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1초

Trichoderma viride와 Penicillium funiculosum Cellulase 성분효소 간의 상승작용에 관한 연구 (Cross-Synergistic Interactions between Trichoderma viride and Penicillium funiculosum Cellulase)

  • Hong, Jeong-Hwa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40-348
    • /
    • 1993
  • Penicillium funiculosum과 Trichoderma viride cellulase의 정제효소들을 사용하여 cross-synergism을 조사하였다. Exo-exo형 상승작용이 Avicel을 분해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exo-endo형은 다소 효과가 떨어졌다. 정제효소성분과 이종의 조효소를 혼합하여 70시간 이상 Avicel을 가수분해하며 생성된 total sugar를 측정한 결과, P. funiculosum cellulase에서 분리정제한 $\beta$-glucosidase 성분효소는 T. viride cellulase와 상승작용을 크게 나타내며 Avicel을 가수분해하였다. 또한, T. viride cellulase에서 분리정제한 exoglucanase 성분효소도 P. funiculosum cellulase의 가수분해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와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이종의 cellulase로 부터 부족한 성분효소를 보충시켜 효소성분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Avicel의 가수분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때 최대한 높은 가수분해를 얻기 위하여 여러 형식의 상승작용이 같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PDF

메주에서 분리한 불완전균(Hyphomycetes)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phomycetous fungi found on Maejus,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sources)

  • 이상선;박광호;최경진;원순애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7-272
    • /
    • 1993
  •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수집한 메주에서 곰팡이만 48개의 균주를 순수분리하여, 29 종으로 동정하였다. 29 종의 fungi 중에서 불완전균은 3 속 20종으로 Aspergillus 속의 균 5 종, Scopulariosis 속의 1 종, Penicillium 속의 균 14종이 동정되었다. 메주에 서식하는 불완전균에는 Penicillium 속이 14종으로 다앙하게 나타났으나, 메주발효에 중요 역할을 하는 균은 아닌것으로 고려되었다. Sc. brevicaulis는 여러 메주에서 발효를 잘 시켰으며, Aspergillus 속의 균에서는 A. flavus보다 A. oryzae가 콩을 더 잘 발효시켰다. Sc. brevicaulis, A. oryzae, P. tulolense, 및 P. funiculosum의 4 개종으로 만들어진 메주에서 단간장 맛이 강하였다.

  • PDF

한국 논 토양중의 균류에 관한 연구 II. 토양균류상 (Fungus flora of paddy fields in Korea. II. Fungal flora of paddy fields.)

  • Kyung Hee MIN;CHUN Kyung Sook;Tadayoshi ITO;Tatsuo YOKOYAMA
    • 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51
    • /
    • 1982
  • 한국의 논에서 나타나는 토양균류상을 서울근방 두곳 즉 역곡동과 신월동에서 4계절을 통해 채취한 토양표본을 희석평판배지법에 의해 분리했다. 총 85개 순수배양균을 분리했고, 그중 13속, 30종을 동정했다. 동정된 30종중 6종은 불완전 균류로 한국에서 처음으로 이 논문에 기재하였다. 불완전균류중 논토양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은 대부분이 Penicillium 속이다 그 중 한국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종류로는 Penicillium funiculosum, P. piceum, P. roqueforti 그리고 P. verruculosum 등이었다. P. piceum의 경우는 가문비나무같은 상록수와 유사한 전형적인 원추형 분생자루가 현저한 특징을 나타낸다. P. roqueforti는 penicilli가 부정형으로, 빽백하게 분기된 metulae와 밀착 또는 분산상의 phialide를 가지며 stipes는 두텁고 많은 입자를 가진 벽을 형성하고 있다. 그외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Paecilomyces variotii도 분리되었으며, Zygomycete 중에서는 Zygorhynchus moelleri가 가장 우세하게 분포되어 있는 종으로써 난형 Columella를 가지고 있는 아구형포자낭과 직경 $35\mu\textrm{m}$의 암색인 접합포자를 형성한다.

  • PDF

셀룰라제를 이용한 갈락코올리고당의 생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Galactooligosaccharide Production Using Cellulases)

  • 신현재;양지원
    • KSBB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317-322
    • /
    • 1996
  • 식품 및 화장품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기능성 올리고당인 갈락토올리고당을 생룰로스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생산하였다. 여섯가지의 효소 시료 가운데, P Penicillium funiculosum에서 유래한 셀룰로스 가수 분해 효소가 가장 높은 올리고당 생산 수율을 보였다. 올리고당 생산을 위한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50^{\circ}C$,와 5.0이었으며 유당농도와 효소농도사at의 최 적비는 lO(w/w) 이었다. 시간에 따른 올리고당 생산 반응의 경향성은 유당분해 효소 반응과 유사하였 으며 초기 유당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되는 올리 고당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최척반응조건에서 20% (w/v)의 유당으로 부터 최고 23%(w/w)의 올리고 땅을 얻을 수 있었다. 생성된 올라고당의 성분은 고 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프와 박층 크로마토그래프 분석 을 통하여 삼당과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오향(五香) 성분의 살균 및 살충효과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Ohyang (Five Medicinal Plants))

