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gboard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Sensoriomotor Functions on the Ipsilateral Upper Limb According to Cane Usage in Stroke Patients: A Preliminary Study

  • Son, Sung-Min;Kwon, Jung-Won;Kim, Chung-Su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3호
    • /
    • pp.7-12
    • /
    • 2011
  • Purpose: The cane is one of the most popular assistive devices for stroke patients. Clinical complaints of sensorimotor functions on the ipsilateral upper limb were appealed in stroke patients who had used a cane for a long period.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cane usage for a long-term period affected sensoriomotor dysfunctions on the non-affected upper limb, in terms of pain presence, shoulder joint sense, a nine-hole pegboard test, and a tracking task. Methods: We recruited 12 stroke patients, who were divided into the cane-using (CU) group or the non-cane using (NCU) group, according to cane usage experience. We evaluated joint position sense for the integrity of proprioceptive reposition sense in the shoulder joint, used a nine-hole pegboard test for upper limb dexterity evaluation, and a tracking task for visuomotor coordination. Results: Four patients in the CU group had complained of shoulder pain none did in the NCU group. In addition, the CU group showed more reposition errors on the shoulder joint than the NCU group did. In addition, the CU group had more difficulty in proprioceptive sense perception and in performance of the nine-hole pegboard teat and tracking task, compared with the NCU group.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cane usage for a long period in stroke patients could give rise to trigger joint pain and decrease proprioceptive sense. In addition, complex motor performance in the ipsilateral upper limb could deteriorate. In stroke patients who had used acane for long period, careful observation and proper intervention will be necessary.

감각통합활동 동영상이 지적장애아동의 자발성과 과제 수행율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Video Modeling on Self-initiation and Task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홍미영;김진경;강대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60-269
    • /
    • 2011
  • 본 연구는 감각처리능력에 문제를 갖는 지적장애 아동에게 감각통합활동의 자발적 수행능력을 동영상을 통해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4명의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 중 A-B-A 디자인이 사용되었다. 독립변인은 아동이 4개의 감각통합활동을 8분간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장면의 동영상을 주 2회 시청하도록 하였다. 종속변인은 1)감각통합활동의 자발성과 과제 수행율, 2) 일반적 과제 (grooved pegboard) 수행시간이었다. 동영상을 통해 자발성 부족으로 감각통합활동을 스스로 수행하지 않았던 지적장애 아동의 자발성과 과제 수행율이 향상되었고, 동영상 중재방법이 지적장애 아동의 교육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다양한 질환의 아동에게 동영상을 치료에 적용하여 그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한국형 신경행동검사 배터리의 개발 -면접과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의 타당성 평가- (Development of Korean Neurobehavioral Test Battery -Assessment of the Validity of Traditional and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s-)

  • 정종학;김창윤;사공준;전만중;박홍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692-707
    • /
    • 1998
  • 우리나라 근로자의 특성과 산업보건 현실에 적합한 신경행동검사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국내의 일부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신경행동검사들의 타당도를 비교평가하였다. 대구지역의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톨루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이소프로필알콜, 메탄올에 폭로되는 유기용제 폭로군 96명과 대조군 100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변수와 직업관련 변수를 조사하고, 컴퓨터 신경행동검사 네 가지 검사항목(숫자 더하기, 부호숫자 짝짓기, 숫자 외우기, 손가락 두드리기)과 면접식 신경행동검사 일곱 가지 검사항목(Benton visual retention 검사, 숫자 외우기, 숫자부호 짝짓기, 숫자 더하기, 목적점찍기, 핀꼽기, 막대 두드리기)을 수행하였다. 11개의 신경행동검사 항목들 중 지각과 반응속도 영역에서 컴퓨터 부호숫자 짝짓기, 운동영역에서 컴퓨터 손가락 두드리기 및 미세운동영역에서 핀꼽기의 유사영역의 다른 검사에 비해 타당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장 근로자의 중추신경계장애의 선별을 위한 신경행동검사의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나 대상자의 폭로기간이 길지 않고 폭로력과 재현성을 고려하지 못한 제한점을 가진다.

