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space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3초

차량용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한 보행 네트워크 및 경로 생성 기법 (Study on the Method to Create a Pedestrian Network and Path using Navigation Data for Vehicles)

  • 가칠오;이원희;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7-74
    • /
    • 2011
  •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기의 활용이 증대되면서 이동 중인 보행자에게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 도로 네트워크는 경로와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차량을 위한 도로 네트워크에 비하여 보행 네트워크는 더욱 상세하고 방대한 공간에 대한 모델링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에 현지 조사와 수동 편집 과정을 통하여 구축하는 방법보다 효율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되어 있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행자에게 적합한 보행 네트워크 생성 기법을 제안하였다. 보행 네트워크는 실제 보행자의 이동과 유사한 경로를 생성하기 위하여 보행 공간을 그 특성에 따라 보행 링크(인도, 이면도로, 보행 시설물)와 오픈 스페이스 링크로 구분하고 서로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기법은 보행 네트워크 생성에 관한 표준 및 방법론이 존재하지 않는 현 시점에서 하나의 효율적인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pace syntax 기법을 활용한 Social Path 효과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ocial Path Using the Space Syntax Technique)

  • 최성택;이향숙;추상호;장진영;김수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2-203
    • /
    • 2015
  • 보행자는 일반적인 보행로뿐만 아니라 건물을 통과하거나 넓은 공간을 가로지르는 등의 비정형적인 보행 경로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보행 경로를 social path로 정의하여 보행 네트워크의 범주 안에 포함시켜 정의하였다. 기존의 보행 접근성 연구에서는 이러한 보행 경로를 고려하지 못해 대상지의 공간적 위계 수준과 각 가로의 연결성을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중교통의 요지임과 동시에 상업 시설이 밀집된 서울의 주요 대상지를 선정하여 social path의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네트워크 공간 분석에서 활용되는 space syntax 기법의 공간 통합도(Integration)를 평가 지표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social path로 인해 각 가로의 연결성이 변화됨과 동시에 보행자의 최적 경로가 합리적으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상지 내부의 주요 가로와 social path의 개선효과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점을 통해 social path의 연결성이 뛰어나고 보행자의 최적 경로를 보다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대규모 아파트단지 외부보행공간의 계획특성에 관한 적합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Suitability of Characteristics for Planning of Exterior Pedestrian Spaces in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 권소영;하미경
    • KIEAE Journal
    • /
    • 제9권6호
    • /
    • pp.27-36
    • /
    • 2009
  • Lately construction companies are differentiating the outdoor spaces of apartment complexes to satisfy the needs of residents by providing underground parking area and variety of outdoor community spaces. Building walking networks through residential unit area, the major passage area and the entrance area of the complexes is very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the use of the outdoor environment in the complex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lements for the planning of exterior pedestrian spaces carefully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In this study, the utilization of space, the connectivity to other spaces and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were evaluated through site visits in 5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As a result, the utilization of space is well applied in the most of complexes especially in residential unit area. The connectivity to other spaces has low application compared to the others. Universal design is also well applied except sub criteria for the blind in most of complexes. This study will be able to help in providing better exterior pedestrian environment for residents in apartment complexes.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 분석방법 개선 연구 (A Study on Enhancement Methods of Level of Service Analysis for Pedestrian Sidewalks)

  • 김응철;최은진;양주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9-39
    • /
    • 2015
  • 현재 보행자도로의 LOS분석 방법은 한국도로용량편람(2013)의 보행자시설편에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용량편람에서 제시하는 보행자도로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LOS를 산출할 경우, 분석지점의 대부분이 A수준으로 산출되어 현실적인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9년 조사된 '서울시 유동인구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하는 보행자도로의 MOE를 적용하여 LOS기준의 적정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개선되어진 LOS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의 개선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표준인체치수의 최신화, 보행점유공간의 여유폭 고려, Fruin과 Hall의 연구에서 제시하는 LOS의 정성적인 정의를 활용하여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기준의 적용결과 종전의 보행자도로 LOS판단 기준보다 합리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보행자도로에 관한 현실적이고 다양한 계획 설계 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파트 옥외공간 차별화 요소에 대한 주민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s' Satisfaction Degree of Differentiated Elements in Outdoor Space of Apartment Housing)

  • 서주환;김도경;최성숙;김대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98-10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outdoor space planning reflected real needs of apartment residents in the differentiation elements of outdoor space, by using USC trade-off game in three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This game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ir preference, reliability of preference degree, satisfaction degree, requirement elements such as improvement, sacrifice, maintenance of present condition, and payment possibility for improving and maintaining present condition, in addition to their preference and payment possibility of differentiation of outdoor space in the apartment complex in the future. From the statical analysis,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1. Reliability of preference degree was valid, inasmuch as the first elements they preferred were the almost same as the last things. 2. Elements of preference were pedestrian ways, pedestrian security facilities, various athletic facilities, and variety and high-class facilities in a play ground. 3. Satisfaction degree of differentiation elements of outdoor space was low not only in total complexes but also in each complex. As a result of analysis, these elements were not satisfied with residents. 4. Most of the differentiation elements of outdoor space in three apartment complexes, except planting traditional trees, were required to improve and maintain present condition. The cost to improve and maintain these elements able to pay by them was about 2.18 million won. Through this result, these elements were not options but prerequisites for planning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5. In the future preference elements of differentiation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were pedestrian and jogging ways, places with water, various athletic places and facilities, multi-function resting places, green spaces in experiences, pedestrian security facilities, various athletic facilities, variety and high-class facilities in a play ground, and payment possibility for these elements was about 3.20 million won.