  • 정용재;이규식;한성희;강대일;이명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30
    • /
    • 2001
  • 정향, 유향, 곽향, 청목향, 그리고 침향의 에탄올 및 휘발성 추출물의 항균력 및 살충력 실험결과, 정향의 에탄올 및 휘발성 추출물은 실험균주 4종(Mucor hiemalis, Aspergillus niger, Penicillium funiculosum, Trichoderma viride)에 대해서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으며, 유향의 휘발성 추출물은 실험균주 M. hiemalis, A. niger, P. funiculosum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공시충 흰개미에 대해서 정향 에탄올 추출물이 접종 후 48 시간 뒤에 $100\%$ 살충력을 보였고, 청목향 에탄올 추출물은 72 시간 뒤에 개체를 $32\%$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휘발성 추출물에 대한 살충력 실험은 흰개미에 대해서 정향 추출물이 48시간 내에 $100\%$의 사충력을 보였다. 넓적나무좀에 대한 살충력은 정향이 접종 후 7일 내에 $19\%$의 사충력을 보였다. 정향의 휘발성 추출물에서 9 개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정향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가장 큰 농도$(92\%)$를 차지하고 있는 eugenol은 항균활성 물질로써 확인되었다.

  • PDF

창덕궁 소장 지류 및 섬유질유물의 가해생물 분포조사

  • 민경희;안희균;한성희;정희진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5호
    • /
    • pp.148-166
    • /
    • 1984
  • The Investigation of organisms damaged to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y in the Ch'ang Dok Palace The investigation of the airborne fungi, the attached fungi to the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to the insects inhabiting at the Ku Sonwon Jon, Shin Sonwon Jon and Yonwa ch'anggo in the Ch'ang Dok Palace carried out from Jul. 10 to Jul. 21,1984.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airborne fungi from the three storages were Cladosporium sp., Alternaria alternata, As pergillus cervinus, A. flavus, A. nidulance, A. oryzae, A. terreus, A. versicolor, A. wentii, Penicillium adametzii, P.albicans, P.canescens, P. citreo-viride, P. citrinums, P. decumbens, P. frequentans, P. funiculosum, P.herquei, P.implicatum, P.multicolor, P.nigricans, P.nonatum,P.purpurogenum, P.roqueforti, P.viridicatum, Trichodema viride, Geotrichumcandidum, Curvvlaria lunata, Torula hebarum, T.thermophila, Itersoniliasalmonicolor, Drechsclera avenue, Candida sp., Acremonium sp., and Botrytis sp., It was found that thirty five species in thirteen genera was isolated. Among them, the dominant species was Cladosporium sp., and the order was Penicillium, Aspergillus, Alternaria and so on.2. The attached fungi directly isolated from the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ies were twenty-nine species in fourteen genera, namely, Acremonium sp., Albertiniella sp., Alternaria alternata, Aspergillus clavatus,A.niger, A.ornatus, A.versicolor, Botrytis sp., Bysochlamys sp., Carpenteles sp.,Chaetomium globosum, Cladosporium sp., Eurotium sp., Mucor sp., Penicilliumcanescens, P.chermesium, P.citrinum, P.frequentans, P.funiculosum, P.herqueiP .implicatum, P.javanicum, P.luteum, P.purpurogenum, P.thomii, P.viridicatum, Torula thermophila, Trichoderma koningi and T.viride. Among them, the mostfungi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was Penicillium and the order was Aspergillus, Alternaria, Cladosporium, Trichodermaand so on.3. The insects collected the three storages were ten genera and ten species including 916 specimens. By classifying the insects collected, the most species of the insects was Stenoscelodes hayashii of 857 specimens occupied about 93% of the total insect. And the other insects were collected as Microgamme costipennisAnobium pertinax, Xenomimetes alni, Anthrenus verbasci, Holoparmecus signatus,Thermobia domestica, Halyomorpha brevis, Drosophila coracine and Brattaorientalis. As described above, it could be known that the most airborne fungi was Cladosporium and the order was Penicillium, Aspergillus, Alternaria in the three storages. And the most attached fungi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was Penicillium and the other fungi were Aspergillus, Alternaria Cladosporium, Trichoderma and so on. Accordingly, from the results, itwas assumed that the major part of airborne fungi were attached to the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ies. The paper and cellulose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ies in Ch'ang Dok Palace were chiefly damaged by S.hayashii in Coleoptera.

