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Using Both Hands Keyboard Input and Hand Function Among the Lifestyles of University Student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중 양손사용 스마트폰 자판 입력과 손 기능과의 관계

  • Bae, Seong-Hwa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
  • Kang, Woo-J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 Kim, Na-Yeo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 Kim, Ji-Hyeo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 Jo, June-Hyeok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 Baek, Ji-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배성환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강우진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김나영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김지현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조준혁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백지영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0.12.24
  • Accepted : 2021.01.25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hand functional training programs using a keyboard to see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 keyboard input speed using both hands, the Dexterity of the hand and the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The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Purdue Pegboard, Grooved Pegboard Test, and Korean-Developmental-Test of Visual Perception-Adolescent were evaluated for 40 university students Provinc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dexterity,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and visual-motion using both hand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Pearson correlation was also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used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hand dexterity,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and visual-motor. As a result, the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using both hands showed a correlation with the dominant hand in the Purdue Pegboard Test (r=-.313, p<.05). In addition, the input speed of the smartphone keyboard is Copying(r=-.333, p<.05), Visual Motor Search(r=.455, p<.01), Visual Motor speed(r=-.453, p<.01) and Form Constancy (r=-.341, p<.05) in the item of K-DTVP-A.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a treatment program using a smartphon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a treatment program using a smartphone will be proven through additional experimental stud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대학생의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과 눈-손 협응 능력의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자판을 사용하여 손 기능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Purdue Pegboard, Grooved Pegboard Test와 Korean-Developmental-Test of Visual Perception- Adolescent를 평가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 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 협응력과 시각-운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산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협응력과 시각-운동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Purdue Pegboard Test 중 우세손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313, p<.05). 또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K-DTVP-A의 항목 중 Copying(r=-.333, p<.05), Visual Motor Search(r=.455, p<.01), Visual Motor Speed(r=-.453, p<.01), Form Constancy(r=-.341, p<.05)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향후 스마트폰 양손 조작을 활용한 손 기능 증진과 시각-운동에 관한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추가적인 실험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 조작을 활용한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문영(2015).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경도인지장애와의 연관성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4): 361-368.
  2. 유진호, 전재근, 이병훈(2017). 대학생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이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3): 243-248.
  3. 김시연(2016).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및 이용 동기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분석.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상환, 김경민, 명노해(2002). 이동전화 한글입력 시스템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논문지, 28(2): 193-200.
  5. 양용필, 김지현, 한미란, 김은비(2012). 동작관찰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대한물리의학회논문지, 7(1): 111-118
  6. 강현진, 고경혜, 박수정, 박주연, 장문영(2005). 취학 전 아동의 손 기민성과 시각-운동 기술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논문지, 3(1): 13-21.
  7. 이아름, 유미, 은혜인, 김동욱, 권대규, 김남균(2006). 안구와 손의 협응과제에서 방해물의 Global Effect. 전북대학교 공학연구원, 37(0): 49-54.
  8. 이은희, 오명화, 정현애, 고효은, 이진종(2015). 안구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시지각기능과 눈-손협응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논문지, 23(3): 39-52.
  9. 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12-2018 스마트폰 사용률, 현재 사용&향후 구입 예정 브랜드.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943/2018.08.08.
  10. 박은정, 박장미, 배은주, 용미현, 김경미(2005). 휴대전화기 문자 쓰는 속도와 손의 민첩성과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논문지, 13(3): 59-67.
  11. 장정숙(2010).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민성 평가 시 10초 검사의 유용성 연구: 퍼듀 페그보드 및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와 비교.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한국장애인개발원(2011).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손기능평가도구편).
  13. 이택영, 오재근, 김혜영, 이규성, 김문희(1999).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이 건측 손의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논문지, 7(1): 56-67.
  14. 이택영(2001). Grooved pegboard 검사의 정상 성인의 표준치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논문지, 8(2): 87-94.
  15. 조용태, 유경미(2013). 한국판 청소년용 시지각 발달검사(K-DTVP-A)의 심리측정적 특성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논문지, 17(3): 151-173.
  16. 김윤태, 강세윤, 김현신, 신병순(1994). 연령에 따른 장악력과 손의 기민성 평가. 대한재활의학회논문지. 18(4): 780-788.
  17. 김정환, 이석재, 명노해(2007). 숙련도 차이에 따른 문자 입력 작업 형태 분석. 한국HCI학회학술발표논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