  • PDF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중 양손사용 스마트폰 자판 입력과 손 기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Using Both Hands Keyboard Input and Hand Function Among the Lifestyles of University Student)

  • 배성환;강우진;김나영;김지현;조준혁;백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21-228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과 눈-손 협응 능력의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자판을 사용하여 손 기능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Purdue Pegboard, Grooved Pegboard Test와 Korean-Developmental-Test of Visual Perception- Adolescent를 평가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 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 협응력과 시각-운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산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협응력과 시각-운동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Purdue Pegboard Test 중 우세손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313, p<.05). 또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K-DTVP-A의 항목 중 Copying(r=-.333, p<.05), Visual Motor Search(r=.455, p<.01), Visual Motor Speed(r=-.453, p<.01), Form Constancy(r=-.341, p<.05)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향후 스마트폰 양손 조작을 활용한 손 기능 증진과 시각-운동에 관한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추가적인 실험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 조작을 활용한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길 기대한다.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RAPAEL Smart Pegboard)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udiovisual Biofeedback(RAPAEL Smart Pegboard) on Cognitive Function of Stroke Patients)

  • 김민호;박규용;이나정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3호
    • /
    • pp.77-89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라파엘 스마트 페그보드를 사용한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적용한 중재집단 10명, 자가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조집단 10명으로 구분하여 총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중재 전·후의 인지기능 평가는 K-MoCA와 NCSE를 사용하였고, 중재집단의 중재 방법은 전통적 작업치료와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10주간, 주 3회, 30분씩, 총 30회기 제공하였으며, 대조집단에는 전통적 작업치료와 자가 활동 프로그램을 중재집단과 같은 기간 동안 제공하였다. 결과 : 첫째,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 간 K-MoCA의 결과는 중재집단이 대조집단보다 시공간 및 집행기능, 주의력, 기억력, K-MoCA 전체 점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 간 NCSE의 결과는 중재집단이 대조집단보다 주의력, 기억력, NCSE 전체 점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시공간과 관련된 영역과 주의력 및 기억력 향상에 더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해당 도구가 작업치료 임상 환경에서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위한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라파엘 스마트 페그보드를 사용한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의 다양한 임상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연작업자들에서 골중 연량이 신경행동학적 검사성적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of Bone Lead with Neurobehavioral Test Scores in Lead Workers)

  • 이성수;김남수;김화성;안규동;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4-152
    • /
    • 2005
  • To evaluate the effect of lead biomarkers including bone lead on neurobehavioral test in lead workers, 652 lead workers without any occupational exposure to organic solvent, mercury and arsenic were agreed to participate this study. For the control subjects 102 non-occupationally lead exposed blue collar workers in general 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also joined this study. All study subjects joined this study with written informed consent. The study variables of lead exposure were blood and patella lea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standardized questionnaire regarding age, sex, past disease history, job duration, body mass index (BMI), drinking and smoking habit were provided. For the past history of neurotoxicity related diseases, all study subjects were interviewed by qualified occupational health physicia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Compared with controls without occupational lead exposure, lead exposed subjects had worse performance on all tests(p<0.05). 2. After adjustment for covariates (age, sex, job duration, education level, BMI, smoking and drinking status), the sign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blood lead were negative for 13 of the 14 tests. Blood lead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orer scores on 8 tests (simple reaction time(ms & root MSD), Trail-Making Test B, Digit Symbol Substitution, Purdue Pegboard assembly, Digit Span Test, Benton Visual Retention, and Purdue pegboard both hand). 3. After adjustment for covariates (age, sex, job duration, education level, BMI, smoking and drinking status), the sign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patella lead were negative for 12 of the 14 tests. Patella lead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orer scores on 8 tests (simple reaction time(ms). Purdue Pegboard assembly, Digit Span Test, Benton Visual Retention. Pursuit Aiming rest (no. of correct & no. of incorrect), Purdue pegboard non-dominant hand and both hand). With above results, blood lead and patella lead were associated with poorer performance of neurobehavioral tests. In addition, patella lead was confirmed to be better predictor of manual dexterity test in neurobehavioral test battery in lead workers

과제 지향적 활동이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hand injuries)

