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3초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Model for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 김영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07-814
    • /
    • 2015
  • 이 연구는 횡단면 조사연구로 Pender (1996)의 건강증진모형에 관한 선행 문헌고찰을 통해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설명,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고, 모형의 적합성과 제시된 가설을 PLS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유익성, 통제의 소재, 자기 효능감, 자아 존중감이 높을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검정한 결과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를 잘할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이용하여 구성한 대안학교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 예측모형은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향후에는 구강건강증진 예측모형에 입각한 구강건강증진방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여대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nteceden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신혜숙;신현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78-86
    • /
    • 2008
  • 본 연구는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가설적 모형을 도출하고, 여대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를 횡단적으로 조사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선행 문헌의 고찰을 근거로 선정되었으며, 총 280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설문지는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으며, 조정요인 5문항, 건강상태 지각 3문항, 건강 통제위 4문항, 자아 존중감 5문항, 건강증진 행위 24문항의 총 41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개발된 항목에 대하여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인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모형에 대한 구성개념의 파악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항목에 대한 요인별 단일 차원성 확인 및 통계적 검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는 카이제곱은 244.04(자유도=121, p<0.001), GFI=0.91, CFI=0.97, NNFI=0.96, RMSR= 0.022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위는 건강상태지각 및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여대생의 건강상태지각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로당 고령 여성의 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Effects of Exercise Program for Women of Old-Old Age in Senior Citizen Halls based on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이경임;은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1-8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developed for women of old-old age in senior citizen halls on the basis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for 60 minutes per day,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Results: After the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barriers to exercise, exercise self-efficacy, exercise social support, exercise behavior, physical fitn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between two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erceived benefits to exercis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exercise program of this study was useful to enhance exercise self-efficacy, exercise social support, exercise behavior, physical fit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o reduce the perceived barriers to exercise and depression of women of old-old age. Therefore, we recommend this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care.

노인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 - 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 서현미;하양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288-1297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305 elderly person over the age of 60, living in rural and urban, Korea.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2.46, The higher score on the subscale was nutrition(2.65). The lowest score on the subscale were physical activity(2,36) and stress management(2,36). General characteristic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were age, residential district, live together spouse, education, religion and pocket money in the elderl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 was prior related behavior(R2=.554). A combination of prior related behavior,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perceived self-efficacy,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accounted for $64.3\%$ of the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 Conclusi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for elderly were prior related behavior,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perceived self-efficacy,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for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박현옥;박경숙;권오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57-369
    • /
    • 2018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구조모형을 개발해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3년 7월 1일부터 2014년 2월 28일까지 한국거주 1년 이상인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적 모형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바탕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내생 변수로 구성하여 구축하였다. 수정된 모형의 적합 결과는 ${\chi}^2=112$(p<.001), RMSEA=0.069, GFI=0.937, NFI=0.910, CFI=0.948 였다. 수정 모형의 검정결과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을 55.2% 설명했으며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문화적응도가 건강증진행위를 29.3% 설명하였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은 자아존중감(${\beta}=.35$), 지각된 건강상태(${\beta}=.20$), 지각된 장애성(${\beta}=-.26$), 지각된 유익성(${\beta}=.2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효과를 확인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에게 제공되는 건강 정책에서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u-Health 시스템의 수용 태도에 대한 건강증진모형의 요인 영향: 남·녀 조절효과 중심 (Effect of HPM Factors on Adoption Attitude of u-Health System: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양영배;김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213-22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HPM)을 활용하여 유헬스 시스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는데 있고, 또한 제시된 연구 모형에서 성별 변수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건강증진모형에 근거하여 제시된 연구모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Smartpls 버전 2.0을 활용하여 부분최소자승법(PLS) 방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잠재적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모형에서 유헬스 시스템의 사용 태도에 대해 29% 정도의 설명력을 보여주었고, 경로에서 자기 효능감과 인지된 이점이 그 태도에서 유의한 통계적 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성별 변수의 조절 효과와 관련하여, 유헬스 시스템의 사용태도 측면에서 자기 효능감을 높일수록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관심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거주노인을 중심으로 (A Study of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Elderly: Focusing on Senior Citizens Living in Seoul)

  • 김혜숙;허준수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129-114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Health Promoting Behavior : HPB)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Ecological Perspective)에서 Pender (1996)의 건강증진모델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2009년 1월 18일부터 2월 28일 까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하였으며 총 49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평균값은 3.11(SD=0.41)로 나타났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모델I의 설명력은 5%이었으나 행위관련인지요인을 투입한 모델II에서 48.3%로 증가하였고, 환경요인을 투입한 모델III에서는 56.1%로 증가하였다. 모든 변수를 투입한 모델IV의 총설명력은 55.7%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지각된 유익성(β=.475)이 가장 높았으며, 그리고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지역사회환경, 주관적 건강상태, 교육 및 연령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적이고 지지적이며, 다양한 수준의 프로그램 개발, 둘째, 노인복지기관의 접근성 증진을 위한 환경의 조성, 셋째,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자조그룹의 조직, 넷째, 노인 친화적인 환경의 구축과 건강증진관련 시설 및 서비스들의 통합과 조정을 위한 지역단위 해결방안의 모색과 끝으로 노인복지 담당 사회복지사의 건강관련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Pender의 모형을 적용한 유방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 (Predictive Factors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소인숙;정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58-269
    • /
    • 2017
  • 본 연구는 Pender(1996)의 건강증진모형을 중심으로 유방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5년 9월 18일부터 10월 2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방암 환자 12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와 Scheffe 사후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은 사회적지지, 행동계획 몰입, 이전건강 행위,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자기효능감, 가족기능, 지각된 유익성, 상황적 영향 등 8가지 변수로 파악되었고, 총 설명력은 58%이었다. 이상으로 유방암 환자들이 재활기에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고 질 높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상승시키도록 돕는 간호중재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결과 유방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으로 밝혀진 사회적 지지, 행동계획 몰입, 이전건강 행위,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자기효능감, 가족기능, 지각된 유익성 및 상황적 영향 수준이 낮은 대상자들에게 특별히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다.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분석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윤순녕;김정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0-14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promoting behaviors(HPBs) and the related determinants affecting to women workers health based on the New Health Promotion Model by Pender(1996).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208 women workers at the 8 electronic manufacturing factories under the permission of data collection and cooperation with health managers in the factories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to October 1999.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PC+7.5 version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score for the HPBs, consisted of 6 subdimensions was 2.05. The highest mean score was 2.29 in 'Spiritual growth' and the lowest one was 1.66 in 'Physical activity'. 2.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charateristics and HPBs were found. 3. HPB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rior related behavior'(r=0.369, p<0.1), 'Perceived self-efficacy'(r=0.340, p<.01), 'Activity-related affect'(r=0.252, p<.01). 'Social support'(r=0.350, p<.01). 'Commitment to a plan action'(r=0.374, p<.01).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and HPBs. 4.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HPBs was 'Commitment to a plan action'. It was explained 14.0%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HPBs. 'Commitment to a plan action', 'Prior related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explained 23.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for improving th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sponsibility of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2. To facilitate and maintain HPBs of women workers, nurses may enhance and plan mutually interactive active HPBs with women workers. 3. Social support at the level of individual workers, supervisors, and the organiz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conduct health promotion program at the factories. 4. Significantly related variables to HIPBs should be identified the direct and indirect paths among them further mo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