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alty corn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3초

하키 페널티 코너 시 고등학교 선수와 국가대표 선수간의 플릭슈팅 동작 비교 (A Comparision of Flick Shooting Motion in Penalty Corner between High School and National Players in Field Hockey)

  • 김호묵;우상연;김기운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99-50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필드하키 페널티 코너 시 고등학교 선수와 국가대표 선수간의 플릭 슈팅 동작을 비교 분석하여 페널티 코너 지도 시 운동학적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전문 슈터 남자 고등학교 선수 5명과 국가대표 선수 6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페널티 코너 시 플릭 슈팅 동작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가 대표 선수들은 고등학교 선수에 비하여 스틱헤드 속도와 볼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대표 선수들은 고등학교 선수에 비하여 스틱으로 볼을 캐치하는 단계에서 오른발을 볼보다 앞쪽에 많이 내딛고, 볼을 앞쪽으로 길게 드래그하여 목표 방향으로 빠르게 보내고 있다. 고등학교 선수들은 국가대표 선수들에 비하여 볼을 캐치하는 단계에서 어깨의 각속도와 손목의 각속도 변화가 크고 동작 시간도 짧게 나타났다. 국가 대표 선수들은 신체 무게 중심의 상하편차가 적으며 폴로스루 단계에서도 릴리즈 단계의 몸 숙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릴리즈 시점에서는 손과 전완의 각운동량이 고등학교 선수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름이 있는 막재료의 정적 및 동적 해석 (Static and Dynamic Analysis of Wrinkled Membranes)

  • 우경식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15-2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멤브레인 요소를 사용하여 주름이 있는 멤브레인의 정적 및 동적거동을 연구하였다. 해석은 상용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였으며 멤브레인 요소에서 주름은 벌칙매개변수에 의한 물성치 수정 방법을 사용자 부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고려하였다. 해석과정은 먼저 이론해가 멤브레인 문제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모서리에서 하중이 가해진 사각형 멤브레인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여 주름이 정적 및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비등방성 멤브레인의 주름 거동 해석 (Analysis of Wrinkling Behavior for Anisotropic Membrane)

  • 우경식;남덕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48-5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비등방성 멤브레인의 주름 거동을 조사하였다. 해석시 멤브레인에 발생하는 주름은 벌칙매개변수법을 사용하여 물성치를 수정하는 방법으로 하였으며, ABAQUS 내 사용자 서브루틴으로 구현하였다. 모서리에 인장하중이 걸린 사각형 멤브레인 문제에 적용하여 주름 거동을 해석한 결과, 핀의 지름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작으며, 잘라낸 모서리의 길이와 전단계수의 크기에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자 필드하키 페널티코너 전문 슈터 양성을 위한 Drag Flick 슈팅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사례 연구 (Kinematic Analysis of Drag Flick Shooting Motion for Training Shooters Specializing in Penalty Corners in Women's Field Hockey: A Case Study)

  • Park, Jongchul;Byun, Kyungseok;Kim, Eonho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3-51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fficient technical model through a kinematic analysis of field hockey drag flick shooting motion in laboratory situations and game situations and to build up the basic data on drag flick shooting techniqu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a Korean specialized shooter and specialized shooters of competing Asian countries. Method: This study selected one Korean female national specialized shooter and seven specialized shooters of competing countries, China, Japan, India, and Malaysia, who participated in the 2018 Asian Hockey Champions Trophy as research subjects. In exercise situations, a 3-D motion analysis utilizing an infrared camera was conducted, while in game situations, an image-based 3-D motion analysis utilizing a digital camera was conducted. Results: The Korean specialized shooter had smaller changes in the angles of the trunk and the stick in game situations than in exercise situations. She had a high angular velocity of the trunk and the stick head, and the maximum speed of the ball was high. The Korean specialized shooter had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of the trunk higher than the specialized shooters of the competing countries did, and the angular velocity of the stick head and the maximum speed of the ball were in the average level. Conclusion: As for drag flick shooting in game situations, changes in the angle of the trunk and the stick were small, and the angular velocity was high due to the pressure that the shooters should perform the motion fast with the defenders' interruptions, and this high angular velocity of the trunk and the stick head affected the movement of the ball. Thus, the maximum speed of the ball was higher in game situations than in exercise situations. The Korean specialized shooter had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higher than the specialized shooters of the competing countries did; however, the maximum speed of the ball was average, and it turned out that the maximum speed of the ball was associated with the angular velocity of the stick head in P3. Therefore, Korean specialized shooters need complementary training for a change to the torque of the stick head, using the strong torque of the trunk.

국부 및 혼합 Lagrange 승수법을 이용한 영역분할 기반 유한요소 구조해석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Finite Element Domain Decomposition Method Using Local and Mixed Lagrange Multipliers)

  • 곽준영;조해성;신상준;올리비에 보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469-47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구조해석을 위하여 국부(local) 및 전역-국부 혼합(mixed) Lagrange 승수(Lagrange multiplier)를 이용한 새로운 유한요소 영역분할 기법을 제시한다. 제시되는 FETI 알고리즘은 계산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FETI 기법들에서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Lagrange 승수법과는 달리, 국부 및 전역-국부 혼합 Lagrange 승수를 도입하고 ALF(Augmented Lagrangian Formulation)과의 결합을 유도하여 공유면 문제(interface problem)의 해의 수렴성을 향상 시켰다. 추가적으로, 몇 가지 수치예제 계산을 통해 기존의 FETI-DP 기법과 비교하여 유연도 행렬의 조건수, 계산 시간 그리고 메모리 사용량에 대한 계산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