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ctoralis muscle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1초

흉부 거대 연골육종의 외과적 치료후 발생한 결핵성 종격동염-1례 보고- (Tuberculous Mediastinitis Developed After Surgical Treatment of Giant Chondrosarcoma on Chest Wall-one case report-)

  • 이재훈;양수호;김혁;정원상;김영학;이철범;강정호;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348-348
    • /
    • 1997
  • 48세 남자 환자의 전종격동을 깊게 침범하며 흉골에서 발생한 거대한 연골육종을 치료하였다. 환자는 흉골의 연골육종과 주변의 정상변연 4cm을 포함하여 광범 위 절제술을 받았으며 그 종양 자체 는 양측의 쇄골과제 1,2,3늑연골을 포함하는 15× 16X10cm크기였다.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후 남은 결손 부위는 매우 컸으며 흉벽 재건술을 Marled mesh와 methylmethacrylate와 wire steels로 겹싸는 sandwich식의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연부조직의 재건술 또한 대흉근을 이용한 근피 판 치환술을 시행하 였다. 그러나 환자는 수술후 결핵성 종격동염이 발생되었고 다량의 농이 배출되었다. 재수술은 흉벽 재건술시의 사용되었던 이물질 모두를 제거하고 괴사성 조직의 소파술과 배농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1 년간 항결핵제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완치되었기에 문헌고찰과 보고하는 바이다.

흉부 거대 연골육종의 외과적 치료후 발생한 결핵성 종격동염 -1례 보고 (Tuberculous Mediastinitis Developed After Surgical Treatment of Giant Chondrosarcoma on Chest Wall -one case report)

  • 이재훈;양수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48-252
    • /
    • 1997
  • 48세 남자 환자의 전종격동을 깊게 침범하며 흉골에서 발생한 거대한 연골육종을 치료하였다. 환자는 흉골의 연골육종과 주변의 정상변연 4cm을 포함하여 광범 위 절제술을 받았으며 그 종양 자체 는 양측의 쇄골과제 1,2,3늑연골을 포함하는 15$\times$ 16X10cm크기였다.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후 남은 결손 부위는 매우 컸으며 흉벽 재건술을 Marled mesh와 methylmethacrylate와 wire steels로 겹싸는 sandwich식의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연부조직의 재건술 또한 대흉근을 이용한 근피 판 치환술을 시행하 였다. 그러나 환자는 수술후 결핵성 종격동염이 발생되었고 다량의 농이 배출되었다. 재수술은 흉벽 재건술시의 사용되었던 이물질 모두를 제거하고 괴사성 조직의 소파술과 배농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1 년간 항결핵제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완치되었기에 문헌고찰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ffects of Two Herbal Extracts and Virginiamycin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Popul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Broiler Chickens

  • Ramiah, Suriya Kumari;Zulkifli, Idrus;Rahim, Nordiana Asyikin Abdul;Ebrahimi, Mahdi;Meng, Goh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375-382
    • /
    • 2014
  • The competency of garlic and pennywort to improve broiler chicken growth and influence intestinal microbial communi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were studied. Two hundred forty, "day-old" chicks were randomly allocated to 4 treatment groups consisting of 6 replications of 10 chicks in each pen. The groups were assigned to receive treatment diets as follows: i) basal diet (control), ii) basal diet plus 0.5% garlic powder (GP), iii) basal diet plus 0.5% pennywort powder (PW) and iv) 0.002% virginiamycin (VM). Birds were killed at day 42 and intestinal samples were collected to assess for Lactobacillus and Escherichia coli. The pectoralis profundus from chicken breast samples was obtained from 10 birds from each treatment group on day 42 and frozen at $-20^{\circ}C$ for further analyses. Fatty acid profile of breast muscles was determined using gas liquid chromatography. Feed intake and weight gain of broilers fed with GP, PW, and VM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compared to control. Feeding chicks GP, PW, and VM significantly reduced Escherichia coli count (p<0.05) while Lactobacillus spp count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gut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 on day 42. Supplemented diet containing pennywort increased the C18:3n-3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s' breast muscle. Garlic and pennywort may be useful in modulating broiler guts as they control the enteropathogens that help to utilize feed efficiently. This subsequently enhances the growth performances of broiler chickens.