  • PDF

Efficient Constitutive Expression of Cellulolytic Enzymes in Penicillium oxalicum for Improved Efficiency of Lignocellulose Degradation

  • Waghmare, Pankajkumar Ramdas;Waghmare, Pratima Pankajkumar;Gao, Liwei;Sun, Wan;Qin, Yuqi;Liu, Guodong;Qu, Yinb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740-746
    • /
    • 2021
  • Efficient cellulolytic enzyme production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 mixtures. However, purification of cellulases from their native hosts is time- and labor-consuming. In this study, a constitutive expression system was developed in Penicillium oxalicum for the secreted production of proteins. Using a constitutive polyubiquitin gene promoter and cultivating with glucose as the sole carbon source, nine cellulolytic enzymes of different origins with relatively high purity were produced within 48 h. When supplemented to a commercial cellulase preparation, cellobiohydrolase I from P. funiculosum and cellobiohydrolase II from Talaromyces verruculosus showed remarkable enhancing effects on the hydrolysis of steam-exploded corn stover. Additionally, a synergistic effect was observed for these two cellobiohydrolases during the hydrolysis. Taken together, the constitutive expression system provides a convenient tool for the production of cellulolytic enzymes, which is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icient 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 mixtures.

Culturable Fungal Endophytes Isolated from the Roots of Coastal Plants Inhabiting Korean East Coast

  • Kim, Hyun;You, Young-Hyun;Yoon, Hyeokjun;Seo, Yeonggyo;Kim, Ye-Eun;Choo, Yeon-Sik;Lee, In-Jung;Shin, Jae-Ho;Kim, Jong-Guk
    • Myc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100-108
    • /
    • 2014
  • Twelve plant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to identify culturable endophytes present in their roots. The fungal internal transcribe spacer (ITS) region (ITS1-5.8SrRNA-ITS2) was used as a DNA barcode for identification of fungi. A total of 194 fungal strain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into 31 genera. The genus Penicillium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strains, followed by the genus Aspergillus. Furthermore, using 5 statistical methods, the diversity indices of the fungi were calculated at the genus level. After comprehensive evaluation, the endophytic fungal group from Phragmites australis ranked highest in diversity analyses. Several strains responsible for plant growth and survival (Penicillium citrinum, P. funiculosum, P. janthinellum, P. restrictum, and P. simplicissimum), were also identified.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sheds light on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coastal plants and fungi.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Cellulase에 의한 키토산올리고당의 제조 조건 설정 (Preparation Condition of Chitooligosaccharide by Cellulas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주동식;이정석;김옥선;조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96-701
    • /
    • 2002
  • Cellulase를 이용하여 키토산 올리고당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반웅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설정하였다 키토산 분해능과 산업적 활용의 측면에서 유리한 Pen. funiculosum 유래의 cello-lase를 예비 실험을 통해 결정하였다. 이 효소의 적정 반응 조건에서 경시적 키토산 분해율을 측정한 결과, 반응 10시간까지는 대수적 증가를 보였으나, 10시간 이후로는 완만한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총 26개의 실험을 행한뒤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설정한 키토산 분해 최적 조건은 기질 농도 $0.5\%$에 대해 효소 농도 143(U), 반응 온도 $49^{\circ}$, 반응 시간 13.2hr및 pH는 3.8이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최적의 조건에서 얻어진 키토산 분해물은 dimer와 trimer가 주된 올리고당이었고, 소량의 tetramer와 hexamer 그리고 monomer 등의 총 8종 정도의 올리고당이 검출되었다.

오향(五香) 성분의 살균 및 살충효과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ies of Ohyang (Five Medicinal Plants))

  • 정용재;이규식;한성희;강대일;이명희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1년도 제14회 발표논문집
    • /
    • pp.49-58
    • /
    • 2001
  • 정향, 유향, 곽향, 청목향, 그리고 침향의 에탄올 및 휘발성 추출물의 항균력 및 살충력 실험결과, 정향의 에탄올 및 휘발성 추출물은 실험균주 4종(Mucor hiemalis, Aspergillus niger, Penicillium funicutosum, Trichoderma viride)에 대해서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으며, 유향의 휘발성 추출물은 실험 균주 M. hiemalis, A. niger, funiculosum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공시충 흰개미에 대해서 정향 에탄올을 추출물이 접종 후 48시간 뒤에 $100\%$ 사충력을 보였고, 청목향 에탄을 추출물은 72 시간 뒤에 개체를 $32\%$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휘발성 추출물에 대한 살충력 실험은 흰개미에 대해서 정향 추출물이 48시간 내에 $100\%$의 살충력을 보였다. 넓적나무좀에 대한 살충력은 정향이 접종 후 7일 내에 $19\%$의 사충력을 보였다. 정향의 휘발성 추출물에서 9개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활성물질 탐색 결과 정향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가장 큰 농도$(92\%)$를 차지하고 있는 eugenol은 항균활성 물질로써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