  • 노동희;한승협;조은주;안성호;김훈주;감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53-1163
    • /
    • 2015
  • 본 연구는 수부손상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활동이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경남 창원에 위치하는 C병원에 내원한 16명의 수부손상환자를 두 그룹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에 과제 지향적 활동을 1일 1회, 주 3회, 4주 동안 적용하고 그룹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과제 지향적 활동군은 캐나다 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통해 대상자가 선호하는 일상생활활동영역에 대한 과제를 제공하였다. 이때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손 기능 평가로 장악력 검사, 파악력 검사, 엄지의 맞섬, 손가락의 벌림 범위와, Purdue pegboard test,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DASH)를 사용하였다. 중재 전후 비교에서 과제 지향적활동군은 모든 손 기능 평가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 대조군의 손 기능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 과제 지향적 활동군은 손끝집기, 측면집기, 세점집기, Purdue pegboard test, DASH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장악력 검사와 엄지의 맞섬 및 손가락의 벌림 범위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과제지향적 활동이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활동이 양손협응(Bilateral coordination)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Effect of Crafts and Hand-writing on Bilateral Coordination)

  • 최혜숙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3-73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활동이 과제를 수행할 때에 양손협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손 기능에 장애가 없는 20대 대학생 30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방법으로 10명씩 세 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 1(수공예활동), 실험군 2(글씨쓰기활동), 대조군으로 배분하였다. 중재 전, 후에 각각의 양손협응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Purdue pegboard test,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를 시행하였다. 결론 :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 훈련 전, 후를 비교한 결과 중재 후에 실험군 1(수공예활동)과 실험군 2(글씨쓰기활동)에서 손 기능 및 양손협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험군 1(수공예활동)은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항목에서 실험군 2(글씨쓰기활동)는 Purdue pegboard test 항목에서 중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수공예활동은 과제를 수행할 때에 양손협응을 향상시키고 글씨쓰기활동은 손의 기민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행하는 과제에 따라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활동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모든 연령과 다양한 수공예활동과 글쓰기활동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수행된다면 협응능력 제한이 있는 사람의 작업 중재 방법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PDF

Visuomotor Coordination Deficits of Ipsilateral Upper Limb in Stroke Patients with Shoulder Pain

  • Son, Sung-Min;Kim, Kyoung;Lee, Na-Kyu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6권3호
    • /
    • pp.163-168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ipsilateral shoulder pain affects the sensorimotor function of the same side shoulder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Thirty stroke patients, who were divided into the ipsilateral shoulder pain group (n=15) and the ipsilateral shoulder non-pain group (n=15). Subjects were evaluated on performance of a tracking task, joint reposition test and 9-Hole pegboard test for sensorimotor functions, and Fugl-Meyer test and Motricity Index for functional ability of the contralateral side. Results: In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functional ability, including the Fugl-Meyer test(both upper and lower limb) and Motricity Index(only lower limb) were observed (p<0.05). With regard to sensorimotor functions, the ipsilateral shoulder pain group were observed significantly poor scores on the Accuracy Index, joint reposition score and 9-Hole pegboard test, when compared with the ipsilateral shoulder non-pain group (p<0.05). Conclusion: We found that ipsilateral shoulder pain could impede accurate performance of a movement and result in deteriorated proprioception of the ipsilateral shoulder. Therefore, careful evaluation and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 are essential for stroke patients who suffer from ipsilateral shoulder pain.

물리치료와 작업치료가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의 신체적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The Effect of Physic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through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A Case Study)

  • 이태식;이환희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9권5호
    • /
    • pp.77-85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through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by Bobath approach to patient with ALS. Methods: The data of 1 patient with ALS, who visited D hospital in Busan, was collected from June 5, 2006 to August 19, 2007. To determine the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Berg Balance Scale (BBS), Gait, Skate. Purdue Pegboard, WHOQOL-BREF, COPM were used. Results: BBS score was increased 0 to 33 in the pre and post test. Gait distance was increased 0m to 500m in pre and post test. Skate score was increased 13 to 22 in the pre and post test, Purdue Pegboard score was increased 0 to 3 in the pre and post test, WHOQOL-BREF was increased 1.92 to 2.46 in the pre and post test. Average COPM score of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grade of pre test score was 1 then Post test score of performance score increased to 5.7 and satisfaction increased to 4. Conclusion: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increase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ALS patients.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should study more about patients with 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