Investigating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Fed on Heat Processed Diets Containing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 Shim, YoungHo;Kim, JinSoo;Hosseindoust, Abdolreza;Choi, YoHan;Kim, MinJu;Oh, SeungMin;Ham, HyungBin;Kumar, Alip;Kim, KwangYeol;Jang, Aera;Chae, ByungJ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629-635
    • /
    • 201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ed form and distiller's dried grain with solubles (DDGS) on meat quality and fatty acids profile of broiler chickens. A total of 720 broilers (Ross 308; average BW [body weight] $541{\pm}5.7g$) were randomly allotted to six treatments. Birds were fed three different feed forms (mash; SP, simple pellet; EP, expanded pellet) and DDGS (0 or $200g\;kg^{-1}$) in a $3{\times}2$ factorial arrangement. The addition of DDGS and EP to the diet resulted in increased shear force of breast meat. Moreover, DDGS inclusion in the diet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stearic acid and behenic acid in thigh meat. Pelleting (SP and EP) of the diets increased palmitic acid content in the thigh, whereas the linolenic acid content decreased. The breast mass was higher with EP and SP diets than with the mash diet. Feed processing led to increased pectoralis muscle and drum mass compared to mash-fed chickens. In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EP decreased thigh linolenic acid and meat shear force. In addition, DDGS supplementation in broiler hampers meat quality by increasing the shear force.

폴란드 증후군 -1례 보고- (Poland Syndrome -One Case Report-)

  • 신성호;전양빈;전순호;강정호;김혁;정원상;김영학;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915-918
    • /
    • 1998
  • Poland씨 증후군과 관련된 흉벽기형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선천적으로 대흉근의 흉골부 결손과 한쪽 상지의 다양한 기형을 동반한다. 또한 Poland씨 증후군의 다른 임상적 특징은 유방과 유두의 결손 및 저형성, 피하 지방과 액모의 결손, 늑연골 및 늑골전면부의 이상을 포함한다. 그 기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유전과는 관계 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oland씨 증후군은 심한 정신적인 그리고 신체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초기 발견 및 수술적 교정이 이득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원은 Poland씨 증후군으로 진단된 37세 남자환자를 성공적으로 수술치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경피적 흉부 생검 이후에 발생한 전이성 폐 법랑모세포종의 종양 파종 (Tumor Seeding after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Biopsy of Metastatic Pulmonary Ameloblastoma)

  • 박혜미;김윤현;임효순;기소연;이효재;이종은;정원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1000-1004
    • /
    • 2021
  • 경피적 흉부 생검은 폐 병변을 병리학적으로 진단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최소 침습 시술이다. 매우 드물기는 하지만 흉막과 흉벽에 종양의 파종이 경피적 흉부 생검의 합병증으로 생길 수 있다. 유방은 흉곽의 앞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경피적 흉부 생검 시 흉곽의 앞쪽에서 접근할 때 바늘이 유방을 지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유방의 만져지는 종괴로 내원한 51세 여성에서 경피적 흉부 생검 경로를 따라 생긴 전이성 폐 법랑모세포종의 파종을 경험하였기에 영상 소견과 함께 증례 보고한다.