  • PDF

택지개발지구에서 보행자도로 공급수준 평가지표 개발 (Evaluation Index for the Supply Levels of Pedestrian Facilities in Residential Area Planning)

  • 최재성;황경성;김상엽;장영수;박신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5-4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주민 쾌적성, 보행자 안전성, 그리고 택지개발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보행자 도로 공급 수준 평가지표를 제시한다. 이를 위한 연구에서 다각적인 분석이 시행되었는데, 첫째, 이미 입주가 끝난 8개 택지개발 사업지에서 보행수요에 미치는 영향요소를 찾았고, 영향 요소 간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 Space Syntax 분석을 통한 국부통합도, 활동인구(인/일), 택지개발지구 면적 등을 선택하여 보행수요 예측모형을 정립하였다. 그 후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보행점유공간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보행수요 예측모형을 상호 비교하여 최초 계획단계에서 보행자 도로 공급수준을 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정립한 평가지표가 합리적인 공급수준을 평가하는 지표인지 확인하기 위해 주민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정립한 평가지표는 기존 지표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 결과는 택지개발 사업지에서 보행공간을 계획할 때 많은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Walking path design considering with Slope for Mountain Terrain Open space

  • Seul-ki Kang;Ju-won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103-111
    • /
    • 2023
  • 산악지대, 특히 오픈스페이스에서의 보행은 산악지형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특수 활동영역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의 보행 경로 연구는 보행자와 환경 요소를 포괄적으로 네트워크 분석에 포함시키지만, 주로 한정된 공간을 대상으로 하며 산악지형 등, 데이터가 부족한 지형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된다. 본 논문에서는 산악지형의 오픈스페이스에서 그물망 기반의 가상 보행 네트워크를 만들며, 경사도를 반영한 산악 보행 경로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거리측정에 경사도를 고려하여 실제 지형을 더 잘 반영하며, 기존 경로 분석 서비스에서 제공하지 않는 오픈스페이스를 이용한 산악 보행 경로를 제시하고, 시험을 통해 이를 입증하였다. 본 논문의 설계 방법은 조난, 산악구조, 전술 훈련 등에서 산악지형의 오픈스페이스를 포함한 경로 생성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형 복합 상업건축의 앵커 테넌트 계획이 통행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롯데월드몰 앵커 테넌트 개장 전·후 통행량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Commercial Complex Anchor Tenant Plan in the Pedestrian Traffic - Focused on the Change of the Pedestrian Traffic by Reopening Anchor tenant of Lotte World Mall -)

  • 윤태준;이도훈;박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128-13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ning method for increasing visitors' usage attraction by understanding user circulation in the large scale commercial complex. Focusing on the impact of anchor tenant on the pedestrian traffic arousing visitors' usage attraction flow, this study analyzed pedestrian circulation and traffic volume of Lotte World Mall, a large scale commercial complex. In this study, the change of pedestrian traffic in the commercial complex was investigated and the circulation flow of anchor tenant visitors such as movie theater in the commercial complex was simulated by computer. By analyzing both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circulation and traffic volume in large scale commercial complex and movie theater users' pedestrian traffic with network-based computer simulation,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traffic to movie theater and pedestrian traffic dispersion of the whole commercial complex users was emerg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lan of distributing pedestrian traffic of vertical moving line in central space appropriately for using attraction function of anchor tenant.

An Analysis on Seoullo 7017 in Terms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Pedestrian Movement in Comparison with the High-line Project

  • Choi, Junho;Choi, Jaepil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31-39
    • /
    • 2019
  • Inspired by the success of the High-line project in New York,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launched a project to convert an overpass near Seoul station into a pedestrian park. Seoullo 7017 went through instant success after its opening in May 2017; however, there is a continuous controversy over its long-term impact as shown in the exemplary cases like the High-line project. This study aims for quantitative investigatio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eoullo 7017 and the High-Line in the perspectives of spatial configuration. Space Syntax was chosen as the analysis method for this research. Integration (3) in Space Syntax is known to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pedestrian volume; thus, by using this method, spatial structure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statistically verified results of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Highline with those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Seoullo 7017 was less than that of the High-line in terms of spatial configuration.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is spatial configuration between Manhattan and Seoul. The High-line is located in Manhattan which has an urban grid structure, whereas Seoul has non-geometric urban structure, the neighborhood unit in Korea. Also the center of the overpass isn't connected well with its surroundings.

Gabor Filter Bank를 이용한 보행자 검출 알고리즘 (Pedestrian Detection Algorithm using a Gabor Filter Bank)

  • 이세원;장진원;백광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930-935
    • /
    • 2014
  • A Gabor filter is a linear filter used for edge detectionas frequency and orientation representations of Gabor filter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human visual system. In this thesis, we propose a pedestrian detection algorithm using a Gabor filter bank. In order to extract the features of the pedestrian, we use various image processing algorithms and data structure algorithms. First, color image segmentation is performed to consider the information of the RGB color space. Second, histogram equalization is performed to enhance the brightness of the input images. Third, convolution is performed between a Gabor filter bank and the enhanced images. Fourth, statistical values are calculated by using the integral image (summed area table) method. The calculated statistical values are used for the feature matrix of the pedestrian area. To evaluate the proposed algorithm, the INRIA pedestrian database and SVM (Support Vector Machine) are used, and we compare the proposed algorithm and the HO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pedestrian detector, presentlyreferred to as the methodology of pedestrian detection algorith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more accurate compared to the HOG pedestrian det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