Associated Factors and Prevention of Upper Pole Rippling in Prepectoral Direct-to-Implant Breast Reconstruction

  • Da Hye Ryu;Oh Young Joo;Yun Ho Roh;Eun Jung Yang;Seung Yong Song;Dong Won Le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6호
    • /
    • pp.541-549
    • /
    • 2023
  • Background Despite its many advantages, prepectoral breast reconstruction also carries the risk of implant rippling. The recent introduction of partial superior implant coverage using a pectoralis muscle slip in prepectoral direct-to-implant (DTI) breast reconstruction has shown the potential to minimize upper pole ripp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rippling and the effectiveness of our surgical technique. Methods In total, 156 patients (186 breasts) who underwent prepectoral DTI breast reconstruction between August 2019 and March 2021 were identified retrospectively. Patient data were analyzed from medical records. Univariable and multivariable logist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contextualize the risks associated with rippling deformity relative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ther clinical factors. Retrospective propensity-matched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ippling deformity and the reconstruction method. Results Patients with body mass index (BMI; odds ratio [OR], 0.736; p < 0.001), those with a postoperative chemotherapy history (OR, 0.324; p = 0.027) and those who received breast reconstruction via the superior coverage technique (OR, 0.2; p = 0.004), were less likely to develop rippling deformity.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64.9 week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in types of mastectomy, implant, or acellular dermal matrix. Patients who underwent superior coverage technique-based reconstruction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rippling (OR, 0.083; p = 0.017) Conclusion Patients with higher BMI and prior postoperative chemotherapy were less likely to develop rippling deformity. The superior coverage technique can be effective in minimizing upper pole rippling.

진행성 유방암에 있어 유방절제술 후 발생한 광범위 피부결손 부위의 가슴배피판을 이용한 흉벽재건술 (Chest Wall Reconstruction with Thoracoabdominal Flap for Large Skin Defects after Mastectomy of Advanced Breast Cancer)

  • 김학태;양정덕;정호윤;조병채;김귀락;최강영;이정훈;박호용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736-741
    • /
    • 2010
  • Purpose: Radical surgical extirpation in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produces extensive loss of skin with large defects requiring plastic surgical procedures for the closure. Many reconstructive methods exist, the choice of which depends upon the characteristic of the wound, extent of resection and patient comorbidities. For adequate coverage of the large skin defects following resection of advanced breast cancer, current authors have performed a thoracoabdominal flap. Methods: From August 2008 to June 2009, 4 cases of thoraco-abdominal flap were performed for chest wall reconstruction after mastectomy of advanced breast cancer. Flap dissection was entirely performed in a subfascial plane and the flap involving the external oblique abdominal muscle. The flap was rotated clockwise in left chest wall defects and counterclockwise in right chest defects and the donor site was closed directly. Results: Their mean age, 55.7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interval was 9 months. Patients' oncologic status ranged from stage IIIc to stage IV, i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NM staging system. Flap dimensions ranged between $15{\times}15$ and $25{\times}25\;cm$. One flap sustained a partial loss at the distal margin and revision with pectoralis major musculocutaneous island flap. Conclusion: Large chest wall reconstructions are usually required after radical excision of advanced cancer stages patients with poor general conditions. Thoracoabdominal flap is a simple, quick single-stage procedure, and offer to patient fast recovery, low complication rate, enabling further concomitant adjuvant therapy.

개방식 배농술을 이용한 만성 농흉 치료의 임상적 고찰 - 10년 경험 - (Clinical Study of the Treatment of Chronic Empyema with Open Window Thoracostomy: 10 Years Experience)

  • 김영규;김영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1호
    • /
    • pp.765-769
    • /
    • 2007
  • 배경: 농흉의 근치적 치료 방법은 흉막박피술이 우선적으로 시도된다. 그러나 근치적 치료가 힘든 고 위험군 환자의 경우는 위험성이 높다. 과거에는 만성 농흉 치료의 최종 단계로서 개방식 배농술을 선택했으나, 일차적인 근치적 치료가 힘든 경우 개방식 배농술과 근육이식술(일시적 혹은 단계적)시행 후, 최종적으로 개방창 폐쇄술을 시도함으로써 비교적 안전하게 농흉의 치료를 꾀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농흉으로 개방식 배농술을 시행한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원인 질환과 치료 경과 및 최종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연령은 $57.5{\pm}15.5$세($25{\sim}78$세)였으며, 남자 16명(76.2%), 여자 5명(23.8%)이었다. 폐기능 검사결과는 평균 FEV1이 $1.58{\pm}0.49 L$였다. 농흉의 원인으로는 결핵성 농흉이 13예(61.9%), 폐국균증이 3예(14.3%), 폐렴성 농흉이 3예(14.3%), 폐절제 후 농흉이 2예(10%)이었다. 이들 중 14예에서 기관지 흉막루가 있었고, 8예에서 흉막의 석회화가 동반되어 있었다. 기관지 흉막루가 존재한 환자들 중에서 4예는 첫 수술시 전거근으로 기관지 흉막루를 덮었다. 절제된 늑골의 개수는 평균 $4{\pm}1$개였다. 12예에서 개방창 폐쇄가 가능하였으며 개방식 배농술 후 개방창 폐쇄까지 평균적으로 걸린 기간은 $10.22{\pm}3.11$개월이었고, 최종 수술 전 남아 있는 흉막강 결손의 평균은 $330{\pm}110 cc$였다. 12예 중 자연적으로 개방창 폐쇄가 이루어진 경우가 2예, 술 중 접어 두었던 피부만으로 폐쇄 가능했던 경우가 2예, 근육피판치환술 시행이 7예(광배근 4예, 대흉근 3예), 연조직 이용이 1예였다. 합병증으로는 연조직만으로 개방창폐쇄를 꾀했던 1예에서 조직 괴사가 생겨 폐쇄에 실패하였고, 복직근을 사용한 환자에서 복부 탈장이 생긴 경우가 1예 있었으며, 수술 후 30일내 사망한 예가 1예였고 다른 1예는 전이성 암으로 사망하였다. 걸론: 근치적 방법으로 치료가 힘든 경우의 만성 농흉 환자들에게 있어 개방식 배농술과 근육이식술, 근육피판을 이용한 최종적인 개방창 폐쇄술까지의 단계적인 접근 방법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주니어 투수들의 팔꿈치 안쪽 곁인대 손상이 상지 근육의 최대등척성수축력 차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bow Ulnar Collateral Ligament Injury on Differences in Maximal Isometric Strength of Upper body in Young Baseball Pitchers)

  • 장세홍;김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628-634
    • /
    • 2016
  • 투수들의 경기력은 야구경기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많은 투수들은 염좌 인대손상 등 많은 상해에 시달린다. 이러한 이유는 한 관절을 움직일 때 사용되는 주요한 두 가지 근육의 근력 차이가 클수록 부상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팔꿈치 안쪽 곁인대 통증이 있는 선수들과 통증이 없는 선수들의 투구 동작에 관련된 최대 등척성 수축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기간은 2주간으로 모든 실험참가자들의 측정이 실시되었다. 실험참가자들(n=36)은 통증이 있는 통증군 (n=18)과 통증이 없는 정상군 (n=18)으로 나뉘어 최대 등척성 수축력을 어깨관절 안쪽과 바깥돌림근, 팔꿉굽힘근과 폄근, 손목굽힘근과 폄근에서 측정하였고 그후 근육그룹간 근력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SPSS 18.0을 이용하여서 독립 t-test를 이용하여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통증군의 바깥돌림근 (p = 0.035), 팔꿉굽힘근 (p=0.031), 팔꿉폄근 (p=0.041)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손목폄근(p=0.047)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통증군의 어깨관절 안쪽과 바깥돌림근(p = 0.008), 팔꿉관절 굽힘근과 폄근(p = 0.002), 손목관절의 굽힘근과 폄근의 (p = 0.032) 최대등척성수축력의 차이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통증군의 최대등척성수축력의 차이가 높게 나타나서 부상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근력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한다면 부상에서 회복하고 더불어 경기력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고 사료된다.